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s of music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33초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Transcendental Functions through Sound and Music

  • Choi, Jong-Sool;Kim, Hyang-Soo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7권3호
    • /
    • pp.191-209
    • /
    • 2003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environment of learning and teaching of trigonometric, exponential and logarithmic functions, the most difficult parts for students to learn among functions, through sound and music, students like the most. First, by using sound and music, we try to arouse student's interest. Second, we let students see and hear properties of transcendental functions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and remember them easily. Finally we encourage students to compose their favorite song using transcendental functions so that they can experience the practicality of transcendental functions.

  • PDF

청각장애인을 위한 햅틱 기반 음악 실감 기술 동향 (Haptic-based Music Experience Technology Trends for the Hearing Impaired)

  • 송영미;신승용;정치윤;김무섭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9권1호
    • /
    • pp.74-82
    • /
    • 2024
  • Music is a mean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self-expression. In addition, it allows to interact with others and communicate with the world. Music may be considered as inaccessible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who are sometimes discriminated from the music community. We explore trends in various technologies and research that enable everyone to access and enjoy music through experiences that leverage new and innovative technological approaches and bridge the gap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hearing impairment. Various aspects of haptic systems are being studied, but most of them are performance-oriented and focus only on technical functions. As research matures, more detailed and new studies that converge with various senses are being attempted. These studies will likely evolve into influential research areas that can positively affect the lives of people in terms of accessibility and inclusion by providing detailed functions and stimuli to specific users, including those with hearing impairment.

A Study on Dissonance Functions of Scenes and Background Music in Movies

  • Um, Kang-i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4호
    • /
    • pp.96-100
    • /
    • 2020
  • Soundtrack dissonance, which appears in the background music of a movie scene, is a phenomenon of using songs or compositions that contrast with the general sentiment of the situation. A sad scene usually uses a slow tempo of sad music to match the mood of the scene. However, sometimes, in order to play background music that follows a depressing, sad, or anxious scene, there is a case of inserting music with an opposite atmosphere such as bright music, exciting music, fast-tempo music, or magnificent music. The method of presenting music that is contrary to the mood of the scene is a kind of psychological technique that inflicts a kind of mental shock on the audience and makes them remember a particular situation.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meaning coming from scenes and Soundtrack Dissonance in mov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 that music and images play.

영화 속 바로크 음악의 서사적 기능 연구 -영화 <친절한 금자씨>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pic Functions of Baroque Music in the Movie - Based on the movie -)

  • 안준희;전윤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17-627
    • /
    • 2018
  • 근대 음악이 탄생하고 성장했던 바로크 시대의 음악은 영화를 위해 작곡된 음악은 아니지만 영화에 다양한 형태로 삽입되어 영화 전체의 분위기와 서사를 이끌어가고 등장인물의 감정과 내면세계를 표현하는데 중요한 기능적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 <친절한 금자씨>에 사용된 테마곡인 비발디(A. Vivaldi)의 Cantata Rv.684를 포함한 5곡의 바로크 작품을 조성, 템포, 다이내믹, 음형, 음정, 화성, 리듬, 악기 편성, 장르 등의 다양한 관점을 통해 분석한 후 바로크 음악이 영화 속에서 어떠한 서사적 기능과 역할을 가지는지에 대해서 연구해 보고자 한다.

영화 시네마 천국의 테마음악 기능분석 (Movie 'Cinema Paradiso' theme music function analysis)

  • 임주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561-568
    • /
    • 2018
  • 본 논문은 이탈리아 출신의 영화음악가 엔니오 모리코네(Ennio Morricone)의 '시네마천국(Cinema Paradiso)'에 사용된 영화음악을 아론 코플랜드(Aron Copland)가 제시한 다섯 가지의 기능론과 현대의 대표적 영화음악의 기능 두 가지를 중심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영화 장면에 따른 각각의 테마음악을 변주시키는 변주법과 기능론을 제시함으로써 영화음악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음악의 테마 변주 테크닉과 장면에 따른 기능론을 습득시키기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엔니오 모리코네는 1960년대 <황야의 무법자>등의 서부영화에서 탁월한 능력을 보이고 1980년대에 들어 <미션(Mission)>, <시네마 천국(Cinema Paradiso)>등에서 전성기를 맞았다고 평가되어진다. 또한 그의 작품들은 테마음악의 변주를 통하여 주인공 인물의 내적 표현과 장면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등 영화음악의 기능론을 다루기에 매우 효과적이다. 특히 '시네마 천국'에서는 테마음악의 다양한 변주를 통하여 영화의 일관성과 다양성을 동시에 추구하였다. 그리고 특정한 분위기를 강조하여 장면의 연속성과 영화의 진행감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엔니오 모리코네의 '시네마 천국'의 음악을 연구 분석하여 영화음악의 테마 변주법 연구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Listeners' Perception of Intended Emotions in Music

  • Chong, Hyun Ju;Jeong, Eunju;Kim, Soo J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9권4호
    • /
    • pp.78-85
    • /
    • 2013
  • Music functions as a catalyst for various emotional experiences. Among the numerous genres of music, film music has been reported to induce strong emotional response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film music in evoking different types of emotions and its relationship in terms of which musical elements contribute to listeners' perception of intended emotion have been rarely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gruence between the intended emotion and the perceived emotion of listeners in film music listening and to identify musical characteristics of film music that correspond with specific types of emotion. Additionally,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possibl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nts' identification responses and personal musical experience. A total of 147 college students listened to twelve 15-second music excerpts and identified the perceived emotion during music listening. The results showed a high degree of congruence between the intended emotion in film music and the participants' perceived emotion. Existence of tonality and modality were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listeners' perception of intended emo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identification of perceived emotion in film music excerpts was congruent regardless of individual differences. Specific music components that led to high congruence are further discussed.

반복적인 리듬 특성을 지닌 영화음악의 고찰 - 필립 글래스(Philip Glass)의 영화음악에 관한 미학적, 기능적 의미를 중심으로 - (Reconsideration of Film Music with Repetitive Rhythm Characteristics - Focusing on the Aesthetic and Functional Meaning of Philip Glass's Film Music -)

  • 이상윤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83-192
    • /
    • 2019
  • 본 연구는 필립 글래스의 미니멀 음악이 쓰인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주요 영화들 다섯 편을 대상으로 하여, 미니멀 음악의 미학적이고 영화음악으로서의 기능적인 의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미니멀 음악은 반복적인 리듬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미학적으로 단조로운 것이나 특정한 목적을 지양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또는 정체성의 표현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한편으로 반복적인 리듬에 의한 무한한 지속성 의미이거나, 때로는 미묘한 변화를 수반한 반복일 수도 있다. 영화음악의 기능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가들의 공통된 영화음악의 기능으로 분석하였다. 총 다섯 편에 쓰인 음악의 분석의 결과로서 필립 글래스의 미니멀 음악에 나타난 미학적 의미는 영화 스토리의 특성과 가장 관련이 깊었으며, 영화음악의 기능적 의미는 영화의 구조, 형식, 장르 등에 의하여 결정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므로 영화의 주제와 스토리의 내용이 반복적인 리듬 특성을 지닌 영화음악의 미학적 해석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영화의 구조, 형식, 장르와 같은 플롯의 요소들은 영화 음악의 기능적 해석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영화음악의 미학적 가치는 영화의 스토리와 밀접하게 관계를 맺고, 영화음악의 기능적 의미는 영화의 형식적 요소들에 의하여 결정된 것으로 해석된다.

뮤직 팩토리: 웹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작곡 및 청음 시스템 (Music Factory : A Composition and Listening System based-on Web Databases)

  • 손하예슬;정수진;배명숙;안후영;박화진;박영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9-1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위의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작곡, 드럼 믹싱, 청음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공헌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웹 브라우저를 통해 작곡, 리스닝,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웹 음악저작 시스템을 제안한다. 둘째, 리듬을 관리하는 드럼 믹싱 기능을 소개한다. 셋째, 음감을 향상시켜주는 게임 콘텐츠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작곡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며, 드럼 믹싱을 통하여보다 풍부한 작곡 기능을 제공하고, 청음게임을 통하여 음감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방법론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Gender Identity Expressed in Fashion in Music Video

  • Jeong, Ha-Na;Choy, Hyon-S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6권2호
    • /
    • pp.28-42
    • /
    • 2006
  • In present modern society, media contributes more to the constructing of personal identities than any other medium. Music video, a postmodernism branch among a variety of media, offers a complex experience of sounds combined with visual images. In particular. fashion in music video helps conveying contexts effectively and functions as a medium of immediate communication by visual effect. Considering the socio-cultural effects of music video. gender identity represented in fashion in it can be of great importance. Therefore, this study is geared to the reconsidering of gender identity represented through costumes in music video by analyzing fashions in it. Gender identity in socio-cultural category is classified as masculinity, femininity, and the third sex. By examining fashion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this study will help to create new design concepts and to understand gender identity in fash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sculinity in music video fashion was categorized into stereotyped masculinity, sexual masculinity. and metro sexual masculinity. Second, femininity in music video fashion was categorized into stereotyped femininity. sexual femininity, and contra sexual femininity. Third, the third sex in music video fashion was categorized into transvestism, masculinization of female, and feminization of male. This phenomenon is presented into music videos through females in male attire and males in female attire. Through this research, gender identity represented in fashion of music video was demonstrated, and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presentation of identity through fashion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was reconfirmed.

문화를 비추는 거울: 대중음악 선호에 반영된 한국인의 문화성향을 중심으로 (Mirrors that Illuminate Culture: Koreans' Cultural Orientation Reflected in Pop Music Preferences)

  • 이인영;박혜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3호
    • /
    • pp.221-257
    • /
    • 2020
  • 본 연구는 새로운 연구 주제인 대중가요 가사에 한국인의 문화성향 변화가 반영되어 있는지와 개인의 문화성향이 선호하는 대중음악 장르와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는 1980년부터 2018년까지의 대중음악 가사를 내용분석하여, 대중음악 가사를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한국인들의 문화성향 변화를 포착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곡의 발매연대가 2010년대에 가까워질수록 대중음악 가사에 개인주의 문화권의 이상적 정서가 집단주의 문화권의 이상적 정서보다 더 자주 표현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시간이 흐를수록 한국인이 점차 개인주의화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구 2에서는 개인의 문화성향과 선호하는 대중음악 장르 및 사용하는 음악기능이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집단주의 성향을 많이 지닌 사람들은 발라드와 랩/힙합과 같은 중·저각성 음악을 선호하는 동시에 록/메탈과 같은 고각성 음악을 덜 선호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주의 성향을 지닌 사람들이 각성 수준이 높은 것보다는 낮은 것을 선호할 것이라는 가설과 일정 부분 일치한다. 또한, 음악의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기능 중 사회적 기능이 집단주의 성향과 가장 큰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집단주의 성향의 사람들이 타인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음악을 사용하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성향과 대중음악에 대한 선호라는 독특한 주제를 내용분석과 조사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논의에는 연구의 한계점과 결과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