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gal infections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5초

Tosylchloramide Sodium $(Halamid{\circledR})$의 잠실 잠구 및 잠체소독약으로서의 응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pplicability of Tosylchloramide Sodium $(Halamid{\circledR})$ to Silkworm Rearing Industry as a useful Disinfectant)

  • 이장낙;임종성;서익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24
    • /
    • 1972
  • 1971년 가을누에 사육기간동안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잠실에서 (1) 4가지 중요한 누에 병원체(Aspergillus flavus, Bacillus thuringiensis, Aspergillus Oryzae 및 Isaria farinosa)의 Halamid (Tosylchloramide Sodium) (할라미드; 한국내 등록상품명 하라믿$^{(R)}$ )에 대한 감수성에 관하여 (2) 각 령기에서의 누에 유충에 대한 Halamid의 급성독성에 관하여 (3) 곰팡이로 인한 경화병과 Virus로 인한 농병의 발병에 대한 Halamid의 억제효과와 Halamid의 누에 유충에 대한 만성독성에 관하여 (4) Halamid로서 처리된 누에에서 얻은 생사의 량과 질에 관하여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번 실험의 결과로서 필자들은 Halamid를 잠실, 잠구 및 잠체 소독약으로서 유효하게 쓸 수 있다는것, 그리고 Halamid는 2%나 3%의 수용액상태로서 누에 유충에 대하여 전령기를 통해서 하루걸러 뿌릴때에 잠체소독약으로서의 효과를 실험한 다른 조건의 경우보다는 더욱 잘 발휘한다는 것을 알아 내었다.

  • PDF

골수이형성 증후군 환자에서 발생한 종괴와 폐색전증을 모방하는 혈관침습성 점막진균증: 증례 보고 (Angioinvasive Mucormycosis Mimicking Mass and Pulmonary Thromboembolism in a Patient with Myelodysplastic Syndrome: A Case Report)

  • 나효주;김성수;천신혜;김진환;권혜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474-479
    • /
    • 2024
  • Mucormycosis는 Mucorales에 의해 유발되는 진균 감염으로, 다양한 장기를 침범할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폐점균증은 드물지만 특히 면역 저하 환자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기회 감염이다. 폐점균증의 영상 소견은 다양하지만, 폐점액진균증 환자에서 점점 커지는 폐동맥색전증을 모방하는 경우는 드물게 보고되었다. 저자들은 골수이형성 증후군 환자에서 종괴와 폐색전증을 모방한 혈관 침습성 점막 진균증의 증례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소아에서 보리코나졸 치료적 약물 농도 모니터링의 임상적 의의 (Voriconazole Therapeutic Drug Monitoring is Necessary for Children with Invasive Fungal Infection)

  • 강현미;강수영;조은영;유경상;이지원;강형진;박경덕;신희영;안효섭;이현주;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1권1호
    • /
    • pp.9-21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소아 환자들에서 voriconazole 치료적 약물 농도 모니터링의 임상적 의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7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한 18세 이하의 소아 환자들 중, 침습성 진균감염증에 대해 voriconazole 치료를 받은 증례를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총 28명의 환자 중 14명이 약물 농도 모니터링을 받았으며, 143개의 혈중 농도 측정 값을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들에게서 치료 효과 및 독성 증상 발현 여부를 파악하였다. 결과: 143개의 혈중 농도 측정 값 중 53.1%에서 치료적 범위(1.0-5.5 mg/L) 내에 들었고, 같은 용법으로 치료받았더라도 높은 혈중 농도 변동성(high variability)을 보였다. 약물 농도 모니터링을 받았던 군(TDM 군)과 받지 않았던 군(non-TDM 군)에서 각각 14명 중 9명(64.3%)이 독성 증상을 나타냈는데, TDM 군에서 신경학적 증상(n=2, 14.3%) 및 간기능 장애(n=8, 57.1%)는 높은 voriconazole 혈중 농도(>5.5 mg/L)를 보인 환자들에게서 나타났다. 반면, 시각 장애는 혈중 농도가 치료적 범위 내에 있을 때 발현하였다(1.18 mg/L, 3.9 mg/L). TDM 군에서 non-TDM 군에 비하여 독성 증상으로 인하여 약물을 중단했던 빈도가 낮았다(0.0% vs. 18.2%, P =0.481). 치료 시작 6주 후 치료 효과를 분석해본 결과 TDM 군의 57.2%에서 치료에 대한 반응을 보였으나, non-TDM 군에서는 14.3%에서 치료 반응을 보였다(P =0.055). 최종 치료효과 분석에서는 TDM 군의 21.4%에서 치료 반응을 보였으나, non-TDM 군의 14.3%에서 치료 반응을 보였다(P =0.664). TDM 군에서 치료 시작 첫 6주 동안 혈중 약물 농도를 분석했을 때 67.0% 이상에서 치료적 범위 내에 들었으나, 치료 기간 전체를 봤을 때에는 45.5%에서 치료적 범위 내에 들었다. 결론: 소아에서 voriconazole 사용 시 치료적 약물 농도 모니터링을 통하여 치료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독성이 나타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패혈증에 이환된 저출생체중아(≤2,000 g)에서 혈소판수치와 평균혈소판용적의 변화 (Platelet count and mean platelet volume in low birth weight infants (≤2,000 g) with sepsis)

  • 이완수;조진영;유승택;이창우;최두영;김종덕;오연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7호
    • /
    • pp.643-648
    • /
    • 2007
  • 목 적 : 신생아중환자실에서 미숙아들의 치료 중 흔히 패혈증을 경험하며 중요한 합병 소견으로 혈소판 감소증을 볼 수 있다. 최근 보고에 의하면 그람 음성균이나 진균에 의한 감염에서 그람 양성균에 비해 혈소판 감소증이 더 심하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자들은 패혈증을 나타낸 원인균들 사이에 혈소판 수치의 변화 정도와 패혈증 시 평균 혈소판 용적의 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치료받은 2,000 g 이하의 미숙아중 패혈증으로 확진된 미숙아 36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이용하여 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환아들은 원인균에 따라 그람 양성균군($1,521{\pm}309g,\;31.3{\pm}2.9$, 15명), 그람 음성균군($1,467{\pm}290g,\;30.6{\pm}3.6$, 17명), 진균군($1,287{\pm}205g,\;30.0{\pm}3.9$, 4명)으로 분류하고 이들의 패혈증 증상 출현 3-5일전 시기, 패혈증 증상 출현 시기, 최저 혈소판수치를 보인 시기의 혈소판수치를 각 군별로 비교하였으며, 전체 환아에서 패혈증 출현 시 평균혈소판용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 과 : 패혈증을 일으킨 원인균별 분포는 그람음성균 17례(47.2%), 그람양성균 15례(41.7%), 진균 4례(11.1%)였으며, 이중 표피포도알균이 9례(25%)로 가장 많았고, 혈소판 감소증은 $100{\times}10^9/L$이하를 기준 시 88.9%, $150{\times}10^9/L$이하를 기준 시 94.4%이었으며, 혈소판 감소가 $100{\times}10^9/L$ 이하를 보인 빈도는 그람 음성균군 전례로 양성균군 11례(73.3%)에 비해 의의 있게 많았다(P<0.05). 패혈증 증상 출현시기의 혈소판 수치는 그람 양성균군에 비해 그람 음성균군에서 의의 있게 감소하였으며(P<0.05), 진균군에서도 감소하였으나 의의는 없었다. 최저 혈소판 수치를 보인 시기의 혈소판 수치도 그람 양성균군에 비해 그람 음성균군에서 의의있게 감소하였으며(P<0.01), 진균군에서도 감소하였으나 의의는 없었다. 최저 혈소판 수치를 보인 시기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원인균별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혈소판 수치가 $100{\times}10^9/L$ 이하, $150{\times}10^9/L$ 이하가 유지되었던 시간도 그람 음성균군에서 약간 길었으나 의의는 없었다. 혈소판 감소율의 비교에서는 패혈증 증상 출현 시기, 최저 혈소판수치를 보인 시기 모두 그람 양성균군에 비해 그람 음성균군에서 의의있게 감소하였으며(P<0.05), 진균군에서도 감소하였으나 의의는 없었다. 평균 혈소판 용적은 패혈증 증상 출현 전에 비해 최저 혈소판수치를 보인 시기에 의의 있게 증가 하였다(P<0.05). 결 론 : 그람 음성균에 의한 패혈증에서 그람양성균보다 혈소판 감소가 더 심하였다. 그리고 진균감염에 의한 패혈증에서도 그람양성균에 비해 혈소판 감소를 보였으나 의의는 없었으며 이는 대상 환아가 적기 때문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패혈증시 평균혈소판용적의 증가를 보여 이러한 소견들은 미숙아들의 패혈증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최근 5년간 단일 대학병원의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효모균의 분포 (Distribution of Yeast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last Five Years)

  • 서충원;유영빈;신경섭;김영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237-244
    • /
    • 2014
  • 병원성 진균감염은 환자가 심각한 면역 또는 신진 대사 결함이 있거나 수술을 받았을 때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5년(2007-2011)간 임상에서 의뢰된 검체 190,250건을 대상으로 배양에서 양성으로 판정된 효모균 3,487주(1.83%)의 분리빈도를 조사하여 지역적인 차이의 유의성을 보고 진균의 종류와 연도, 검체 및 일반적인 특징인 연령과 성별에 따른 분리빈도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효모균의 균주별 연 분리빈도는 C. albicans 1,925주(55.2%)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임상 검체는 소변 1,495건(42.9%), 객담 998건(28.6%)으로 나타났고, 성별의 차이는 C. albicans가 남자는 2,037명 중 1,177명(57.8%), 여자는 1,450명 중 748명(51.6%)이었고, 연령은 1,925주 중 70-79세가 639명(55.1%)으로 많이 분리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검체에서 나타나는 병원성을 가진 효모균의 일반적인 특성을 잘 나타내었다. 단일지역에서 시행한 제한점이 있고, 전국적인 분포도나 역학적인 특성과 추후 항생제 감수성을 분석한다면 더 좋은 연구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Wiskott-Aldrich 증후군 환아의 증례보고 (WISKOTT-ALDRICH SYNDROME WITH DENTAL PROBLEMS : CASE REPORT)

  • 이연주;현홍근;장철호;김영재;김정욱;장기택;김종철;한세현;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68-472
    • /
    • 2007
  • Wiskott-Aldrich 증후군은 WAS 단백질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서 야기되는 면역결핍질환으로 X 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양상을 보인다. 혈소판감소증과 그로 인한 출혈경향, 면역결핍으로 인해 반복되는 감염, 아토피성 피부염등의 소견을 보인다. 첫 번째 증례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2세 11개월의 남아로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골수이식수술 전에 감염성 요소의 제거를 위해 의뢰되었다. 두 번째 증례는 2세 6개월의 남아로 구각부 및 치은의 연조직 질환과 치아 및 치은의 착색을 주소로 본과에 의뢰되었다. 이들 두 환자에서 보이는 Wiskott-Aldrich 증후군의 특징적인 치과적 소견과 치과치료시의 주의사항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전풍(?風)의 임상적(臨床的) 및 균학적(菌學的) 연구(硏究) (A Clinical and Mycological Investigation on Tinea versicolor)

  • 김홍식;서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99-207
    • /
    • 1981
  • This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establish more accurately the clinical features of the desease as seen in Korea, and to investigate susceptibility factors and to study the ecology of P. orbiculare in this condition. All of 50 new patients with Tinea versicolor attending the Ewha University Hospital, during a period of 6 months were studied personally. 1. Clinical feature: The sex ratio of the whole series was 32 males to 18 females. Twenty of 50 patients (40%) were between the age of 20 to 29 years. The duration of disease was more than 4 months in 37 of 50 patients (74%). The cases of first onset in June, July and August were 33 of 50 patients (66%). Whereas, the developed in December, January and February were only 3 of 50 patients (6%). Seasonal fluctuation was remarkable in 16 of 25 patients (66.7%) who had the duration of more than 1 year. The course of disease was rapid in 33 of 50 patients (66%) and slow in 9 of 50 patients (18%). Thirty-three of 50 patients (66%) had not any subjective symptoms. Thirteen patients (26%) had mild itching sensation and 4 patients (8%) had severe itching. The frequency of the first affected were neck (27.4%), axilla (19.2%) anterior chest (15.0%) and groin (11.0%). 7) Hyperpigmented lesions were observed in 35 of 50 patients (70%) and hypopigmented lesions were observed in 11 of 50 patients (22%). Skin lesions were noticed mainly in the anterior chest, neck, back and axilla, and more severe in the anterior chest, back and abdomen than other areas. Tinea versicolor was particularly prevalent in those persons who had occupations of mental work and who perspired every day or every 2 or 3 days. A positive family history of Tinea versicolor was obtained in 7 of 50 patients (14%). Fourteen of 50 patients (28%) had association with superficial fungal infections. 2. Mycological features: Typical appearance of M. furfur was observed in all scrapings from 25 lesions and only 3 scrapings from 20 clinically skin of the patients. P. orbiculare was seen on direct examination of scrapings from 24 of 25 skin lesions, from 19 of 20. clinically normal skin of patients and from 18 of 29 control normal skin. The quantity of P. orbiculare was greater in skin lesions and clinically normal skin area than in control normal skin surfaces.

  • PDF

소독제의 침지시간 및 희석농도가 수수 발아 및 오염율에 미치는 영향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Effect of Disinfectant Treatment on Sorghum Seeds)

  • 김경민;최세현;김창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2호
    • /
    • pp.124-129
    • /
    • 2020
  • 본 연구는 수수 종자에 소독제를 이용하여 알맞은 종자 소독방법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수행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종자소독 실험에 있어 희석액 200배 기준으로 침지시간에 따른 발아율은 SAP317과 BTx623 두 품종 모두 베노밀·티람수화제를 처리하지 않는 무처리와 소독제에 24시간 침지처리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오염률은 무처리를 제외하고 약제소독 처리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티오파네이트메틸·트리플루미졸수화제 또한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베노밀·티람수화제를 24시간 침종 처리한 후 SAP317 품종에서의 발아율은 무처리와 200배, 400배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BTx623 품종에서의 발아율은 200배와 400배액에서 높았다. 티오파네이트메틸·트리플루미졸수화제를 24시간 침종 처리한 후 SAP317과 BTx623 두 품종에서의 발아율은 무처리와 200배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오염률은 SAP317 품종에서는 두 소독제 모두 무처리를 제외하고 모든 농도 처리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Tx623 품종에서는 두 소독제 모두 100배와 200배 처리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수 종자소독 시 활용가능한 기초자료를 정립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수수종자의 발아율 향상 및 오염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베노밀·티람수화제와 티오파네이트메틸·트리플루미졸수화제 소독제를 200배 희석하여 24시간 침지 하는 것이 수수 종자소독에 가장 효율적이었다.

한국의 임상검체로부터 분리된 해외유입 두 형태 진균에 대한 연구 (Study on Imported Case Dimorphic Fungi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 in Korea)

  • 이장호;유성률;구본경;문철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9-36
    • /
    • 2018
  • 두 형태 진균은 자연환경이나 배지에 접종하여 실온에($25{\sim}30^{\circ}C$)에서 배양하면 균사체를 형성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체온이나 높은 온도($35{\sim}37^{\circ}C$)에서 배양을 하면 효모형태를 나타나는 특성이 있다. 풍토병 지역에서만 발생하는 이들은 전신감염을 일으키며, 조직이나 기관에 침입하여 심부 진균 증을 일으키는 원인 진균이다. 사람에 감염되는 두 형태 진균은 지금까지 Blastomyces dermatitidis, Coccidioides immitis, Sporothrix schenkii, Talaromyces (Penicillium) marneffei, Histoplasma capsulatum, 그리고, Paracoccidioides brasiliensis 여섯 균종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해외에서 유입되어 국내에 보고된 두 형태 진균은 Coccidioides immitis가 18예, Histoplasma capsulatum이 5예, Blastomyces dermatitidis가 3예, 그리고 Talaromyces (Penicillium) marneffei 가 4예로 모두 30예의 두 형태 진균이 보고되었다. 유행지역의 방문경험이 없음에도 국내에 발생된 경우는 C. immitis가 3예, H. capsulatum이 2예, B. dermatitidis가 1예, 그리고 Talaromyces (Penicillium) marneffei 가 1예로 있다. Sporothrix schenkii 를 제외한 모든 두 형태 진균이 국내에서는 발생하지 않고 외국의 특정 국가와 한정된 지역에서만 발생하는 풍토병 원인의 토착 진균이지만, 유행 지역의 여행 경험이나 호발 지역의 이민 거주자들의 귀국과 국내로 유입되는 외국인의 증가 추세를 고려하면 해외유입 감염증의 발생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폐이식 환자에서 tacrolimus와 itraconazole 혹은 voriconazole 병용 시 tacrolimus의 혈중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oriconazole or Itraconazole on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Tacrolimus in Lung Transplant Recipients)

  • 정유진;이영숙;안지현;손은선;박민수;이장익;장민정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6-311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hanges in the blood concentrations of tacrolimus when either itraconazole or voriconazole is together with tacrolimus to prevent or treat invasive aspergillus pneumonia (IAP) in patients with lung transplants. Therefore we can compare the degree of drug-drug interactions between tacrolimus and itraconazole against tacrolimus and voriconazole. Methods: Patients who were admitted and had lung transplants in a territory referral hospital from September 2012 to May 2015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effects of itraconazole and voriconazole on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tacrolimus were analyzed. Results: Mean tacrolimus concentrations was $10.49{\pm}2.35ng/mL$ vs. $10.95{\pm}2.98ng/mL$ (p=0.722), and mean concentration of tacrolimus over the dose of tacrolimus per day was $8.510{\pm}5.890(ng/mL)/(mg/d)$ vs. $15.45{\pm}28.47(ng/mL)/(mg/d)$ (p=0.947) in itraconazole vs. voriconazole group each. The ratio of the number of the results out of target tacrolimus concentrations to the total number of tacrolimus concentration results was $18.0{\pm}13.3%$ vs. $24.4{\pm}18.5%$ (p=0.185).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traconzaole and voriconazole to have influences on mean concentrations of tacrolimus over tacrolimus dose per weight per day. However voriconazole tended to raise tacrolimus plasma concentrations more than itraconazole. Safer and more effective drug management to prevent and treat fungal infections should be done by therapeutic drug monitoring not only of tacrolimus but of itraconazole and voriconazole in lung transplant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