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industry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37초

배 신품종 '창조'의 성숙 중 품질 요인 변화 및 수송온도 환경에 따른 반응성 (Evaluation of the Fruit Quality Indices during Maturation and Ripening and the Influence of Short-term Temperature Management on Shelf-life during Simulated Exportation in 'Changjo' Pears (Pyrus pyrifolia Nakai))

  • 이욱용;최진호;안영직;천종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8-385
    • /
    • 2017
  • 국내에서 육성된 중생종 동양배 품종인 '창조'는 성숙기간 중 지속적으로 과실이 비대하여 600g대의 편원형 과실로 발달하였다. 성숙기간 중 경도는 경시적으로 저하되어 만개 후 153일인 9월 13일에 32.58N으로 조사되었고 만개 후 160일에는 26.44N으로 급격히 경도가 저하되었다. 식감과 관련된 품질요인 중 과실의 전분함량은 만개 후 153일에 0.737, 만개 후 160일에 0.451로 전분함량이 급속히 감소하였고, 과육의 세포벽함량을 조사하였던 결과, 과실비대가 증가하고 과실성숙의 진행과 더불어 알코올불용성물질 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과피색차 중 적색도($a^*$)는 만개 후 139일 이후 양의 값을 보여 외관상의 과피녹색 발현이 소실되었는데 과피의 SPAD 값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엽록소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Hue angle 역시 성숙과 연화기간 중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수확시기의 지표로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성숙기간 중 과육 내에 축적되는 당 성분을 분석한 결과, 만개 후 153일에 총량이 최대치를 보였는데 전 생육시기에 걸쳐 전체 당성분 중 과당이 우점하고 있었고, 과실성숙도가 높아질수록 자당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만개 후 160일에 수확한 과실에서는 자당이 과당을 넘어 우점하여 과숙단계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배 신품종 '창조'의 적정 수확시기는 만개 후 153일인 9월 13일 이전으로 평가되었고 수확시기를 놓친 경우에는 경도 등 과실의 품질이 급격하게 하락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대만 지역 수출을 모의하여 단기수송온도 설정을 위한 수확 후 저온순화 실험을 실시한 결과, 만개 후 146일에 수확한 과실이 만개 후 153일에 수확한 과실에 비하여 $25^{\circ}C$ 유통 후 높은 경도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고 최종 수송 목표온도인 $5^{\circ}C$로 저하되는 속도가 느릴수록 과육장해의 발생심도 및 에틸렌발생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므로 '창조' 품종에 있어 동남아 지역 수출 시 생리장해 및 과실품질 유지를 위해서는 수확시기를 만개 후 146일 이전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창조' 배의 목적별 수확시기 결정 및 과실의 선별 기술에 일조하고 수출 시장에서의 한국산 배의 신인도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이부쉬 블루베리의 품종별 화기 특성 및 형태적 관찰 (Morphology and Characteristics of Floral Organ in Highbush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Cultivars)

  • 김수진;배강순;고상욱;김호철;김태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5-242
    • /
    • 2015
  • 국내 도입된 하이부쉬 블루베리의 품종 선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블루베리의 형태적 및 품종별 화기 특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블루베리의 수술의 형태를 보면 화사는 판형이었고 모용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개약 시 약벽이 열개되지 않고 돌출된 두 개의 관으로 꽃가루가 배출되어 독특하였다. 화분은 3월 하순경에 감수 분열된 후에 분리되지 않은 채로 성숙한 사분자 화분(tetrad pollen)이었다. 약당 사분자 화분립 수는 400~1,300개였으며, 화분립 수가 많은 품종이 발아율도 높은 편이었다. 블루베리의 암술은 5개의 심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주는 갈라진 부분이 없이 하나였다. 자방당 배주 수는 39~67개 정도였으며, 각 품종별로 변이 계수가 11.6~31.0%로 큰 편이었다. ‘Bluejay’와 ‘Sharpblue’간의 자가 및 타가교배 결과 자가교배보다 타가교배에서 종자 형성률이 높았다.

Antioxidant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Citrus × natsudaidai (Yu. Tanaka) Hayata Peels at Different Ripening Stage

  • YANG, Jiyoon;CHOI, Won-Sil;LEE, Su-Yeon;KIM, Minju;PARK, Mi-J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4호
    • /
    • pp.272-282
    • /
    • 2022
  •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Citrus × natsudaidai (Yu. Tanaka) Hayata peels is known to have various biological properties. However,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is influenced by the ripening stages of fruits, which then affects related biological activit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Citrus × natsudaidai peels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immature, mature, and overripe). The essential oils were extracted using the hydro-distillation method. As a result of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alysis, d-limonene was dominant and was increased as matured. However, 𝛄-terpinene was decreased. The antioxidant properties and their total phenolic content (TPC) were influenced by the ripening stages. The TPC was highest in the immature stage of essential oil (1,011.25 ± 57.15 mg GAE/100 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excellent in the immature stage (EC50 = 15.91 ± 0.38 mg/mL).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uperior in overripe stage (EC50 = 20.43 ± 0.37 mg/mL). The antioxidant activity measured using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 showed higher values for the essential oils in immaturity (1,342.37 ± 71.07 mg Fe2+/100 g). Comprehensively, the essential oil in the immature stage showed the best antioxidant activity. Finally, knowing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will provide data for selecting the right fruit.

육묘 기간에 따른 수박의 묘 소질과 정식 후 생육특성 (Seedling Qualities of Watermelon as Affected by Different Raising Seedling Period and Growth Characteristics after Planting)

  • 고바울;배종향;황승재;김호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56-63
    • /
    • 2017
  • 본 연구는 육묘 일수에 따른 수박 묘의 소질 차이와 그 묘의 소질 차이가 정식 후 수박의 생육 및 과실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육묘 일수에 따른 묘의 소질에서 초장, 경경 및 엽면적은 65일 묘에서는 유의하게 높았다. 묘의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은 40-45일 묘, 50-60일 묘, 65일 묘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지하부는 65일 묘와 40-45일 묘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묘의 S/R율은 40-45일 묘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육묘 일수는 묘의 엽면적 및 S/R율과 정의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육묘 일수에 따른 수박 묘의 정식 11주 후 식물체의 초장 및 마디수는 45일 묘를 정식한 식물체에서 낮았던 것을 제외하고 처리들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식물체의 엽면적, 생체중, 건물중, S/R율은 65일 묘를 정식한 식물체에서 가장 낮았다. 정식 후 상대생장률과 순동화율은 모든 처리구들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엽면적률은 모든 처리구에서 정식 후 9주째까지 상승하였다. 수확한 과실의 무게는 40일과 65일 묘에서 생산된 과실에서 각각 9.7kg과 9.9kg으로 가벼웠고, 50일과 55일 묘에서 11.0kg으로 무거웠다. 당도는 45일 묘에서 생산된 과실에서 12.1Brix로 가장 높았고, 50일과 60일 묘에서 11.18Brix로 가장 낮았다. 착과 후 육묘 일수는 과실 비대량과 성숙 과실 무게에 유의한 다항 회귀 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과실 비대량과 성숙과 무게를 고려 할 때 수박의 적합한 육묘 일수는 50-55일 범위로 생각된다.

토마토 (Solanum lycopersicum) 과육의 숙성정도에 따른 peptide:N-glycanase 발현 분석 (Characterization of peptide:N-glycanase from tomato (Solanum lycopersicum) fruits)

  • 위수진;박기영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159-167
    • /
    • 2014
  • 진핵생물의 유전자 발현 과정에서 생성된 단백질은 전사후 변형 과정을 통해 소포체와 골지체에서 당질화가 일어난다. 당질화된 당단백질은 접힘의 오류가 있는 경우를 비롯하여 식물의 분화 조절 등의 경우 당단백질이 분해되며, 이 때 PNGase에 의해 N-당사슬이 단백질의 아스파라긴산 잔기로부터 절단된다. 그러나 식물의 발달과 분화 과정에서 PNGase의 발현 조절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기존에 보고된 유전적 정보를 활용하여 토마토의 잎에서 제조된 cDNA library에서 nested RT-PCR을 통하여 PNGase T의 유전자(GenBank Accession number KM401550)를 분리하였는데 이의 ORF는 1,767 bp, 588개의 이미노산으로 이루어졌으며, 분자량은 65.8 KDa이었다. PNGase T의 유전자는 토마토 과육에서 높은 수준으로 항시적으로 발현되었으며, 특히 녹색과보다는 오렌지색으로 숙성되는 과정에서 PNGase T의 전사체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발현 패턴은 토마토 과육에서 세포죽음의 과정에서 증가하는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metacaspase의 전사체 증가 페턴과 유사하였으며, 이 시기에는 에틸렌의 생합성 효소 중 노화관련 ACC synthase의 유전자 members (LeACS2, LeACS4, LeACS6)의 발현 패턴과도 유사하였다. 따라서 토마토 과육에서 PNGase T의 유전자 발현은 거대분자가 분해되는 시기에서 과육의 숙성과 노화 과정에서 특이적인 생리적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 후 고가의 의약용 재조합단백질의 면역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하여 식물체 유래의 당단백질의 탈당질화과정에서 PNGase T를 활용함으로써 식물생명공학 분야에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산수유의 염색성과 견뢰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Dye-ability of Cornus officinalis with Mordanting Treatment and Colorfastness)

  • 배계인;최인려;박견순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7-57
    • /
    • 2007
  •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perties natural dyeing and natural material and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 for well-being in apparel industry. Comus officinalis Siebold et Zuccarini is used as natural dyeing material which had been reported that have curable effect for unbalanced immunity, geriatric diseases like urinary tract system, diabetes, hypertension, arthritis, tinnitus, hyperhidrosis and women's diseases like hypermenorrhea. And this material also has anti-cancer effect so that can restraint cancer cells. 3 kinds tester of cotton, wool and silk are dyed by boiled with each dye (flower, fruits, bark of tree) as first dyeing and dried in the shade. These testers are done by post-mordanting method. Aluminium Potassium(Alk(SO4)2), Cuprie Sulfate($CuSO4{\cdot}5H2O$), Stannous Chloride($SnCl2{\cdot}2H2O$), Ferrous Sulfate($FeCl2{\cdot}4H2O$), Titanium Sulfate 24% aqueous solution(Ti(SO4)2) are used as mordants. Dyeing results of Comus officinalis Siebold et Zuccarini flower and bark are shown as yellow color series. And dyeing result of fruits is pink color series. Silk shows the best dyeing property. As the point of view for dyeing property, Ti, Sn, Fe would be the properchoice for mordant. Following results are extracted in this study. Yellow color is resulted in dyeing with Cornus officinalis flower as non-mordanting condition. Yellowish red color is come from dyeing with Comus officinalis fruit as non-mordanting condition. Grayish yellow tone is resulted in dyeing with bark as non-mordanting condition. Orange tone color with Ti-mordanting, green tone color with Sn-mordanting and gray tone color with Fe-mordanting is resulted respectively. However light-fastness of Comus officinalis(flower, fruit, bark) is very low as 1 or 2 level in non-mordanting condition, Comus officinalis flower dyeing is turned out 3 or 4 level and fruit dyeing is 4 or 5 level, bark dyeing is 2 or 3 level with Ti-mordanting respectively. Eventually Comus officinalis fruit has the best light-colorfastness property among all of dyes. dry cleaning colorfastness of Cornus officinalis(flower, fruit, bark) is good as 4 or 5 level in Ti-mordanting condition, perspiration-colorfastness of Cornus officinalis(flower, fruit, bark) is good as 4 or 5 level in Ti-mordanting condition,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could conclude that dye-ability, colorfastness problem is getting better after mordanting process and practical usage would be possible.

  • PDF

팜기름의 특성 및 식품산업에의 이용 (Characterization of palm oil and its utilization in food industry)

  • 윤석후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0권3호
    • /
    • pp.70-92
    • /
    • 2017
  • Crude palm oil (CPO) is obtained from the fruit of oil palm tree, and is rich in palmitic acid, ${\beta}$-carotene and vitamin E. CPO containing a balanced range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is fractionated mainly into liquid palm olein and solid palm. Palm oil is highly stable during frying due to its fatty acid composition, and the synergistic antioxidant activity of ${\beta}$-carotene and tocotrienol. Blending and interesterification of palm oil and other oils are the main processes used to offer functional, nutritional, and technical advantages to produce oils suitable for margarine, shortening, vanaspati, and frying oils etc. The advantages of using palm oil products include cheap raw materials, good availability, and low cost of processing, since hydrogenation is not necessary. Future research should lead to the production of oils with a higher oleic acid content and a higher content of vitamins E, carotenoids, and tocotrienols.

다양한 침지처리가 대두의 미생물 오염 및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Presoaking Treatments on the Microbial Contamination and Germination Ratio of Soybeans)

  • 김태진;김영진;정병문;김응률;최원선;정후길;전호남;성창현;유상호;김우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280-1285
    • /
    • 2006
  • 다양한 조건으로 대두를 침지하여 대두 발아시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최대한 방지하고 발아율을 높이는 조건을 검토하기 위해 대두를 멸균수, 0.1%의 자몽씨 추출물과 0.1%의 비타민 $B_1$ 유도체(AS5, vitagen)용액 등에 $25^{\circ}C,\;35^{\circ}C,\;45^{\circ}C,\;55^{\circ}C$에서 $3\sim12$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25^{\circ}C$, 상대습도 95%의 조건에서 3일 동안 발아시키며 발아율을 관찰하였다. 침지전 대두의 일반 미생물수는 $6.0\times10^5CFU/g$, 대장균군수는 $3.0\times10^5CFU/g$이었고, 대부분의 침지조건에서 미생물 오염 정도는 감소하였다. 침지 대두의 발아율은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미침지 대두보다 발아율이 떨어졌고 $45^{\circ}C$이상에서는 급격히 떨어져 $55^{\circ}C$에서는 발아가 거의 일어나지 않음이 관찰되었다. 대두의 발아율은 침지용액의 종류와 침지시간 및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대두의 미생물 오염 감소와 초기발아를 유도를 위한 최적 조건은 자몽씨 추출물을 사용하여 $35^{\circ}C$에서 6시간 침지시켰을 때였다.

발전소 온배수를 활용한 온·열대 신선과일 수입대체 정책 방안 (A Review on Conception of Policy for Production of Imported Tropical and Temperate Fresh Fruits Using Hot Waste Water from Power Plant)

  • 김연중;박지연;김배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8-53
    • /
    • 2017
  • 농림축산식품부의 주요정책 중 하나가 농식품 수출액 100억 달러 달성이다. 2016년 현재 농식품 수출액은 65억달러로 수출목표 달성이 그리 쉽지는 않은 상황이다. 농림축산식품부 사업인 시설현대화사업, 첨단온실사업 등은 원예작물의 수출을 전제로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 기조에서 수출활성화와 동시에 수입과일의 국내 직접재배를 통한 수입대체 효과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온대 및 열대 신선과일 수입액은 2000년에 2천 억에서 2016년 1조 2천 억으로 6배 증가하였다. 온대 및 열대 신선과일 수입을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시행한다면 농가소득을 올리고 과수농가의 성장도 이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온 열대 과일 생산의 핵심과제는 난방비를 절감하는 것이다. 제주도 애플망고 생산 농가가 면세 등유와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경우를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난방비가 42.3% 감소하였다. 난방비 문제 해결 대안 중 발전소 온배수를 활용한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온배수를 이용하면 난방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입 과일을 국내 생산으로 대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수입과일과의 가격경쟁을 위해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여러 정부지원사업(국비 보조20%, 융자 20%, 지방비 30%, 자부담 20%)을 수입과일 대체를 위한 생산농가에게 적용하게 되면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발전소 온배수를 활용하여 수입되고 있는 온대 및 열대 과일의 국내 생산을 위한 정책구상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