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ing

검색결과 941건 처리시간 0.021초

The Artificial Cultivation of Oudemansiella mucida on the Oak Sawdust Medium

  • Lee, Geon-Woo;Jaysinghe, Chandana;Imtiaj, Ahmed;Shim, Mi-Ja;Hur, Hyun;Lee, Min-Woong;Lee, Kyung-Rim;Kim, Seong-Hwan;Kim, Hye-Young;Lee, U-Youn;Lee, Tae-Soo
    • Mycobiology
    • /
    • 제35권4호
    • /
    • pp.226-229
    • /
    • 2007
  • To produce fruiting bodies of Oudemansiella mucida, porcelain fungus, on the oak sawdust medium, additives suitable for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formation were screened. In general, the mycelial growth of the three strains of O. mucida used in this study have been good on oak sawdust mixed rice bran of $20{\sim}30%$. The mycelia incubated in potato dextrose broth for 7 days were inoculated on oak sawdust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ratios of rice bran and incubated for 30 days at $25^{\circ}C$ in the dark condition until the mycelia of O. mucida fully colonized the media from top to bottom. Then, top surface of the media in the bottles were horizontally scratched with a spatula and filled with tap water for 3 hours. To induce the primordial formation of O. mucida, the bottles were transferred to the mushroom cultivating room under 12 hrs of light (350 lux) and dark condition with relative humidity of 95% at $17^{\circ}C$. The primordia of O. mucida were formed on the surface of oak sawdust media after 7 days of incubation. The mature fruiting bodies were observed 5 days after primordial formation. The fruiting bodies O. mucida were formed on oak sawdust medium mixed with 5 to 30% rice bran. However, abundant fruiting-bodies of O. mucida were produced in oak sawdust medium supplemented with 20% rice bran. This is the first report associated with an artificial fruiting body production of O. mucida in Korea.

Chondromyces crocatus 자실체 형성의 정량적 유도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a Quantitative Induction Method for Chondromyces crocatus Fruiting Body Formation)

  • 이차율;신혜진;조경연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73-178
    • /
    • 2014
  • Chondromyces crocatus의 자실체 형성에 대한 정량적 연구를 위하여 필수적인 분산된 세포현탁액 제조방법을 개발하였다. C. crocatus 세포들은 액체에서 서로 응집하는 특성이 있어 정량적 연구가 어렵다. 하지만 3% 한천을 함유한 casitone-yeast extract 평판배지에서 배양한 세포들은 물에 잘 분산되어 분산된 세포현탁액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렇게 제조한 $2{\times}10^8cells/ml$ 농도의 세포현탁액 $20{\mu}l$를 영양분이 고갈된 평판배지 위에 올려놓고 배양하였을 때 C. crocatus 특유의 자실체를 형성하였다. Casitone과 같은 영양분을 첨가하였을 때는 자실체 형성이 저해되거나 변형되었으며, 한천의 농도가 높을수록 자실체의 가지수가 증가되었다. 조사된 최적조건에서 C. crocatus KYC2823은 24시간 내로 자실체 구조를 완성하였다.

Genes Expressed During Fruiting Body Formation of Agrocybe cylindracea

  • Shim, Sung-Mi;Kim, Sang-Beom;Kim, Hey-Young;Rho, Hyun-Su;Lee, Hyun-Sook;Lee, Min-Woong;Lee, U-Youn;Im, Kyung-Hoan;Lee, Tae-Soo
    • Mycobiology
    • /
    • 제34권4호
    • /
    • pp.209-213
    • /
    • 2006
  • Agrocybe cylindracea, an edible mushroom belonging to Bolbitiaceae, Agaricales, is widely used as invaluable medicinal material in the oriental countries. This study was initiated to find the genes expressed during the fruiting body formation of A. cylindracea. The cDNAs expressed differentially during fruiting body morphogenesis of A. cylindracea were isolated through subtractive hybridization between vegetative mycelia and fruiting bodies. The cDNAs expressed in the fruiting body morphogenesis of A. cylindracea were cloned and twenty genes were identified. Eleven were homologous to genes of known functions, three were homologous to genes in other organism without any function known. Six were completely novel genes specific to A. cylindracea so far examined. Some genes with known functions were a pleurotolysin, a self-assembling poreforming cytolysins; Aa-Pril and Pir2p, specifically induced genes during fruiting initiation of other mushroom, Agrocybe aegerita; an amino acid permease; a cytochrome P450; a MADS-box gene; a peptidylprolyl isomerase; and a serine proteinase. For other clones, no clear function was annotated so far. We believe the first report of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fruiting process of A. cylindracea will be great helps for further research.

느타리의 기내 자실체 형성 및 그 유도조건에 관한 연구 (Laboratory-scale fruiting body formation of Pleurotus ostreatus using the petri dish culture)

  • 조중호;추교선;김범기;공원식;유영복;이승재;조봉금;이창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5-20
    • /
    • 2004
  • 국내에서 많이 재배되는 버섯 중의 하나인 느타리 P. ostreatus는 먹물버섯이나 치마버섯과는 달리 실험실 수준에서의 자실체 발생이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에서 느타리버섯을 샤레를 이용하여 전 발생과정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을 검토하였다. 샤레상의 배양조건은 프라스틱 샤레 ($60{\times}15mm$)의 감자배지에서 균사를 접종한 후 빛이 없는 상태에서 배양한 뒤에, 균사의 환기상태, 균사표면의 상처, 빛 그리고 저온충격 등의 여러 환경요인들이 원기 및 자실체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느타리의 최초 자실체 형성은 접종 이후 3주 내에 얻을 수도 있었으며, 균사접종 이후 10주 동안에 자실체의 형성은 균주에 따라서 76%에서 97%의 높은 빈도로 유도될 수 있었다. 위와 같이 샤레상에서 자실체를 형성할 수 있었으며, 정상적인 자실체의 성장을 위해서 빛은 필수적이며, 환기도 필요하였다. 또한 균사의 상처 처리가 원기, 자실체 및 포자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균주에 따라서 크게 차이가 났으며, 같은 균주라 하더라도 발생단계별 그 반응의 차이도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들 자실체에서 수집된 담자포자는 발아가 가능하였다. 샤레상의 완전한 자실체 형성 방법은 느타리버섯의 생육주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배조건의 시료 획득과 한개의 배양 용기 내에서 버섯 발생의 전 단계를 관찰하고 분석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 PDF

표고 수집종들의 유리당, 아미노산 및 β-glucan 함량 (Free sugar, amino acid, and beta-glucan content in Lentinula edodes strains collected from different areas)

  • 김경제;서경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7-33
    • /
    • 2016
  • 국내외에서 수집한 표고 품종을 대상으로 영양성분 및 ${\beta}$-glucan 함량을 분석한 결과 수집한 표고의 유리당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4종의 유리당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trehalose 함량은 시료별로 0.83~9%까지 큰 차이를 보였다. 구성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아미노산함량은 중국 톱밥배지 표고 JMI10050에서 17,672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국내 원목재배표고 JMI10059에서 6,211 mg%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16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는 histidine, glutamic acid 및 arginine으로 나타났다. 필수 유리아미노산인 threo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histidine 및 lysine의 함량은 중국 톱밥배지 표고 JMI10052에서 521.06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국에서 수집한 표고에 비하여 국내에서 재배된 표고의 ${\beta}$-glucan이 약 10% 가량 높게 검출되었고, 그 중 국내원목재배 표고 JMI10066이 31.74%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고로쇠나무 개화·결실 특성 및 결실등급에 영향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and Fruiting and the Factors Affecting Fruiting Degree of Acer pictum subsp. mono)

  • 김회진;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179-186
    • /
    • 2015
  • 고로쇠나무의 개화 결실 특성과 결실에 영향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각 지역의 천연활엽수림에 분포하는 고로쇠나무의 개화와 결실특성 및 평창군 중왕산의 성숙한 고로쇠나무 29개체의 조사목에 대하여는 흉고직경, 수고, 수광률, 인접 30 m 이내 고로쇠나무 성목의 개체수, 결실등급을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조사하였다. 고로쇠나무는 웅예선숙(Protoandry: PA)과 자예선숙(Protogyny: PG)의 성형태를 가지는 이형자웅이숙(異型雌雄異熟, Heterodichogamy)하는 성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총 29개체 중 8개체는 성형태가 변화되었고, 3개체는 웅예선숙에서 자예선숙으로, 5개체는 자예선숙에서 웅예선숙으로 성이 전환되었다. 고로쇠나무는 애꽃벌류, 꽃등에류, 기생파리류 등이 수분한다. 어린 자방의 조기낙과는 7월 초순까지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초기에는 수분실패에 의한 작은 시과들이 많았고, 점차 피해입은 시과가 많아졌다. 연도나 지역에 따라 조기낙하하는 시과의 수에는 변이가 있고, 낙하원인별 시과의 비율도 연도나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고로쇠나무의 화서는 새 가지의 정단부에 위가 편평한 원추화서로 달리며, 결실된 새 가지에는 이듬해에 꽃눈이 발달할 수 없게 된다. 조사목 중 가장 높은 결실등급이 9.0 이고, 평균 결실등급이 3.8에 불과하였다. 2013년의 평균 결실등급이 4.55로 가장 높고, 시과가 거의 없었던 2014년에는 평균 결실등급이 0.07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개체목의 평균 결실등급은 개체목의 수광률과 고도의 상관 회귀가 인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로쇠나무 채종림에서 수광생장간벌이 종자 생산량을 제고하는 하나의 방안이 됨을 암시한다고 사료된다.

동충하초(冬蟲夏草)의 항돌연변이(抗突然變異) 활성(活性)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Antimutagenic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Paecilomyces japonica)

  • 박성호;정지천;서운교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09-318
    • /
    • 2000
  • The fruiting bodies of Paecilomyces japonica been used for an anticancer and immuno-stimulating agent as an oriental medicine, Antimutagenecity test with SOS chromotest and antioxidant test with NBT method were carried out using the concentrated culture broth, the extract of mycelia, and that of fruiting bodies. Among the sample extracts tested, the extract of fruiting bodies was most effective to antimutagenecity against the mutagens tested such as MNNG, ethidium bromide(EtBr), 2-aminofluorene(AF) and nitrofluorene(NF). Antimutagenic activity of all the extracts were very effective against mutagen, MNNG. When the extracts were added to certain concentration, antimutagenic activity was enhanced against mutagen, MNNG and NF.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fruiting bodies was highest. However, its activity was very low, compared to ascorbic acid.

  • PDF

Identification of the Genes Involved in the Fruiting Body Production and Cordycepin Formation of Cordyceps militaris Fungus

  • Zheng, Zhuang-Li;Qiu, Xue-Hong;Han, Ri-Chou
    • Mycobiology
    • /
    • 제43권1호
    • /
    • pp.37-42
    • /
    • 2015
  • A mutant library of Cordyceps militaris was constructed by improved 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transformation and screened for degradation features. Six mutants with altered characters in in vitro and in vivo fruiting body production, and cordycepin formation were found to contain a single copy T-DNA. T-DNA flanking sequences of these mutants were identified by thermal asymmetric interlaced-PCR approach. ATP-dependent helicase,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and ubiquitin-like activating enzyme were involved in in vitro fruiting body production, serine/threonine phosphatase involved in in vivo fruiting body production, while glucose-methanol-choline oxidoreductase and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involved in cordycepin formation. These genes were analyzed by bioinformatics methods, and their molecular function and biology process were speculated by Gene Ontology (GO) analysis. The results provided useful information for the control of culture degeneration in commercial production of C. militaris.

A molecular genetic study on the fruiting-body formation of Cordyceps militaris.

  • Wen, T.C.;Li, M.F.;Kang, J.C.;Lei, B.X.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76-95
    • /
    • 2009
  • In the fungal genus Cordyceps, the type species Cordyceps militaris produces bioactive ingredients and exhibits medicinal effects as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The fruiting bodies of C.militaris have now been mass-produced artificially and used as functional food and medicine in China. The unstable variation in forming fruiting body is however a key restrictive factor in industrial production. The genetic study on in vitro stromata formation of C. militaris has rarely been carried out. Here, we report the effects of genetic variation including the mating system on perithecial stromata formation of C. militaris. Monoconidial isolates which have both MAT1-1-1 and MAT1-2-1(genotype MAT1-1/2) could produce stromata. While the isolates only have either MAT1-1-1 or MAT1-2-1 (genotype MAT1-1 or MAT1-2) failed to produce stromata. Despite obvious heterothallism, homothallism was occasionally observed in a few isolates of C. militaris. High genetic variation was observed amongst the different monoconidial isolates of C. militaris. The unstable variation or lose of fruiting body formation was found to be caused by the inner-species high genetic variation of C. militaris. Thes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C. militaris sexually behaved as both heterothallic and homothallic and required two mating type compatible in the same culture in order to produce regular clubshaped perithecial stromata.

  • PDF

약용버섯번데기 동충하초 MET7903의 특이적 자실체형성 유전자의 선별 (Screening of Fruiting Body Formation-Specific Genes from the Medicinal Mushroom Cordyceps militaris MET7903)

  • 윤방웅;정기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45-148
    • /
    • 2004
  • 이 연구는 약용버섯 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특이적 자실체 형성 유전자를 선별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cDNA는 버섯의 분화 4단계 균사체, 원기, 미성숙 자실체, 성숙한 자실체로부터 분리한 각각의 total RNA를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특이적으로 발현된 유전자의 선별은 cDNA와 랜덤한 primer set을 이용한 DD-PCR에 의해 수행되었고, pGEM 클로닝 벡터를 이용하여 6개의 partial 유전자 서열을 확인하였다. 6개의 DD-PCR product는 보고된 유전자와 유사도를 확인하기 위해 NCBI BLAST search를 사용하여 GenBank에서 비교하였고, 6개의 유전자는 보고되지 않은 유전자임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