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lvic acid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8초

부숙식물유체(腐熟植物遺體)에서 추출(抽出)한 Fulv 산(酸) 가수분해(加水分解) 용액중(溶液中)의 Amino 산함량(酸含量) (Amino Acid Contents in the Hydrolysates of Fulvic Acids Extracted from Decomposing Plant Residues)

  • 김정제;신영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8-192
    • /
    • 1990
  • 볏짚, 보릿짚, 밀짚, 호밀짚의 4가지 작물유체(作物遺體)와 산야초(山野草), 활엽수(闊葉樹)와 침엽수(針葉樹) 낙엽등(落葉等) 7가지 식물유체(植物遺體)를 부열(腐熱)시키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시료(試料)를 채취(採取)하여 추출(抽出)한 fulv산(酸)을 가수분해(加水分解)시킨후, amino산(酸)을 정량분석(定量分析)한 결과(結果)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rginine, histidine, lysine, glycine, alan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phenylalanine, tyrosine, serine, threonine, proline, methionine 등(等) 16종(種)의 amino산(酸)이 검출(檢出)되었다. 1. 부숙(腐熟) 90일(日)후에 유출(抽出)한 fulvic acid중에는 0.15% 내지 0.53%의 amino산(酸)이 함유되어 있었고, 산야초(山野草)에 가장 많이 그리고 밀짚에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Humic acid의 함량에 비해 1/5내지 1/31의 정도로 함랑이 적었다. 2. Neutral amino acids, acidic amino acids, basic amino acids의 순(順)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3. 부숙화(腐熱化)가 잘된 시료(試料)에서는 arginine이 검출되지 않았다. 4. Aromatic amino acid인 phenylalanine과 tyrosine은 일반적으로 검출되지 않았다. 5. Glycine,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주요 amino acid였으며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를 제외하고 비교해 본 결과, 각 amino산중(酸中)에서 분자량(分子量)이 낮을수록 함유된 농도가 높은 경향이었다.

  • PDF

깊이별 토양 부식산의 분자량분포 및 분광학적 특성 규명 (Molecular Size Distribution and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f Humic and Fulvic Acids Extracted from Soils in Different Depth)

  • 신현상;이동석;정근호;이창우
    • 분석과학
    • /
    • 제15권4호
    • /
    • pp.373-380
    • /
    • 2002
  • 본 연구는 토양에 침적된 방사능 물질의 거동에 부식산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깊이별 토양에 존재하는 휴믹산과 풀빅산을 추출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휴믹산과 풀빅산의 분자량 분포는 한외여과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분광학적 특성으로는 자외선-가시광선, 적외선 및 형광분광 분석을 실시하였다. 휴믹산의 주요 분자량 분포 영역은 30~100 kDa (46~56%)이었으며, 풀빅산은 10~30 kDa (33~43%) 이었다. 토양 깊이가 증가할수록 휴믹산과 풀빅산 분자의 분자량은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외선-가시광선 분석 결과, 휴믹산이 풀빅산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1.4~1.5배 더 높은 흡광계수 (280 nm)를 나타내었고, 휴믹산의 경우 토양 깊이가 증가할수록 흡광계수가 증가하였다. Synchronous 형광 분석 결과, 휴믹산과 풀빅산의 방향족 고리화합물은 428 nm 영역 (type 1)과 498 nm 영역 (type II)에서의 형광피크에 해당하는 두 가지 특성 구조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휴믹산 분자는 대부분 장파장 영역 (type II)에서의 방향족 고리구조 특성을 보였으며, 휴믹산과 풀빅산 모두 토양층의 깊이가 증가할수록 장파장 영역의 방향족 고리 특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적외선 분석 결과, 풀빅산이 휴믹산에 비해 카르복실기 (${\sim}1720cm^{-1}$)의 피크세기가 높았으며, 토양 깊이가 증가할수록 휴믹산과 풀빅산분자의 카르복실기의 피크세기가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국내 토양 휴믹물질의 특성 규명 및 DB 구축에 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Humic and Fulvic Acids Extracted at the Soils of Korea and Its DB Establishment)

  • 이창훈;유지호;신현상;정근호;이창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397-400
    • /
    • 2003
  • In this study, humic and fulvic acids in soils at the vicinity of domestic atomic power plants(NPPs), located in Yungkwang(YK), Uljin(UJ), Kori(KR), Koseong(KS), Wolseong(WS) area, and in volcanic ash soils of the Cheju island(Mt. Hanla(HL), Manjanggul(MJ))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using chemical(elemental analysis, proton exchange capacity, molecular size distribution) and spectroscopic(UV/Vis., IR, FL, $^{13}$ C NMR spectra) methods.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one another and compiled for their DB establishments. The humic substances distribution (humic acid, fulvic acid, Humin) in the soils were also determined by IHSS standard method.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c data need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umic substances on the migrational behaviour of radioactive elements in contaminated surface soil.

  • PDF

Nondestructive Determination of Humic Acids in Soils by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 Seo, Sang-Hyun;Park, Woo-Churl;Cho, Rae-Kwang;Xiaori Han
    • Near Infrared Analysis
    • /
    • 제1권1호
    • /
    • pp.31-35
    • /
    • 2000
  •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NIRS) was used to determine the humic acids in soil samples from the fields of different crops and land-use over Youngnam and Honam regions in Korea. An InfraAlyzer 500 scanning spectrophotometer was obtained near infrared relectance spectra of soil at 2-nm intervals from 1100 to 2500nm. Multiple linear regression(MLR) or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 (PLSR) was used to evaluate a NIRS method for the rapid and nondestructive determination of humic acid, fulvic acid and its total contents in soils. The raw spectral data(log 1/R) can be used for estimating humic acid, fulvic acid and its total contents in soil by MLR procedure between the content of a given constituent and the spectral response of several bands. In which the predicted results for fulvic acid is the best in the constituents. The new spectral data are converted from the raw spectra by PLSR method such as the first derivative of each spectrum can also be used to predict humic acid and fulvic acid of the soil samples. A low SEC, SEP and a high coefficient of correlation in the calibration and validation stages enable selection of the best manipulation. But a simple calibration and prediction method for determining humic acid and fulvic acid should be selected under similar accuracy and precision of prediction. NIRS technique may be an effective method for rapid and nondestructive determination for humic acid, fulvic acid and its total contents in soils.

깊이별 토양 휴믹산과 풀빅산의 특성 분석: 양성자교환용량, 원소성분비, 13C NMR 스펙트럼 (Characterization of Humic and Fulvic Acids Extracted from Soils in Different Depth: Proton Exchange Capacity, Elemental Composition and 13C NMR Spectrum)

  • 신현상;이창훈;이동석;정근호;이창우
    • 분석과학
    • /
    • 제16권4호
    • /
    • pp.283-29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깊이별 토양시료에서 추출한 휴믹산과 풀빅산의 산성 작용기 및 구조 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토양 깊이별 방사성 핵종 농도 분포 및 이동성에 대한 휴믹물질의 역활 규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휴믹산과 풀빅산 분자의 산성작용기 특성은 pH 적정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양성자교환용량 (PEC) 및 평균 $pK_a$ 값을 얻었다. 휴믹산과 풀빅산의 구조적 특성은 원소성분비 분석 및 CPMAS $^{13}C$ NMR 분광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H 적정 분석 결과, 휴믹산의 PEC 값은 $3.8{\sim}4.8meq\;g^{-1}$의 범위이었다. 풀빅산은 휴믹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5.5{\sim}7.0meq\;g^{-1}$의 PEC 값을 보였다. 깊이별 토양 휴믹산은 표층에서 보다 하층 (> 8 cm)에서 더 높은 PEC 값을 나타냈다. 원소성분비 (H/C) 및 $^{13}C$ NMR 스펙트럼 분석 ($C_{arom}/C_{aliph}$) 결과, 휴믹산이 풀빅산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방향족성이 높고, 카르복실기 탄소 함량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깊이별 비교의 경우, 휴믹산은 토양 깊이가 증가할수록 방향족성 및 카르복실 탄소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풀빅산은 전체적으로 유사한 함량 분포를 보였다.

식물성(植物性) 유기물질(有機物質)의 부숙과정중(腐熟過程中) 부식특성(腐植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Fulv 산중(酸中)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효소함유작용기(酵素含有作用基)와 적외선(赤外線) spectrum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umic Materials Extracted from Plant Residues (composts) -II. Oxygen-containing Functional Groups and Infrared (IR) Spectra of Fulvic Acid Fractions)

  • 김정제;신영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41-349
    • /
    • 1987
  • 7종(種)의 식물성(植物性) 유기물(有機物)을 부숙(腐熟)시키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시료(試料)를 채취(採取)한 후 Fulv산(酸)을 추출정제(抽出精製)하여 IR spectrum의 특성(特性)과 산소함유작용기(酸素含有作用基)의 함량(含量)을 정량(定量)하여 얻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식물체(植物體)의 종류(種類)와 부숙기간(腐熟期間)이 상이(相異)한 시료(試料)에서 추출(抽出)한 Fulv산(酸)의 IR spectrum은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2. 산소함유작용기(酸素含有作用基) 즉(卽) Carboxyl 기(基), Phenol 기(基), Alcohol 기(基), Carbonyl 기(基), 그리고 Quiuone기(基) 등(等)이 IR spectrum 상(上)에 나타났으며 화학분석결과(化學分析結果)에도 검출(檢出)되었다. 3. Fulv산중(酸中) Total Acidity와 Carboxyl 기(基)의 함량간(含量間)에는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있었다. 4. Alcoholic hydroxyl 기(基)가 Phenolic hydroxyl 기(基)보다 훨씬 많았다. 5. Fulv산(酸) 구조(構造)의 주요부분(主要部分)은 화학적(化學的)인 특성상(特性上)으로 볼때 여러면에서 Aliphatic 성(性)이 매우 강(强)했다.

  • PDF

국산(國産)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의 부식조성(腐植組成) 및 분광학적(分光學的) 특성(特性) (Chemical Properties and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of Humic Fractions Isolated from Commercial Organic Fertilizers)

  • 김정제;양재의;신영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4-52
    • /
    • 1996
  • 시판(市販)되고 있는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17 가지를 수거(收去)하여 부식특성(腐植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에 함유(含有) 되어있는 내용물(內容物)의 종류(種類)는 다양(多樣)하였다. 예(例)를 들면 어박(魚粕), 유박(油粕), 주정박(酒精粕), 세르코-D, 부식토(腐植土), 톱밥.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나무 껍질, 돈분(豚糞), 계분(鷄糞), 우분(牛糞), zeolite, 골분(骨粉), 토룡분(土龍糞), 낙엽(落葉), 아미노산 발효(發酵) 부산물(副産物), 석회(石灰), 가축(家畜) 부산물(副産物), 농산(農産) 부산물(副産物) 등등이었다. 물리화학(物理化學) 및 분광학적(分光學的) 특성(特性)은 다음과 같았다. 1.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의 비료가(肥料價)는 유기질비료종류(有機質肥料種類)에 따라 큰 차이(差異)가 있었다. 2. 내용물중(內容物中)에는 부식화(腐植化)가 완전(完全)히 이루어지지 않은 유기물(有機物)이 있는 경우(境遇)도 있었다. 이것은 높은 C/N값으로 나타났다. 3. 대체(大體)로 한 가지 시료(試料)에서 추출(抽出)되는 humic acid의 양(量)이 fulvic acid의 양(量) 보다 많았다. 4. 부식화(腐植化)의 진전(進展)에 따라 humin의 상대적(相對的)인 양(量)도 증가(增加)하였다. 5. Total acidity는 phenolic hydroxyl group과 밀접(密接)한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며 carboxyl group은 hydroxyl group과 alcoholic hydroctyl group과 유의성(有意性) 있는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6. Humic acid와 fulvic acid의 UV 및 visible light absorption spectrum은 거의 같은 모양이었다. 7. 추출(抽出)된 humic acid의 종류(種類)는 B, P 그리고 Rptype이었다. Humic acid 중(中) 2가지는 B type, 3가지는 P type, 그리고 나머지 12가지는 모두 Rp type에 속(屬)했다.

  • PDF

Spectroscopic Investigations of Soil Humic and Fulvic Acids from Okch'ǒn Basin

  • Hyun Sang Shin;Hichung Moon;Han Beom Yang;Seok Sung Y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5권9호
    • /
    • pp.777-781
    • /
    • 1994
  • Three humic acids (HA) and one fulvic acid (FA) are extracted from soils of the Okch'on Basin (Koyesan, Yongkwang and Taejon), and are purified and characterized using $^1H,\;^{13}C$ NMR, and IR spectroscopic methods.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one another and with commerical humic acid (Aldrich Co) and aquatic humic acid from Gorleben underground aquifer in Germany. The IR and $^1H\;and\;^{13}C$ NMR spectral features are found to be nearly identical, suggesting that humic substances formed in the Okch'on Basin have quite similar chemical properties. These humic substances from Okch'on Basin soils have undergone low degree of aromatic condensation and have high contents of aliphatic functionalities including carbohydrates.

토양부식산(土壤腐植酸)의 형태별(形態別) Amino 산(酸) 함량(含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Amino Acid Components Soil Humus Composition)

  • 김정제;이위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4-263
    • /
    • 1988
  • 토양부식산(土壤腐植酸) 형태(形態)(Rp, B, A, P)별(別) 부식산(腐植酸)과 fulv 산중(酸中) amino 산(酸)의 함량(含量)과 조성(組成)을 규명코자 부식산(腐植酸)과 fluv산(酸)을 각각(各各) 분수(分雖) 정렬(精裂)하여 분석(分析)해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부식(腐植)의 조방(粗放) 전부식량(全部植量)$(H_T)$, 부식산량(腐植酸量)(a), fulv 산량(酸量)(b), 색조계수(色調係數)$({\Delta}logK)$$Rp{\rightarrow}B{\rightarrow}A{\rightarrow}P$형(型)으로 갈수록 적어졌고 전질소(全窒素) 전탄소(全炭素)도 같은 경향이었다. 2. 부식산중(腐植酸中) amino 산(酸)의 함량(含量) 및 조성(組成) 가. 부식산(腐植酸)의 형태별(形態別) 전(全) amino 산(酸)의 함량(含量)은 침엽수(針葉樹) 임토양(林土壤)에서는 Rp>B>A>P형(型)의 순(順)이었으나 활엽수(闊葉樹) 임토양(林土壤)에서는 P>A>Rp>B형(型)의 순(順)이었다. 전(全) amino산(酸)과 부식조성(腐植組成)과의 관계(關係)에서 침엽수림토양(針葉樹林土壤)에서 전탄소(全炭素)${\Delta}logK$와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고 C/N율(率)과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활엽수림토양(闊葉樹林土壤)에서는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없었다. 나. 형태문(形態問) 산성(酸性), 중성(中性), 염기성(鹽基性) amino 산(酸)의 함량비(含量比)는 침엽수림토양(針葉樹林土壤)에서 산성(酸性) amino 산(酸)은 P>Rp>B>A 형(型)의 순(順), 중성(中性) amino 산(酸)은 Rp>B>A>P형(型)의 순(順), 염기성(鹽基性) amino 산(酸)은 B>A>Rp>P형(型)의 순(順)이었다. 함량(含量)은 중성(中性)>산성(酸性)>염기성(鹽基性) anomi 산(酸)의 순(順)이었다. 활엽수림토양(闊葉樹林土壤)에서는 산성(酸性) amino 산(酸) A>P>B>Rp형(形)의 순(順), 중성(中性) amino 산(酸)은 P>Rp>A>B 형(形)의 순(順), 염기성(鹽基性) amino 산(酸)은 $$P{\geq_-}$$ A > $$B{\geq_-}Rp$$형(形)으로 근소한 차이였다. 다. 형태별(形態別) 각(各) amino 산(酸) 함량(含量)에서는 전체적으로 aspartic acid, glycine, glutamic acid 가 많았고 histidine, tyrosine, methionine이 적었다. 3. Fulv 산중(酸中) amino 산(酸)의 함량(含量) 및 조성(組成) 가. 형태별(形態別) 전(全) amino 산(酸)의 함량(含量)은 두 토양(土壤) 공(共)히 Rp>B>P>A 형(形)의 순(順)이었다. 침엽수림토양(針葉樹林土壤)에서 전(全) amno산(酸)과 전탄소(全炭素), ${\Delta}logK$와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고 활엽수림토양(闊葉樹林土壤)에서는 전질소(全窒素), 전부식량(全腐植量)$(H_T)$, 부식산량(腐植酸量)(a), 색조계수(色調係數)$({\Delta}logK)$와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고 C/N율(率)과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나. 형태문(形態問) 산성(酸性), 중성(中性), 염기성(鹽基性) amino 산(酸)의 함량비(含量比)는 두 토양(土壤) 공(共)히 Rp>B>P>A형(形)의 순(順)이었다. 다. 형태문(形態問) 각(各) amino 산(酸)의 함량(含量)을 비교(比較)할 때 전체적(全體的)으로 glycine, aspartic acid, alanine 이 많았고 tyrosine, methionine은 적었고 arginine은 거의 측정되지 않았다.

  • PDF

토양 휴믹물질의 화학적.분광학적 특성에 따른 페난트린 흡착상수와의 상관성 규명에 대한 연구 (Chemical and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f Soil Humic and Fulvic Acids and Sorption Coefficient of Phenanthrene: A Correlation Study)

  • 이두희;이승식;신현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1067-107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토양 휴믹산(HA) 및 풀빅산(FA)을 대상으로 형광소광법을 이용한 페난트린(PHE)과의 유기탄소 표준화 분배계수(Koc)를 도출하고, 각 휴믹물질의 화학적 및 분광학적 물질특성과 PHE에 대한 Koc와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휴믹물질은 한라산 토양을 포함한 국내 5개 지역의 토양과 국제휴믹학회(IHSS) 표준토양 및 이탄에서 추출한 HA와 FA 그리고 Aldrich사에서 구입한 HA 등 총 16종을 사용하였다. HA와 FA의 물질특성은 원소성분비와 254 nm에서의 UV 흡광도 및 $^{13}$C NMR을 이용한 탄소형태별 분포 등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조건([PHE]/[HS] = 0.02$\sim$0.2(mg/L)/(mg-OC/L), pH 6)에서의 토양 휴믹물질의 Koc 값 ($\times$10$^4$, L/kg C)은 1.48$\sim$8.65의 범위이었으며, HA가 FA에 대하여 높게 나타났다(3.13$\sim$8.65 vs 1.48$\sim$2.48). log Koc 값과 물질특성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Koc값은 분자극성도((O+N)/C) 및 산소-포함 탄소 함량비(I$_{C-O}$/I$_{C-H,C}$) 등과는 강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254 nm에서의 UV 흡광도([ABS]$_{254}$)와 방향족탄소함량(C$_{Ar-H,C}$, $\sum$C$_{Ar}$/$\sum$C$_{Alk}$) 등과는 강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이로부터 페난트린과 같은 소수성유기화합물과의 결합능력은 휴믹물질의 분자극성도가 낮을수록 그리고 분자의 불포화도와 방향족성이 높을수록 증가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