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gicide benomyl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7초

살균제가 줄지렁이 치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Fungicides on Mortality of Earthworm, Eisenia fetida)

  • 나영은;방혜선;한민수;안용준;윤성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280-284
    • /
    • 2006
  • 농경지에 과거에 사용했거나 사용중인 살균제 14종에 대하여 농경지에 뿌려지는 추천사용량을 기준으로 토양표토처리법, 침지법, 여지접촉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추천사용량에서 14종의 농약이 무처리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이런 농약들은 줄지렁이 치사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benomyl, Thiophanate-methyl, carbendazim 농약은 지렁이에게 독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목초액, 식물추출물 및 살균제를 이용한 표고골목해균인 주홍꼬리버섯 방제 (Control of Diatrype stigma Occurred on the Bed-log of Shiitake Using Wood Vinegar, Plant Extracts and Fungicides)

  • 박원철;이봉훈;가강현;조태수;이학주;이성숙;김명길;차병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2-28
    • /
    • 2006
  • 목초액, 잣나무추출물, 후추열매추출물 및 살균제를 이용해서 표고 골목에 발생하는 주홍꼬리버섯을 방제하고자 하였다. 식물추출물 선발시험결과, 목초액 35,000 ppm에서 균사생장이 완전히 억제되었고 25,000 ppm에서 자낭포자의 발아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잣나무추출물 200 ppm과 후추열매추출물 1,000 ppm에서 각각 98.9%와 95.9%의 자낭포자발아억제율을 보였다. 살균제 선발시험 결과, benomyl, carbendazim, thiabendazole 등의 최소억제농도(MIC)는 $0{\sim}0.4\;{\mu}g\;a.i./m{\ell}$였다. Difenoconazole은 $0.08%\;{\mu}g/m{\ell}$ 농도에서 자낭포자 발아를 98.9% 억제했다. 살균제에 의한 표고균사생장억제율 조사 결과, 저온성, 중온성, 고온성균주 간에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Benomyl, carbendazim, thiabendazole, thiophanate-methyl 등은 높은 농도에서도 비교적 낮은 억제율을 보였으나, tebuconazole은 $0.4\;{\mu}g\;a.i./m{\ell}$ 농도에서도 80% 이상의 억제율을 보여 표고균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초액 및 식물추출물과 살균제를 골목에 살포한 결과 목초액 150,000 ppm이 주흥꼬리버섯의 포자퇴형성 전 처리에서 72.7%의 방제가를 보였고 포자퇴형성 후 처리에서 목초액 70,000 ppm과 thiophanate-methyl 1,000 ppm이 각각 58.1%와 52.3%의 방제가를 보였다.

콩 탄저병균의 생장 및 병 진전에 미치는 온도, 수분 존재시간, 살균제의 영향 (Influence of Temperature, Wetness Duration and Fungicides on Fungal Growth and Disease Progress of Soybean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spp.)

  • 오정행;김규홍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31-136
    • /
    • 2003
  • 콩 탄저병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하여 병원균의 병원성을 비교하고, 포자발아, 부착기 형성, 균사생장 및 병 진전에 미치는 온도와 수분존재시간의 영향, 그리고 살균제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C. gloeosporioides의 종자병원성은 C.truncatum과 비슷하게 높았으나 경엽에서의 병원성은 현저히 낮았다. C. gloeosporioides의 포자발아, 부착기 형성, 균사생장 적온은 $25^{\circ}C$였고, C. truncatum의 적온은 $30^{\circ}C$였으며, $15^{\circ}C$에서는 매우 낮았다. 살균제에 대한 반응은 C. truncatum은 fluazinam과 benomyl에 대해, C. gloeosporioides는 fluazinam과 triflumizole에 대해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C. truncatum에 의한 병의 진전율은 수분존재시간이 8시간이면 $30^{\circ}C$에서, 32시간 이상이면 $25^{\circ}C$에서 가장 높았으며, $20^{\circ}C$에서는 매우 낮았다.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은 병원균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Colletotrichum spp. 의 중복감염에 의한 콩 탄저병의 방제를 위해서는 살균제의 정확한 선택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살균제 저항성 백합 잎마름병균(Botrytis elliptica)의 발생과 변화 (Occurrence and Changes of Botrytis elliptica resistant to fungicides)

  • 김병섭;전환홍;황영아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1-67
    • /
    • 2001
  • 강원도 고랭지의 백합 재배 농가로부터 1998년부터 2000년에 걸쳐 516균주의 Botrytis elliptica를 분리하여 주요 방제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 실태를 조사하였다. 분리한 균주들 가운데 benomyl, procymidone, diethofencarb에 대하여 저항성을 나타내는 균주의 출현율은 각각 90.1, 32.3, 40.9%로 높게 나타나 약제 저항성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균주의 benzimidazole계, dicarboximide계, N-phenylcarbamate계에 대한 감수성(S) 및 저항성(R) 반응은 6그룹(RSS, RRS, SSR, SRR, RSR, RRR)으로 나누어졌다. 6개 반응형 각각의 분리 빈도는 40.7, 8.5, 7.2, 2.7, 19.8, 21.1%로 나타났다. 이 중 carbendazim에만 저항성인 RSS형이 40.7%로 가장 놀게 나타났고, Procymidone과 diethofencarb에 저항성인 SRR형은 2.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약제 반응형은 월동기를 지나면서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반응형과 감소하는 반응형이 있는데 이는 이들 균 자체 적응력 차이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적응력이 높은 약제 반응형은 RSS, SSR형으로 나타났으며, 적응력이 낮은 약제 반응형은 SRR, RSR, RRR형으로 나타났고 RRS형은 큰 변동이 없었다. Benzimidazole계 살균제에 저항성균의 방제를 위하여 1998년 봄부터 benzimidazole계와 N-phenylcarbamate계의 합제 사용으로 효과는 얻고 있으나, 이 두 계열의 약제에 대한 다중 저항성균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점차 약효가 감소하고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백합 잎마름병균(Botrytis elliptica)의 방제 위하여 살균제 사용에 철저한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감귤 부패 사상균에 대한 감귤 정유와 시판 합성 농약의 항균 효과 (Growth-inhibitory Effects of Citrus Oils and Synthetic Agricultural Fungicides on Molds Isolated from Putrefied Citrus Fruits)

  • 김유경;고정삼;허윤희;고영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356-360
    • /
    • 1999
  • 감귤저장 방법의 개선과 감귤 껍질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 시판 중인 농약제제와 감귤정유의 감귤부패 관련 사상균에 대한 살균 작용을 조사하였다. Alternaria alternata, Rhizopus sp., Botrytis cinerea, Monilia candida, Penicillium italicum, Penicillium digitatum 등 6종의 사상균에 대한 시판 합성 농약제제 11종의 생육저해 효과를 조사한 결과, mancozeb 또는 fluazinam을 함유한 제제의 활성 범위가 가장 넓었고, conazole 계통의 화합물이 중간 정도의 활성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iprodione, benomyl, azoxtrobin 또는 thiophanate을 함유한 제제의 항균활성 범위가 가장 좁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약제제의 생육저해 효과는 대상 균주에 따라 달랐으며, Penicillium italicum과 Alternaria alternata는 각종 살균제의 처리에 대한 생존력이 비교적 강하였다. 감귤정유를 상기 6개 균주의 포자와 각각 접촉시켰을 때는 그 어느 균주의 생존 포자도 검출되지 않았으며, 감귤정유의 살균력은 paper disk법과 현미경 관찰로도 증명되었다. 이는 감귤정유가 광범위한 살균력을 지니고 있음을 제시한다. 따라서 감귤 정유를 감귤저장에 활용하는 방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PDF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몇 가지 계면활성제의 방제 효과 (Controlling effect of several surfactants on barley powdery mildew caused by Erysiphae graminis)

  • 장경수;유주현;최경자;김진철;조광연;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1-57
    • /
    • 2001
  • Tween 20을 비롯한 8 종류의 계면활성제를 선발하여 보리흰가루병(병원균: Erysiphae graminis f.sp. hordei)에 대한 방제효과와 기존약제에 첨가하였을 때 약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000{\mu}g/mL$ 처리구에서 흰가루병에 대하여 90%의 방제효과를 보인 PNPP가 공시한 다른 계면활성제보다 높은 예방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치료효과의 실험에서는 LN 13.0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500{\mu}g/mL$의 LN 13.0은 병원균을 접종하고 4일 후에 처리하여도 흰가루병의 발병은 4.0%의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 물한천배지 상에서 실시한 포자발아 억제실험에서 LN 13.0을 비롯한 공시한 모든 계면활성제는 흰가루병균의 포자 발아를 억제하였다. Triforine, triadimefon, benomyl의 처리용액을 증류수로 조제하였을 때에는 benomyl만이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효과가 없었던 triadimefon과 triforine은 LN 13.0과 Tween 20을 첨가하여 살포하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SP 13.0, NP 13.0, LN 13.0, DBC 등의 계면활성제는 $1,000{\mu}g/mL$의 고농도로 보리에 처리하면 심한 약해가 유발되었으나, Tween 20, SLIS, PAS, PNPP 등은 동일한 농도에서 약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한 벼키다리 병 방제 (Establishment of Rice Bakanae Disease Management Using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Acid Water)

  • 구성근;구자춘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8-185
    • /
    • 2020
  • 벼키다리병은 Fusarium fujikuroi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종자전염성 병이다. 이 병의 방제는 화학약제를 이용한 종자소독이 가장 효율적이지만 최근 약제에 저항성을 갖는 균주의 출현이 증가하고 있다.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는 환경이나 사람의 건강에는 유해성이 낮지만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에 강력하고 광범위한 항균활성을 갖는 살균소독제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화학 약제 저항성 또는 민감성 균주를 포함하는 16개의 F. fujikuroi 균주를 대상으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고, 이를 이용한 친환경적 병 방제 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는 화학약제 저항성 균주를 포함한 조사한 F. fujikuroi 균주 모두에 대해 유리염소 5±2.5 ppm 농도에서 비특이적이고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냈고, 처리 후 5분 이내에 F. fujikuroi 세포의 치명적 손상과 함께 완전한 살균 효과를 나타났다. F. fujikuroi 균주로 감염된 벼 종자를 20±10 ppm의 유리염소를 포함하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로 12시간 침지 소독하였을 경우, 종자 소독 효과와 병 방제율은 각각 95~98%와 90.1~92.6%였다.

Foliar Application of Extract from an Azalomycin-Producing Streptomyces malaysiensis Strain MJM1968 Suppresses Yam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 Palaniyandi, Sasikumar Arunachalam;Yang, Seung Hwan;Suh, Joo-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6호
    • /
    • pp.1103-1108
    • /
    • 2016
  • Yam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g) is the most devastating disease of yam (Dioscorea sp.).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culture filtrate extract (CFE) of azalomycin-producing Streptomyces malaysiensis strain MJM1968 for the control of yam anthracnose. MJM1968 showed strong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C.g in vitro. Furthermore, the MJM1968 CFE was tested for inhibition of spore germination in C.g, where it completely inhibited spore germination at a concentration of 50 μg/ml. To assess the in planta efficacy of the CFE and spores of MJM1968 against C.g, a detached leaf bioassay was conducted, which showed both the treatments suppressed anthracnose development on detached yam leaves. Furthermore, a greenhous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FE from MJM1968 as a fungicide for the control of yam anthracnose. The CFE non-treated plants showed a disease severity of >92% after 90 days of artificial inoculation with C.g, whereas the disease severity of CFE-treated and benomyl-treated yam plants was reduced to 26% and 15%, respectively, after 90 days. Analysis of the yam tubers from the CFE-treated and non-treated groups showed that tubers from the CFE-treated plants were larger than that of non-treated plants, which produced abnormal smaller tubers typical of anthracnose. This study demonstrated the utility of the CFE from S. malaysiensis strain MJM1968 as a biofungicide for the control of yam anthracnose.

벼 성숙기 침관수 피해양상 (Phase of Overhead Flooding Damage during Maturation of Rice)

  • 최장수;안덕종;최충돈;이승필;최부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48-155
    • /
    • 2000
  • '98년과 '99년의 집중 호우시 침관수 피해지역과 태풍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벼 생육 실태를 조사한 결과, 벼 감수분열기 토시유입에 의해 지상부의 10%이상이 매몰되면 출수가 지연 되고 고위분얼이 발생하며 등숙비율이 불량해져 수량이 감소하였다. 출수후 탁수가 관수되어 이삭에 흙앙금이 부착되면 등숙비율과 정현비율이 낮아져 수량이 감소하였는데, 흙앙금으로 인한 피해는 등숙이 진전될수록 경감하였으며, 베노밀과 다코닐 처리에 의해 피해가 경감되었다. 벼 도복후 7일정도 경과하면 대부분의 벼 품종은 수발아가 발생하고, 수발아 정도는 조생종>중생종>중만생종의 순이었다.

  • PDF

Bio-Sulfur Pre-Treatment Suppresses Anthracnose on Cucumber Leaves Inoculated with Colletotrichum orbiculare

  • Ko, Eun Ju;Shin, Yong Ho;Hyun, He Nam;Song, Hyo Soon;Hong, Jeum Kyu;Jeun, Yong Chull
    • Mycobiology
    • /
    • 제47권3호
    • /
    • pp.308-318
    • /
    • 2019
  • Bio-sulfur can be produced in the process of desulfurization from a landfill and collected by some microorganism such as Thiobacillus sp. as a sulfur element. In order to investigate practical use of bio-sulfur as an agent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 in vitro antifungal activity of bio-sulfur was tested against Colletotrichum orbiculare known to cause cucumber anthracnose. Efficacy of bio-sulfur for suppressing anthracnose disease was also evaluated in vivo using cucumber leaves. Mycelial growth of C. orbiculare on medium containing bio-sulfur was inhibited. Disease severity of cucumber leaves pre-treated with bio-sulfu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untreated ones. To illustrate how bio-sulfur could suppress anthracnose disease, structures of cucumber leaves infected with C. orbiculare were observed under a fluorescent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Cucumber leaves pre-treated with bio-sulfur showed a low rate of appressorium formation whereas untreated ones showed abundant appressoria. Shrunk fungal hyphae were mostly observed on bio-sulfur-pretreated leaves by SEM.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on leaves pre-treated with a commercial fungicide Benomyl(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hibition of appressorium formation of C. orbiculare by bio-sulfur may contribute to its suppression of cucumber anthracn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