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ding source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복식학회지 [복식]에 게재된 논문의 내용분석 -창간호(1977)부터 51권 8호(2001)까지- (A Content Analysis of Articles 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977~2001)

  • 이미숙
    • 복식
    • /
    • 제52권4호
    • /
    • pp.97-10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olumes 1 through 51-8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in relation to past trends In content area of research reported, authorship, and funding source. Six subject matter areas were indentified: history of costume, apparel design and aesthetics, fashion marketing,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of clothing, clothing construction, textile science and etc. Of the 892 articles studies, history of costume research represented 40.1%(358). Studies which focused on apparel design and aesthetics increased in number as the journal matured. 51.8%(462) were authored by a sole individual. 48.2%(430) were authored by above two persons. Funding sources were indentified in 15.7%(140) of the 892 articles. College and university grants 72.9%(102) were acknowledged most frequently as a funding source.

Must-have for Crowd-funding Projects: Credibility

  • Wang, Huaxin;Kim, Taekyung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6권1호
    • /
    • pp.109-123
    • /
    • 2016
  • The success of a crowd-funding project can be attributed to various reasons, among which, backer's (also known as 'investor', or 'funder') perception of project credibility may be a salient 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perceived project credibility can affect a backer's investment decision. We examine the factors that could influence the building of perceived project credibility by testing the proposed research model using survey data.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perceived project credibilit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backer's investment intention. Furthermore, information quality and source credibility are two key determinants of perceived project credibil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crowd-funding literature by enriching the list of successful factors for fund-raising with project credibility. The study also has practical implications because it explains why and how a backer's perception of project credibility can be improved.

국민의료비 계정에 관한 연구 - 자료원 및 추계방법을 중심으로- (National Health Expenditure Account of Korea: Sources and Estimation Methods)

  • 정영호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0
    • /
    • 2002
  • National health expenditure account describes expenditure flows both public and private within the health sector. It describes the sources and uses and channels for all funds utilized in the health sector and is a basic requirement for optimal management of the allocation of health sector resources. Constructing a national health expenditure account should begin with sound estimates. This paper thoroughly examines the sources and discusses the estimation methods, and provides the national health expenditure account of Korea by function and source of funding category The national health expenditure account produced in this parer has, however, some drawbacks and followings are proposed fur enhancing the comprehensiveness and consistency of the account. First, comparable data un health related expenditures of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should be produced because data sets on the sectors are very limited. Second, we need further study un overall scope and boundaries of health expenditure estimates in order to improve compatibility of other main aggregates.

이민자와 모국인 기업가의 창업을 위한 금융원천: 특정국가 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Immigrant and Native Entrepreneurs' Sources of Financing for Startup: With a Moderating Effect of Wealth in the Country)

  • Ashourizadeh, Shayegheh
    •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 /
    • 제19권2호
    • /
    • pp.1-15
    • /
    • 2016
  • 일반적으로 기업가들이 창업을 할 때 자금을 필요로 한다. 이들 자금의 주요원천은 개인저축, 가족이나 친구들의 자금 또는 은행이나 다른 금융기관들의 대출이다. 이민자와 모국인 기업가들의 자금원천에는 차이가 있는데, 그 차이는 그들이 처해있는 사회적 맥락에 기인한다. 이 연구의 주제는 기업가의 거주형태-이민자인지 모국인인지-가 어떻게 자금의 원천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차이가 어떻게 한국가의 부에 의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하는 것이다. 데이터는 글로벌 기업가정신 모니터에서 29개국 14,369명의 이민자 및 모국인 창업 기업주나 관리자를 대상으로 서베이한 것을 사용했으며, 위계혼합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민자나 모국인 기업가 모두 개인저축과 가족의 자금을 가장 주요한 자금원천으로 사용했다. 모국인 기업가들은 이민자 기업가들보다 은행이나 금융기관들을 주요 자금원천으로 사용한데 반해, 이민자 기업가들은 친구나 기타 원천을 자금원천으로 사용했다. 하지만 이러한 거주형태가 자금의 원천에 미치는 영향은 국가의 상황에 의해 조절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 국가의 부의 정도가 친구나 기타 원천을 자금원천으로 사용하도록 촉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and Occupational Injuries

  • Shin, Il-Soon;Oh, Jun-Byoung;Yi, Kwan-Hyung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2권2호
    • /
    • pp.148-157
    • /
    • 2011
  • Objectives: Although compensation for occupational injuries and diseases is guaranteed in almost all nations, countries vary greatly with respect to how they organize workers' compensation systems. In this paper, we focus on three aspects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in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countries - types of systems, employers' funding mechanisms, and coverage for injured workers - and their impacts on the actual frequencies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diseases. Methods: We estimated a panel data fixed effect model with cross-country OECD and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data. We controlled for country fixed effects, relevant aggregate variables, and dummy variables representing the occupational accidents data source. Results: First, the use of a private insurance system is found to lower the occupational accidents. Second, the use of risk-based pricing for the payment of employer raises the occupational injuries and diseases. Finally, the wider the coverage of injured workers is, the less frequent the workplace accidents are. Conclusion: Private insurance system, fixed flat rate employers' funding mechanism, and higher coverage of compensation scheme a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lower level of occupational accidents compared with the public insurance system, risk-based funding system, and lower coverage of compensation scheme.

벤처기업 창업자의 창업경험, 비즈니스 모델 혁신 및 자금조달이 초기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Business Model Innovation and Financing on the Performance of New Ventures)

  • 이종선;박상문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5권1호
    • /
    • pp.179-192
    • /
    • 202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business model innovation and financing on new venture performance.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analyzes survey data on new ventures in Korea and investigated research hypothesi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 Founders' prior startup experience have different impacts on performance depending on whether they had a successful or failed startup. Successful experience has a positive impact on early performance, while failure experience has a negative impact. Business model innovation shows a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arly performance. External financing has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the type of funding source and performance variables. VC funding is positively related to employment creation, while government R&D funding is negatively related to sales volume.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on early performance var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and unsuccessful entrepreneurs. It also empirically confirms that business model innov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arly performance. We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external financing sources of venture firms and early performance. Since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business model innovation, and external financing on early stage performance may be different, entrepreneurs should consider these relationships when pursuing early stage business opportunities.

한국 애니메이션 재원조달 활성화 방안 연구 : 공적기금의 역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ole of Public Fund for Improvement of Korean Animation Funding System)

  • 김영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8호
    • /
    • pp.17-3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애니메이션의 제작비 재원조달을 활성화하고, 궁극적으로 산업의 선순환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방영된 한국 애니메이션의 재원조달구조를 분석한 결과, 한국 애니메이션의 국내 재원은 그 한계점에 이르렀음을 확인하였다. 공적자금의 적극적 개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한국 애니메이션의 산업은 더욱 위축되고 해외자본 의존도는 심화되어, 독자적 작품 경쟁력을 상실해 갈 것으로 우려된다. 이는 애니메이션 산업의 문제뿐만 아니라 한국 아동용, 가족용 콘텐츠의 부재(不在)와 질적 저하, 나아가 국가 문화정체성의 상실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이다. 한국 애니메이션의 주요 공동제작국인 캐나다와 프랑스는 기금제도를 통한 적극적인 지원으로 한국에 비해 월등히 유리한 조건에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있는데, 이는 애니메이션이 지니는 자국 문화정체성과 다양성에 기여하는 가치가 공적기금의 공익성 목적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한국 애니메이션 재원조달 활성화는 단순히 제작비를 더 많이 지원하는 차원이 아니라, 한국 애니메이션 수익성 개선을 통한 민간 영역의 투자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애니메이션 제작 및 유통을 함께 지원하는 연간 250억 원 규모의 애니메이션 지원기금을 통해 실현 가능하며, 기금의 신설 또는 기존 기금의 활용 등 재원마련을 위한 다양한 검토와 실행방안의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 PDF

창업자의 사회적 역량과 사회적 자본이 투자유치 시도방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Founder's Social Competence and Social Capital on Access to Funding Sources)

  • 박계현;김도현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1호
    • /
    • pp.21-35
    • /
    • 2021
  •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이론을 중심으로, 창업자의 사회적 역량이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성을 매개로 투자유치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공식적, 비공식적 투자유치 접근방식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창업자의 사회적 자본을 개인 네트워크와 비즈니스 네트워크로 구분하여 투자유치 시도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국내 창업기업의 창업자 252명을 대상으로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경로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역량이 창업자의 개인 네트워크와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각각 완전 매개하여 각기 다른 투자유치 시도방식을 선택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즉, 창업자의 사회적 역량 수준이 높으면 창업자 본인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비공식적인 투자유치 기회를 추구하며 이들은 상대적으로 공개 투자유치 시도를 하지 않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반대로 창업자의 사회적 역량 수준이 낮으면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식적인 투자유치 기회를 추구하며, 상대적으로 이들은 지인 또는 지인소개를 통한 투자유치 시도를 하지 않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투자유치 맥락에서 창업자의 사회적 역량이 개인 네트워크와 비즈니스 네트워크에 상반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한 국내 첫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또한 지위 생성기(Position generator)기법으로 네트워크의 크기, 위세, 이질성을 종합한 변수를 구성하여 보다 정밀하게 네트워크 특성을 측정하였다는 방법론적인 기여가 있다.

중국 소비자의 크라우드 펀딩 참여에 있어 지각된 위험, 지각된 이익, 한류문화콘텐츠의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Perceived Risk, Perceived Benefit, and Korea Wave to Crowdfunding Participation in China)

  • 이한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04-213
    • /
    • 2016
  • 크라우드 펀딩은 소비자들이 제품의 생산전 투자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소비자 역할 변화의 모습으로 이해할 수 있다. 최근 문화콘텐츠관련 크라우드 펀딩이 증가하는 한편 문화콘텐츠로의 해외자본의 영향력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한류 문화콘텐츠가 소비자 투자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로서 크라우드 펀딩을 통한 새로운 투자처 확보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소비자 영향요인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중국 광저우의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 졌으며 이들의 한류선호도가 크라우드 펀딩과 같은 투자행위로의 참여에 영향을 주는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이익 중 지각된 이익의 크라우드 펀딩 참여에의 영향력이 더 강했으며 한류 선호도가 낮은 경우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이득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 참여의 영향력이 없었지만 한류 선호도가 높은 경우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이득이 크라우드 펀딩의 참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의 소비자가 향후 직접투자자로서의 변화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크라우드 펀딩에서 자본의 모집에 있어서 한류의 영향력을 고려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약품 보험급여 결정을 위한 경제성평가 연구의 평가 (Review of Economic Evaluation Studies for Drug Reimbursement Decision)

  • 최상은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25
    • /
    • 2005
  • Legislation on pharmaceutical reimbursement decision using economic evaluation results was made in Korea in fm, but has yet to be fully implemented. We evaluated the quality of Korean economic evaluation studies of pharmaceuticals to understand gaps between legislation and implementation. From this evaluation, we propose policy options that might strengthen the research Infrastructure In order to support such studies. We reviewed 23 published studies for drugs conducted between 1996 and 2004. Evaluation criteria include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healthcare system characteristics,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applicability of results. Large variation in study quality was observed, particularly with study design, outcome data, treatment patterns and interpretation. Korean clinical data used was mostly from observational studies of 1-2 hospitals. Foreign data was extracted from clinical trials that did not Include Asian population and their selection criterion was not clarified. With respect to treatment patterns, medical records and hospital bills were used without adjustment regarding area, hospital type, and others. And next frequent situation relied on expert opinion from academic physicians in specialty practice. preference measures, when used, were not elicited from the Korean population. $78.3\%$ of studies did not clarify the funding source. If the Korean economic evaluation policy is to provide meaningful data for decision makers, the quality of cost-effectiveness studies will need to improve dramatically. This may involve access to or creation of better data, more diverse funding, unproved training of researchers and evaluators, and partnerships with technology manufactur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