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sion-fermentation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4초

재생증발식 냉방기를 이용한 환기 냉방시스템의 성능해석 (Performance Simulation of a Ventilation System Adopting a Regenerative Evaporative Cooler)

  • 장영수;이대영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8-15
    • /
    • 2011
  • Cooling load reduction was analysed of a ventilation system adopting a regenerative evaporative cooler. The regenerative evaporative cooler is a kind of indirect evaporative cooler which cools the air down to its inlet dewpoint temperature in principle without change in the humidity ratio. The regenerative evaporative cooler was found able to cool the ventilation air to $18{\sim}21^{\circ}C$ when the outdoor condition ranges $25{\sim}35^{\circ}C$ and 0.01~0.02 kg/kg. When the outdoor humidity ratio is lower than 0.018 kg/kg, the regenerative evaporative cooler was found to provide cooling performance enough to compensate the ventilation load completely and to supply additional cooling as well. Energy simulation during the summer was carried out for a typical office building with the ventilation system using the regenerative evaporative cool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asonal cooling load can be reduced by about 40% by applying the regenerative evaporative cooler as a ventilation conditioner. The reduction was found to increase as the outdoor temperature increases and the outdoor humidity ratio decreases.

Effect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Expression of Bacillus subtilis $\alpha$-Amylase in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 Shin, Pyong-K.;Nam, Seung-H.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권3호
    • /
    • pp.166-173
    • /
    • 1992
  • The expression of Bacillus subtilis $\alpha$-amylase from the phoA-amyE fusion gene in recombinant E. coli was investigated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overexpression of cloned $\alpha$-amylase caused retardations in cell growth and synthesis of alkaline phosphatase (AP) from the chromosomal phoA gene. The change of culture temperature from $37^\circ{C}$ to $30^\circ{C}$ increased the specific activities of both $\alpha$-amylase and $\beta$-lactamase by six and two times, respectively, whereas the AP activity remained unchanged. The experiments with chlorampenicol (a translation inhibitor) suggested the enhancement of $\alpha$-amylase activity at $30^\circ{C}$, and this was partly due to the stability of $\alpha$-amylase itself. The further decrease of the temperature to $25^\circ{C}$ slowed down both the cell growth and cloned-gene expression rate. The $\alpha$-amylase activity showed a maximum at pH of 7.4 while alkaline phosphatase was most effectively produced at pH of 8.3.

  • PDF

정풍량 공조시스템의 고장검출 및 진단 시뮬레이션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Simulation for CAV AHU System)

  • 한동원;장영수;김서영;김용찬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2권10호
    • /
    • pp.687-696
    • /
    • 2010
  • In this study, FDD algorithm was developed using the normalized distance method and general pattern classifier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constant air volume air handling unit(CAV AHU) system. The simulation model using TRNSYS and EES was developed in order to obtain characteristic data of CAV AHU system under the normal and the faulty operation. Sensitivity analysis of fault detection was carried out with respect to fault progress. When differential pressure of mixed air filter increased by more than about 105 pascal, FDD algorithm was able to detect the fault. The return air temperature is very important measurement parameter controlling cooling capac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tect measurement error of the return air temperature. Measurement error of the return air temperature sensor can be detected at below $1.2^{\circ}C$ by FDD algorithm. FDD algorith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indicate each failure modes accurately.

후처리를 이용한 $CO_2$ 포집이 화력 발전설비 성능에 미치는 영향 해석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ost-Combustion $CO_2$ Capture on the Performance of Fossil Power Plants)

  • 탁상현;김동섭;장영수;이대영;김민성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2권8호
    • /
    • pp.545-552
    • /
    • 2010
  • Research and development efforts to reduce $CO_2$ emission are in progress to cope with global warming. $CO_2$ emission from fossil fuel fired power plants is a major greenhouse gas source and the post-combustion $CO_2$ capture is considered as a short or medium term option to reduce $CO_2$ emissions.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the post-combustion $CO_2$ capture system, which is based on chemical absorption and stripping processes, to typical fossil fuel fired power plants was investigated. A coal fired plant and a natural gas fired combined cycle plant were selected. Performance of the MEA-based $CO_2$ capture system combined with power plants was analyzed and overall plant performance including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CO_2$ capture process was investigated.

카사바 당화액을 이용한 실험실용 및 산업용 효모의 에탄올 발효성능 비교 (Comparison of Ethanol Fermentation Properties between Laboratorial and Industrial Yeast Strains using Cassava Hydrolysate)

  • 진영욱;김진우;박용철;서진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20-225
    • /
    • 2012
  • 실험실용 효모 CEN.PK2-1D와 산업용 효모 JHS100와 JHS200의 ethanol 발효성능을 순수배지와 카사바 당화액에서 비교하고 발효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세포성장속도와 ethanol 내성, 부산물 glycerol과 acetate의 생성에 대해 비교하였다. JHS100과 JHS200은 CEN.PK2-1D과 비교하여 세포성장이 빨랐으며 ethanol에 대한 내성이 높았다. 순수YP 배지에 300 g/L glucose를 탄소원으로 이용한 회분식 배양에서 세 효모 모두 0.46 g/g의 ethanol 생산수율을 나타냈으며 생산성은 세포성장속도가 가장 빨랐던 JHS100이 3.05 g/L-hr로 가장 높아서 최종적으로 JHS100 균주는 136.6 g/L의 ethanol을 생산하였다. 카사바 당화액에 질소원을 추가하지 않은 배지를 이용한 혐기성 회분식 배양에서 산업용 효모 JHS100은 106.1 g/L ethanol을 최종적으로 생산하였고, 0.42 g/g 생산수율과 3.15 g/L-hr 생산성을 보였다. 특히, 카사바 당화액과 순수 YP배지를 이용한 발효의 ethanol 생산변수를 비교할 경우, 실험실용 효모 CEN.PK2-1D는 생산수율과 생산성이 각각 19%와 17% 감소한 반면, 산업용 효모 JHS100과 JHS200은 생산수율이 8% 감소하였고 유사한 생산성을 보였다. 또한, ethanol 생산과정의 최대 부산물인 glycerol과 acetate의 생산에 대해서 JHS100과 JHS200이 CEN.PK2-1D에 비하여 크게 낮았다. 따라서 산업용 효모인 JHS100과 JHS200의 뛰어난 ethanol 발효성능은 빠른 세포성장과 높은 ethanol 내성, 낮은 질소원 요구성, 부산물인 glycerol과 acetate의 낮은 생산성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예상한다.

Saccharomyces cerevisiae D-71과 Zygosaccharomyces rouxii SR-S의 세포융합으로 육성한 융합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Fusant from Protoplast Fusion between Saccharomyces cerevisiae D-71 and Zygosaccharomyces rouxii SR-S)

  • 이종수;김찬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7-302
    • /
    • 1988
  • 고온발효성인 Sacch. cerevisiae D-71과 내삼투압성인 Zygosacch. rouxii SR-S를 세포융합시킨 후 유전적으로 안정한 융합주 FS-RN1를 선별하여 각종 특성을 조사하였다. FS-RN-1은 이를 4$^{\circ}C$에서 6개월 보관했을 때 5.8%의 친주복귀율을 보여 유전적으로 안정하였고 친주에 비하여 세포체적이 컸고 DNA 함량이 많았으며 유도기가 다소 길었다. 또한 FS-RN1은 TTC 정색 시험에서 홍색을 띠었고 5% NaCl 함유되어 있는 간장국가수분해액의 한천배지에서 포자를 형성하였다. FS-RN1의 NaCl에 대한 내성은 친주의 중간이었으나 탄소원 자화성, KC1과 sodium propionate 및 cycloheximide 내성은 친주중 어느 한쪽의 성질을 띠었다. FS-RN1를 72시간 배양한 후 회수한 세포를 ethyl acetate로 처리한 세포현탁액의 $\beta$-fructofuranosidase 활성은 건물 g당 24.2$\times$$10^{-3}$ IU로 친주보다 훨씬 높았다. 또한 FS-RN1의 발효력은 40% glucose와 20% sucrose를 3$0^{\circ}C$에서 4일간 발효시켰을 때 각각 6.0%(v/v)와 8.8%(v/v)의 에탄올을 생성하여 친주보다 높았다.

  • PDF

sfs1 유전자의 cAMP-cAMP receptor protein에 의한 발현 조절 (Regulation of sfs1 gene expression by the cAMP-cAMP receptor protein)

  • 유주순;이승진;이희영;정수열;최용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3호
    • /
    • pp.195-199
    • /
    • 1996
  • $crp^{\ast}$ 유전자가 도입된 대장균 MK2001($crp^{{\ast}1}$}, cya::km)을 숙주로 사용하여 mal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키는 유전자의 하나인 sfs1(sugar fermentation stimulation)의 구조해석 결과에 의하면, 잠정적인 sfs1의 promoter 영역에는 CRP 단백질과의 결합영역으로 보이는 염기배열이 존재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sfs1 유전자의 cAMP-CRP에 의한 발현 조절을 확인하고자, lacZ 와의 융합 유전자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융합 유전자는 cya 결손주인 Tp2010에서 cAMP의 첨가에 의해 ${\beta}-galactosidase$ 활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Western blotting의 실험에서도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in vivo에서 발현이 확인된 전사산물은 cAMP에 의해 전사 촉진이 일어났으며, CRP의 결합부위로 예상되는 DNA 영역은 cAMP가 존재하면 CRP 단백질과 결합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sfs1 유전자의 발현은 UMP-CRP에 의한 전사촉진 현상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해조류 바이오매스로부터 Lactic acid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Lactic Acid from Seaweed Biomass)

  • 이학래;고의석;심원철;김종서;김재능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8
    • /
    • 2022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확산됨에 따라 비대면 서비스가 성장하고 이와 동시에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동시에 탄소중립과 지속가능한 순환경제와 같은 친환경 정책이 전 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고 친환경 제품에 대한 높은 수요로 인해 패키징 업계에서도 PLA, PBAT 등을 사용한 친환경 포장재 개발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환경적 이슈에 우리나라 남해와 제주도 연안에서 매년 대량으로 발생하여 여러 형태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구멍갈파래(Ulva australis)를 새로운 대체 에너지 원료로서 활용하고자 묽은 산 전처리, 효소 당화, 발효 공정을 거쳐 해조류 바이오매스 유래 Lactic acid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해조류는 종, 수확장소, 시기 등에 따라 탄수화물의 함량과 당의 구성이 다양하며, Cellulose, Alginate, Mannan, Xylan 등의 다당류로 구성되어 있고 리그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아 곡물·목질계 자원보다 유용한 특징이 있다. 구멍갈파래를 구성하고 있는 복합 다당체는 한가지 공정만으로 높은 추출 수율을 기대하기 어려우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묽은 산 및 효소 당화의 융합 공정은 구멍갈파래가 함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당 추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업화 규모의 생산 공정 구축 시 높은 Lactic acid 생산 수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포도주용 Killer Yeast의 개발 (Construction of Killer Yeasts by Spheroplast Fusion)

  • 최언호;정은영;정원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1호
    • /
    • pp.26-32
    • /
    • 1988
  • 본 연구는 효모의 killer toxin을 포도주 발효효모에 도입시켜 발효중 다른 야생효모의 생육을 억제함으로서 starter를 절감하고 발효기간을 단축시키는 보다 효율적인 발효균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포도주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M524 균주에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을 처리하여 3종의 영양요구 변이주$CHM2(thr^-),\;CHM3(asp^-),\;CHM6(tyr^-)$를 만들었고, 이 변이주 각각을 killer 효모인 S. cerevisiae 1368R $({\alpha}\;his\;4\;kar\;1-1[kil-K][K_0]$, respiratory deficient)과 세포융합시켜 4종의 융합주 $CHF21(thr^-kil^+)\;CHF22(thr^-\;kil^+)\;CHF31(asp^-\;kil^+)\;CHF61\;(tyr^-\;kil^+)$을 만들었다. 이중 CHF31 융합주를 killer 효모 1368R과 killer 감수성 효모 S. cerevisiae $5{\times}47$에 각각 혼합 배양한 바 CHF31이 killer로서의 특성과 모균주에 못지 않은 ethanol 생성능을 지녔음이 확인되었다.

  • PDF

Combination of Poly-Gamma-Glutamate and Cyclophosphamide Enhanced Antitumor Efficacy Against Tumor Growth and Metastasis in a Murine Melanoma Model

  • Kim, Doo-Jin;Kim, Eun-Jin;Lee, Tae-Young;Won, Ji-Na;Sung, Moon-Hee;Poo, Haryo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9호
    • /
    • pp.1339-1346
    • /
    • 2013
  • Conventional chemotherapeutic regimens often accompany severe side effects and fail to induce complete regression of chemoresistant or relapsing metastatic cancers. The need for establishing more efficacious anticancer strategies led to the development of a combined modality treatment of chemotherapy in conjunction with immunotherapy or radiotherapy. It has been reported that poly-gamma-glutamate (${\gamma}$-PGA), a natural polymer composed of glutamic acids, increases antitumor activity by activating antigen-presenting cells and natural killer (NK) cells. Here, we investigated the antitumor effect of ${\gamma}$-PGA in combination with cyclophosphamide in a murine melanoma model. Whereas cyclophosphamide alone directly triggered apoptosis of tumor cells in vitro, ${\gamma}$-PGA did not show cytotoxicity in tumor cells. Instead, it activated macrophages, as reflected by the upregulation of surface activation markers and the secretion of proinflammatory factors, such as nitric oxide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When the antitumor effects were examined in a mouse model, combined treatment with cyclophosphamide and ${\gamma}$-PGA markedly suppressed tumor growth and metastasis. Notably, ${\gamma}$-PGA treatment dramatically increased the NK cell population in lung tissues, coinciding with decreased metastasis and increased survival. These data collectively suggest that ${\gamma}$-PGA can act as an immunotherapeutic agent that exhibits a synergistic antitumor effect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chemo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