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rniture

검색결과 1,752건 처리시간 0.039초

시각적 질감을 중심으로 한 한국 전통소재의 체계적 분류 (A Class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Focused on Visual Texture)

  • 박영순;김영인;이현주;신인호;최선미;최희승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197-207
    • /
    • 2001
  • 디자인된 사물은 형태, 색채, 소재를 통해 그 의미나 이미지를 전달한다. 이 세 가지 요소 중에서 소재는 촉각적·시각적 특성을 함께 지님으로써 디자인 작업에 있어서 좀 더 독특한 영향을 준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생활용품의 고안에 있어서 색채나 장식보다 소재 자체의 특성이 더 중요하게 사용되어왔으며 이에 대한 현대적 활용이 탐구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 생활환경에서 사용된 소재를 수집하고, 그 표면에 나타난 질감적 특성에 의해 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려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민속촌 둥의 현장조사와 더불어 문헌고찰을 통해 한국 전통소재가 표현된 사진들을 수집하였다. 수집 대상은 전통건축 및 실내, 가구, 의복 및 직물소재, 예술 및 공예품, 생활용품 등 생활의 각 분야가 모두 포함되도록 하였다. 수집된 소재의 총 사례 수는 543개였으며 이는 금속재, 토재, 석재, 지재, 목재, 초재, 섬유재 둥 7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각 소재들의 사례 수는 금속재가 59개, 토재 115개, 석재 62개, 지재 73개, 목재 80개, 초재 47개, 섬유재 97개, 기타 10개였다. 각 소재들은 표면의 질감적 특성에 의해 성형방법과 표면장식으로 나누어 정리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각 소재들은 그 성형방법과 표면장식이 다양하고 독특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소재별로 개발된 가공방법들에 의한 다양한 질감은 오늘날의 디자이너들에게도 풍부한 정보와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 PDF

월리엄 모리스의 텍스타일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xtile Design of William Morris)

  • 이경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163-174
    • /
    • 2001
  • 월리엄 모리스(1834-1896)는 19세기 영국의 지식인중에서도 가장 다재다능한 사람이었다. 그의 사후 백년이 지났지만, 화가 디자이너, 제조업자, 상회경영자, 시인, 작가, 출판인, 인쇄업자, 수집가, 교사, 자원보호론자, 사회운동가, 환경보호론자 둥으로 활약했던 그의 삶과 일은 아직도 전세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모리스는 오늘날 그의 매력적인 컬러풀한 패턴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1861년 모리스는 모리스 마샬 포크너상회(1875년부터 모리스상회)를 설립하여, 스테인드 글라스를 비롯한 타피스트리, 카펫, 프린트물, 직물 둥을 생산해 냈는데, 그러한 디자인은 영국 디자인의 향방에 큰 지침을 주었다. 모리스의 초기의 텍스타일 디자인은 비전문가로서 자신의 필요에 의한 자수작업이었으나, 곧 상업적인 기초를 갖고 텍스타일 제품을 생산해내기 시작한다. 모리스는 제작을 적절히 콘트롤하기 위해서 다양한 텍스타일의 테크닉을 배웠는데, 처음에는 염색, 블록 프린팅, 수직 자카드 둥을 배웠고, 나중에는 카펫과 타피스트리까지 배웠다. 이러한 비상한 제작에 대한 직접적인 참여는, 모리스와 당시의 다른 디자이너들과의 차이점이었고, 그의 성공에도 크게 기석하게 된다. 모리스의 텍스타일 디자인은 자수, 염색, 직물, 카펫 타피스트리 둥의 작품으로 상업적으로 생산되어 널리 상찬을 받았고, 오늘날에도 복제되고 있다. 이것은 그의 디자인이 시대를 초월한 질과 테크닉으로 존중되고 있기 때문이며, 또한, 그의 패턴의 세부에서도 볼 수 있는 자연에 대한 사랑의 중요성 때문이다.

  • PDF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자기표현욕구의 영향요인과 디지털 아이템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The Antecedents of Need for Self-Presentation and the Effect on Digital Item Purchase Intention in an Online Community)

  • 고준;신선진;김희웅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8권1호
    • /
    • pp.117-144
    • /
    • 2008
  • Lots of virtual communities and online businesses presently derive their primary sources of revenues through advertising, but nevertheless are plagued with marginal profitability though they might possess a significant user base. In the light of the need for an efficacious business model, there have been recent insights of an online community in particular reaping profits through an innovative and lucrative revenue generation method that earns by selling digital items. There have been some obvious evidences (e.g., Cyworld, SecondLife, Habo Hotel, etc.) that online communities can be profitable through their unique business model of selling digital items. However, there is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motivation of purchasing digital items.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main motivators of digital item purchases based on social/individual identity theory and self-presentation theory. "Digital items", otherwise known as "virtual assets", may include online avatars, accessories for the avatars, decorative ornaments like furniture, digital wallpapers, skins, background music and virtual weapons used for Internet games. These digital items are employed by users for representation and articulation in the online space, especially to create and enhance their online profiles in web pages and games. Prices for digital items typically range from a few cents to a few dollars each.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like social identity theory and self-presentation theory, we developed the research model and proposed seven hypotheses. An analysis of 225 members of Cyworld found that digital item purchase intention in virtual world is affected by both members' need for self-presentation and need for affiliation. We also found that the need for self-presentation is significantly increased by innovativeness of members, community group norm, and community involvement. We concluded that the need for self-presentation could be a key variable for profitable business model in online community service industry. However, neither individual self-efficacy nor the need for affili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need for self-presentation which triggers purchase intention of digital items. In term of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 this study can be a pioneering empirical research that investigates the purchase intention of digital items based on social identity theory and self-presentation theory in the online context. Also, the findings of our study are valuable and practical for practitioners in the market who wish to adopt or improve the business model of selling digital items in an online community. From the findings, it can be seen that innovativeness of users, community group norm, and community involvement are three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need for self-presentation of users which ultimately leads to their intentions to buy digital items. These findings put forth that virtual community providers and online businesses selling digital items should prioritize their efforts and focus on these three factors if they want to increase the sales of these digital items and generate greater revenues.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academic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o understand why the community members pay money for their digital items in virtual world and how the practitioners can increase the sales of digital items in an online community. A couple of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색채 목가구 개발을 위한 천연염료의 이용에 관한 연구(제2보) - 천연염료의 처리 방법에 따른 색 변화 연구 - (Application of Natural Dyes for Developing Colored Wood Furniture (II) - Color Variation by Treatment Methods of Natural Dyes-)

  • 문선옥;김철환;김경윤;이영민;신태기;김종갑;박종열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3호
    • /
    • pp.70-78
    • /
    • 2007
  • 본 연구는 치자나무, 홍화, 오배자, 지치(지초), 소목 및 밤송이 등으로부터 추출한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밤나무재를 염색할 때 나타나는 목재 표면의 색상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효과적인 천연염색법을 검토하였다. 목재 시편은 염액의 온도, pH, 침지시간, 반복처리 횟수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조건을 적용하여 다채로운 색을 발현시겼고, 천연염색된 시편의 색상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L^*$, $a^*$$b^*$ 값을 측정하여 채도와 염착농도를 산출해 내었다. 도막처리법은 천연염색 시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침지 처리에 비해서 더욱 경제적인 처리법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착색력이 낮은 도막처리법은 반복적인 도막 처리를 통하여 원하는 색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색상의 농담도 쉽게 표현할 수 있었다. 천연염색 처리 결과 염액의 온도가 높으며 약산성 염료(pH4의 수준)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착색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국 대학도서관 가구의 표준화에 관한 인간공학적 연구 -서가${\cdot}$의자${\cdot}$책상${\cdot}$ 목록함을 중심으로- (Human Engineering Approach to the Standardization of Shelving, Chairs, Tables and Card Cabinets for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 손정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1권
    • /
    • pp.3-42
    • /
    • 1984
  • This is to establish a model of the standardization of shelving, chairs, tables and card cabinets for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The size of furniture was measured on the base of the analysis of the human factors, such as the standard size of human bodies of the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scope of work area, the moving degree of muscles, the limit of the visual field,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is desirable that the standard shelf length should be 800mm. and the maximum . shelving height should not exceed 1,803mm. And it is desirable that the bottom shelf has a ground clearance of about $210\~390mm$. 2. It is advisable that the sloped shelving has the slope from about 1,000mm, or 930mm, and the gradient should be $19^{\circ}$ from the above mentioned sloping position and the bottom of each shelf. And it is desirable that the slope height of each shelf should be 77mm. 3. It is advisable that the seat area for users should be $410\~420\times420mm$, and the seat height should be $390\~0400mm$. 4. It is desirable that the table size per user should exceed $490\times880\~890mm$, and the table height should be $680\~690mm$. 5. It is advisable that each tray of the card cabinet should hold about 740 cards, and the depth should exceed 430mm. And it is desirable that the maximum height of card cabinets should be as follows: 60du(drawer units)-$1,400\~1,460mm$, 30du-1, 300mm, 15du-1,100mm. In addition, it is advisable that the 30du cabinet should accomodate 5 trays vertically and 6 trays horizontally for avoiding the worst working position rather than 6 trays vertically and 5 trays horizontally. 6. It is desirable that the height of sliding reference shelves in card cabinets, or consultation tables should be 900mm. But in the case of the sliding shelves, it is desirable to be as follows: 15du-900mm when the card cabinet height is more than 1,100, mm, but unnecessary when less than 1,100mm high, 30du-1,000mm, or 1,100mm in the case of $5\times6du$, but 900mm in the case of $6\times5du$, $60du-900\~950mm$ when the card cabinet height is $1,400\~1,460mm$.

  • PDF

산업단지 내 공업용수 공급의 경제적 가치 및 한계생산가치 변동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Economic Value and Variance on Water Supply in Industrial Complexes)

  • 김길호;김덕환;김경탁;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0-200
    • /
    • 2018
  • 본 연구는 공업용수 공급사업에 따른 경제적 가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생산함수 접근법에 기반한 한계생산가치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Cobb-Douglas, Translog, Sector 더미변수를 포함한 Trasnslog 생산함수를 기준으로 11개 산업유형별로 구분된 4가지 자료세트(Cas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 산업 평균 한계생산가치는 각각 3,217~5,357원/ton, 2,994~4,569원/ton, 3,620~5,342원/ton로 나타났으며, 산업유형별 결과는 가구 및 기타제조 산업에서 가장 크게 추정되었고, 섬유 가죽산업에서 가장 낮은 한계생산가치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Cobb-Douglas 함수에 의한 결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료세트에 따른 변동성 또한 Cobb-Douglas 함수에서 크게 나타났다. 생활용수에 비해 공업용수의 경제적 가치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미흡하였으나, 향후 활발한 연구를 통해 다학제간 합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북촌한옥 각 실의 용도 및 공간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 개방한옥과 공공매입한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anges in the Space Composition of Each Room in Bukchon Hanok - Focused on Open-Hanoks and Publicly Puhased Hanoks -)

  • 김도연;오혜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2호
    • /
    • pp.115-12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in the composition of indoor spaces in Korean-style houses which have been repaired and improved extensively through the 'Bukchon Improvement Project' and are being utilized for public purposes. For this, we conducted a field survey through visiting the house sites from the 5th to the 26th of May, 2006.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Bukchon Korean-style houses maintain centripetal space composition, in which the rooms surround the court. Centering on the court, the hierarchy of spaces is determined, and the hierarchy of spaces and the composition of internal layout are restructured centering on the court and the main hall without change in direction and position. The main hall is sometimes converted to a room, but it maintains an open space relation with other spaces centering on the court, and therefore, even after its use has been changed, it is still the most Korean-style space. In addition, with floor heating, the common sitting-style life is maintained continuously although the rooms have been converted and standing-style furniture is used. In this way, publicly promoted policies for Korean-style houses are allowed within the limit that the appearance is maintained and the internal spaces do not change the overall structure. However, in order to maintain the tradition of Korean-style houses and utilize them as various spaces, the following supplementations are necessary. First, the main hall and the inner court of a Koreanstyle house should be utilized actively. The court sometimes keeps individuals' privacy or expands the space by extending the view to outdoor spaces, and is sometimes used as an open space through interconnection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use. Second,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vertical spaces. Horizontal expansion causes a change of floor plan. Thus, space should be secured using various cross-sectional changes, such as a kitchen and a loft over the kitchen. Third, structure should be changeable in order to adjust the size of spaces. Thus, through research on traditional windows, we need to develop changeable walls that can be installed and removed easily according to the use of spaces.

이태리 레스토랑의 실내공간과 음식서비스 품질에 대한 고객과 종사자의 인식차이 분석 (An Analysis of Perception Gap on the Interior Space and Foodservice Quality of Italian Restaurants between Customers and Personnel)

  • 이은정;안선정;이보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0-152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이태리 레스토랑에서 음식서비스 전달자인 종사자와 고객을 대상으로 실내공간과 음식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의 괴리(gap)를 분석하여 고객 만족을 위한 음식서비스 전달에서의 문제점과 종사자의 인식 전환 필요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내공간과 음식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하여 레스토랑에서 서비스 품질인식과 고객 만족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종사자의 점수(3.79점/5점)가 고객의 점수(3.78)보가 약간 높게 평가되었다. 특히 16개의 고객의 속성 중 '레스토랑 전체 조명', '음식재료의 신선도', '음식의 창의성' 등이 직원의 점수보가 유의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종사자와 고객 모두가 4개의 속성 중에서 '음식의 품질'을 가장 높게, '테이블 세팅'을 가장 낮게 인식했다. 격자도 분석 결과, 'Q3. 음식을 담은 그릇', 'Q6. 테이블 전체의 청결도', 'Q12. 음식의 배치도', 'Q17. 실내공간의 쾌적성', 'Q18. 실내공간의 온도', 'Q23. 레스토랑 전체 조명', 'Q30. 가구 및 액세서리 장식'이 Quadrant A 영역에는 포함되었는데, 이는 종사자의 인식도가 고객의 인식도 보다 낮아 고객들의 불만족하는 속성들이다. 따라서 이종사자들이 전달하고 있다고 인지하고 있는 서비스 수준이 고객과 괴리가 있음을 깨닫고 서비스 품질 개선에 있어 우선순위를 부여하여야 한다.

  • PDF

Ergonomic Design of Medic Work Table (MWT) for Medical Technologist

  • Choi, Kyeong-Hee;Lee, Sung-Yong;Lee, Jun-Hyub;Kong, Yong-Ku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95-609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guidelines for Medic Work Table (MWT) based on the anthropometric data of medical technologists. Background: Users' anthropometric data such as sitting height, sitting elbow height, knee height, and so on are significant factors for designing comfortable and useful furniture. Thus, many guidelines for different types of desks and chairs based on the users' anthropometric data have been suggested to many researchers. However, few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provide design guidelines for MWT for blood collecting task. Medical technologists often use their upper extremities to perform blood collecting task with high repetitions. These repeated motions could be a critical factor in the prevalence rate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Therefore, a study on ergonomic design of MWT would be essential in preventing the WMSD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medical technologists. Method: This study suggested design guidelines for ergonomic MWT by focusing on the heights of the upper side and underside, depths of the inside and outside, and width of MWT through anthropometric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s. Afterwards, a new MWT was made using the suggested design guidelines for this study. Five healthy medical technologists participated to evaluate the original MWT and new MWT. All participants took part in the range of motion (ROM) test, electromyography (EMG) muscle activity test, and usability test to validate the suggested guidelines in this study. EMG signals of related muscles (Flexor Carpi Ulnaris, Extensor Carpi Ulnaris, Deltoid Anterior, and Biceps Branchii) were recorded through the surface electromyography system from both the original MWT and the new MWT. The ROM test of the shoulder and elbow flexion was also assessed using motion sensors. Results: The newly designed MWT showed decreased ROMs of the shoulder and elbow up to 22% and 18% compared to the original MWT. The muscle activities in the new MWT also showed a decrease of 13% in Anterior Deltoid, 6% in Biceps Brachii, 5% in Flexor Carpi Ulnaris, and 8% in Extensor Carpi Ulnaris muscle groups, compared to the original MWT. In the usability test, the satisfaction score of the new MWT was also 56.1% higher than that of the original MW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guidelines for designing MWT and validating the guidelines throug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The results of motion analysis, muscle activity, and usability tests demonstrated that the newly designed MWT may lead to less physical stress, less awkward posture, and better physical user interface. Application: The recommended guidelines of the MWT would be helpful information for designing an ergonomic MWT that reduces physical loads and improves the performance of many medical technologists.

전북 제조업의 성장과 공간적 발달 (Spatial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industry in Chonbuk Province,1975~1999)

  • 백영기;김진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22
    • /
    • 2000
  • 전북의 제조업은 낮은 수준에도 불구하고 지난 20여년 동안 꾸준히 발달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이 지역의 중심산업 이었던 노동집약형 업종들의 중요도가 점차로 감소하고 자동차, 화학제품, 통신장비, 기타기계 등 새로운 업종들의 성장이 두드러지게 높아지고 있다. 업종별 다양성의 증가를 동반하는 이러한 구조적 변화의 특성은 국가의 산업구조조정 정책 방향과 일치하고 있으나 아직은 구조 전환의 속도가 느려 결국 수준에 미치고 못하고 있다. 특히 자본집약형의 비중이 아직도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첨단기술산업의 발달은 미약한 실정이다. 구조적 변화와 더불어 전북 제조업의 공간적 구조도 새로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 지역의 중심 도시인 전주, 익산, 군산 지역이 전북제조업을 여전히 주도하고 있지만, 이 중심지역 내에서 제조업 이심화가 분명히 나타나고 있으며, 중심에 인접한 김제와 정읍 지역에 새로운 외부투자가 증가하여 분산화 현상도 보여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전북의 제조업 공간구조는 지역 내에서도 격차가 극히 심하여 중심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제조업 발달은 극히 부진한 실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