• 제목/요약/키워드: future education directions

검색결과 484건 처리시간 0.029초

RSU 통신 및 딥러닝 기반 최적화 차량 라우팅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Optimized Vehicle Routing System(OVRS) based on RSU communication and deep learning)

  • 손수락;이병관;심손권;정이나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29-137
    • /
    • 2020
  • 현재 자율주행 차량 시장은 3레벨 자율주행 차량의 상용화를 넘어 4레벨 자율주행 차량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4레벨 자율주행 차량에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차량의 안정성이다. 3레벨과 다르게 4레벨의 자율주행 차량은 긴급상황을 차량이 직접 대처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긴급상황에서의 즉각적인 반응보다는 차량의 목적지가 정해진 순간 사고 가능성이 가장 낮은 경로를 결정하는 Optimized Vehicle Routing System (OVRS)을 제안한다. OVRS는 RSU 통신으로 수집한 도로와 주변 차량 정보를 분석하여 도로의 위험성을 예측하여 주행 중인 차량이 더 안전하고 빠른 길로 주행할 수 있도록 경로를 설정한다. OVRS는 네트워크 라우팅 방식처럼 도로에 있는 RSU를 통하여 도로 상황에 따른 경로 안내를 실행하기 때문에 차량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실험 결과, OVRS모듈 중 하나인 ASICM의 RPNN은 CNN보다 약 17%, LSTM보다 약 40% 더 좋은 연산 시간을 보였다. 그러나 해당 연구가 PC를 이용한 가상환경에서 실행되었기 때문에, VPDM의 사고 가능성을 실제로 검증하지 못했다. 따라서 향후 사고 데이터 수집으로 인한 VPDM의 정확도 높은 실험과 실제 차량 및 RSU에서 실제 도로를 대상으로 한 실험이 진행되어야 한다.

대학 수업의 교수실재감과 상호작용이 PAD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fessor Presence and Interaction on PAD and Satisfaction in a University Class)

  • 정윤희;박지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44-157
    • /
    • 2017
  • 현재 학생 수 감소로 인해 대학별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는데, 특히 대학의 핵심서비스인 수업만족도 향상은 경쟁력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이런 중요성으로 인해 수업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수업의 감정적 부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만족도의 중요한 요인이 감정임을 볼 때, 수업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감정의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많은 연구에서 만족의 선행요인으로 확인된 PAD(Pleasure, arousal, dominance)를 대학수업에 적용하여 대학 수업의 감정적 측면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감정을 자극하는 변수로서 교수실재감과 교수-학습자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제시하고 PAD와 수업만족도와의 관계를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219명의 대학생 표본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교수실재감은 교수-학습자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고, 즐거움, 각성, 지배감과 같은 감정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수-학습자 상호작용은 즐거움과 각성에 영향을 주고,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즐거움, 각성, 지배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즐거움, 각성, 지배감은 모두 수업만족도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주로 수업의 인지적 부분에 집중하던 기존 연구에 다른 시각을 제공해주며, 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 감정을 자극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수업방식을 개발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예비중등교사와 예비언론인의 도움 연결망 구조와 변화 비교 (A Comparison of Help Network Structures and Changes between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and Pre-journalists)

  • 김성연;박한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35-344
    • /
    • 2020
  • 본 연구는 예비중등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예비중등교사와 연결망 분석과 관련된 수업에 참여한 예비언론인의 도움 연결망 구조와 변화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회귀분석과 달리 개체들 사이의 관계를 종속으로 보고, 연결망 형성 원리에 대해 통계적 추론을 가능케 하는 ERGM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은 예비중등교사 43명과 예비언론인 29명으로 연결망 조사 시 초기와 후기에 2회 모두 응답한 학생으로 한정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과 조사시기에 상관없이 개인 특성 변수만을 고려한 모형은 연결망 구조 변수를 함께 고려한 모형에 비해 설명력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중등교사의 도움 연결망에서는 전이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연결망 조사 시기와 상관없이 예비언론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예비중등교사의 초기 도움 연결망에서는 호혜성, 내향대중성, 외향활동성 효과가 나타난 반면, 후기 연결망에서는 정적 호혜성과 부적 외향활동성 효과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구조 변수 효과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제안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보육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교수몰입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eachers' Ethical Awareness and Teaching Flow on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 전윤희;임원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42-34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교수몰입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경기도와 충남지역의 보육교사 345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교직윤리의식 및 교수몰입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하위변인 간의 상관도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이 높을수록, 교수활동 중 몰입경험이 많을수록 교사는 영유아와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교직윤리의식과 교수몰입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교수몰입의 하위변인인 내적동기, 교직윤리의식 중 영유아에 대한 윤리, 교수몰입 중 구체적 계획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의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현장에 필요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바람직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발달시키고 나아가 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SIAM Journal on Applied Mathematics의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SIAM Journal on Applied Mathematics Using Topic Modeling)

  • 김성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607-615
    • /
    • 2020
  •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산업수학과 관련한 논문들의 연구 현황 및 동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R로 1970년부터 2019년까지 SIAM Journal on Applied Mathematics 총 4910편 논문의 제목, 초록, 주제어를 수집하였으며, LDA 알고리즘 기반의 토픽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coherence score 분석 결과, 토픽의 최적 개수는 20개로 결정하였으며, 핵심 연구 주제들은 Gibbs 샘플링 방법을 기반으로 추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석학과 대수학을 중심으로 계산수학, 기하학, 수학적 모델링, 위상수학, 이산수학, 확률 및 통계학 등 다양한 수학 분야에서 산업수학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 연대별 연구 주제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 상승하는 연구 주제는 수리생물학, 비선형편미분방정식, 이산수학, 통계학, 위상수학으로, 하강하는 연구 주제는 확률론만 나타났다. 셋째, 2015개정 수학교육과정에서 반영되지 않은 분야 중 고등학교 수학교육과정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으로 기수법, 행렬, 공간벡터, 복소수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산업수학 활성화 방안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해양경찰·경찰 공무원의 외상(trauma)관련 국내 연구 동향 (A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Trauma in Maritime Police Officers and Police Officers in Korea)

  • 박경련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27-33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양경찰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의 외상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KCI 등재학술지에 실린 해양경찰, 경찰의 외상 관련 논문 57편을 수집하여 논문의 기초사항, 연구대상, 연구방법, 측정도구, 관련 변인 등을 분석하였다. 해양경찰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의 외상 관련 연구는 2010년부터 시작되어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57편 중 해양경찰공무원의 외상 관련 연구는 6편에 불과하였다. 연구자의 전공영역은 경찰행정분야(59.6 %)가 가장 많았고, 심리학(19.3 %), 의학 및 간호학(10.5 %), 사회복지학(8.8 %), 교육학(1.8 %) 영역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해양경찰공무원 대상 연구는 6편 중 1편 외에는 모두 경찰행정분야에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방법(78.9 %)이 대부분이었다. 질적 연구는 3편이었는데 모두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PTSD 척도는 IES-R-K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PDS, PCL-5가 뒤를 이었다. 외상 관련 변인으로는 외상성 사건 경험, 회복력, 스트레스 대처 방법, 사회적 지지 순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임상간호사들의 조직몰입과 선행 및 결과변수사이의 인과관계 및 영향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Antecedent and Outcome Variabl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Clinical Nurses)

  • 이상미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93-214
    • /
    • 1998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al model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Fishbein's behavioral intentions model ((Fishbein. 1967: Fishbein & Ajzen. 1975).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conceptualized within a motivational framework that mediate between antecedents variables and outcome variables. Antecedent variables were pay, promotional chances. continuing education opportunity. rigidity of the administration. paticipative decision making, latitude, group support, role conflict, work load, need for achievement. experience and pride for professional nursing. Outcome variable was turnover intention. The subjects were 373 nurses who were working at 2 larg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It represents a response rate of 94%.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August 29 to September 22 in 1997 by Questionnaire. Path analysis with LISREL 7.16 prigram was used to test the fit of the proposed conceptual model to data an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e result showed that both the proposed model and the modified model fit the data excellently. It needs to be notified, however. that path analysis can not count measurment errors: measurement error can attenuate estimates of coefficient and explanatory power. Nontheless the model revealed considerable explanatory power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58%), pride for professional nursing (50%) and turnover intention(40%). In predicting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learly demonstrated 'the pride for professional nursing' might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of all the antecedent variables. Group support, role conflict, need for achievement were also found to be important determinants fo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 showed experience might be a predictor for 'pride for professional nursing' and 'turnover intention' but not 'organizational commitment', 'Rigidity of the administration' and latitude were also found to have important roles in predicting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participative decision making might have an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promotional chance had an influence on all the outcome variables, while pay only on turnover intention. In predicting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 clearly revealed 'the pride for professional nurs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ight be the most powerful predictors among all the variables. Theses results were discussed, including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drawn from the research were suggested.

  • PDF

일선 간호관리자를 위한 리더십 프로그램에 관한 일반 간호사의 의견 조사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Antecedent and Outcome Variabl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Clinical Nurses)

  • 고명숙;한성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83-214
    • /
    • 1998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al model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Fishbein's behavioral intentions model ((Fishbein, 1967;Fishbein & Ajzen. 1975),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conceptualized within a motivational framework that mediate between antecedents variables and outcome variables. Antecedent variables were pay, promotional chances, continuing education opportunity, rigidity of the administration, paticipative decision making, latitude, group support, role conflict, work load, need for achievement, experience and pride for professional nursing. Outcome variable was turnover intention. The subjects were 373 nurses who were working at 2 larg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It represents a response rate of 94%.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August 29 to September 22 in 1997 by Questionnaire. Path analysis with LISREL 7.16 prigram was used to test the fit of the proposed conceptual model to data an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e result showed that both the proposed model and the modified model fit the data excellently. It needs to be notified, however, that path analysis can not count measurement errors; measurement error can attenuate estimates of coefficient and explanatory power. Nontheless the model revealed considerable explanatory power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58%). pride for professional nursing (50%) and turnover intention(40%). In predicting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learly demonstrated 'the pride for professional nursing' might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of all the antecedent variables. Group support. role conflict, need for achievement were also found to be important determinants fo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 showed experience might be a predictor for 'pride for professional nursing' and 'turnover intention' but not 'organizational commitment'. 'Rigidity of the administration' and latitude were also found to have important roles in predictor fo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participative decision making might have an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promotional chance had an influence on all the outcome variables, while pay only on turnover intention. In predicting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 clearly revealed 'the pride for professional nurs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ight be the most powerful predictors among all the variables. Theses results were discussed, including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drawn from the research were suggested.

  • PDF

성공적 노후 교육프로그램의 수요도 및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Empirical Study on the Needs and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Successful Aging)

  • 정종보;임왕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35-351
    • /
    • 2011
  • 본 연구는 성공적 노후 교육에 대한 노인들의 수요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 노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우선 166명의 광주지역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수요도를 파악한 결과,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성공적 노후를 위한 노후생애설계교육을 희망하고 있으며, 교육내용의 측면에서는 성공적 노후 이해, 건강관리, 재무, 사회참여, 여가, 관계, 자아정립, 실천계획수립의 각 영역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노인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성공적 노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34명의 교육프로그램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교육내용 이해도의 측면에서 이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교육프로그램은 교육내용 이해도의 측면에서 노년기변화, 성공적 노후 이해, 건강관리, 재무, 사회참여, 여가, 관계, 자아정립, 실천계획수립에 대한 이해도를 뚜렷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성공적 노후 교육프로그램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들을 대상으로 우선 실시를 제안하였다.

한국의 시민과학이 전하는 메시지: 1982~2018 (The Citizen Science Stories in Korea: 1982~2018)

  • 김지연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43-93
    • /
    • 2018
  • 이 논문에서는 시민과학 개념을 '시민이 수행하는 과학작업'이라고 정의한다. 여기서 '시민'은 공식적인 전문성의 여부와 관계없이 일상 속에서 삶의 지식을 얻는 모든 사람을 의미한다. 이 범주에는 과학자들도 포함될 수 있다. 과학의 민주화 사례에서 주로 해당 분야 과학자들이 다수 참여하는데 그들은 자신의 전문성을 시민-지향적으로 사용한다. 한국의 시민과학은 한국공해문제연구소(1982)를 시작으로 시민과학센터(1997)에 이르러서 다양해졌다. 최근에는 정부기관들도 시민참여 방식을 도입하는 등 사회적 의제가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8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의 시민과학을 소개하면서 그 성취와 난관에 대해서 알아본다. 그동안의 시민과학 활동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남겼고, 그 경험은 시민과학의 향후 방향에 대한 함의도 포함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시민과학의 유형을 4가지로 분류하고 시민과학의 다양한 역할에 대한 실천적 메시지를 탐색해본다. 그동안 한국의 시민과학 활동은 주로 '교육으로서의 시민과학'이나 '운동으로서의 시민과학'의 양상을 띠고 있었다. 상대적으로 '연구플랫폼으로서 시민과학', '거버넌스로서의 시민과학'은 거의 시도된 적이 없거나 이제 시작하고 있는 중이다. 특정 시민과학이 더 좋은 것은 아니지만 더 다양한 시민과학이 등장할 필요가 있다. 이상 4가지 유형의 시민과학은 개별적으로 또는 상보적으로 사회적 학습에 기여할 수 있다. 시민과학은 단지 전통과학의 하위 개념에 머물지 않으며 많은 잠재성을 가진 새로운 방법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