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disease

검색결과 559건 처리시간 0.024초

오디 생산용 뽕나무에 발생하는 균핵병과 뽕나무이의 약제 방제체계 (Chemical Management Strategies for Popcorn Disease and Mulberry Sucker on Fruit-Producing Mulberry)

  • 최민경;김주희;장수지;전형권
    • 식물병연구
    • /
    • 제25권4호
    • /
    • pp.173-178
    • /
    • 2019
  • 2017년도에서 2018년도까지 오디 생산용 뽕나무에 발생하는 주요 병해충 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병은 균핵병 등 5종, 해충은 뽕나무이 등 4종이 수확 전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큰 문제를 일으키는 균핵병과 뽕나무이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약제 체계별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균핵병과 뽕나무이를 동시에 방제하기 위한 체계처리 결과는 관행방제구의 방제효과가 66.7%이었던 반면 종합방제구는 89.3%로 방제효과가 우수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균핵병 예방을 위해 2월부터 순차적으로 약제를 처리하면서 4월 중하순에 균핵병과 뽕나무이를 동시방제하는 것이 방제에 필요한 노동력도 경감하고 병해충 발생생태에 맞춘 방제방법으로 오디 생산 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Newly Recorded Problematic Plant Diseases in Korea and Their Causal Pathogens

  • Kwon, Jin-Hyeuk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25-27
    • /
    • 2003
  • Since 1993, a total of 50 problematic plant diseases unrecorded in Korea were surveyed in Gyeongnam province. Totally 34 new host plants to corresponding pathogen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re 5 fruit trees, 9 vegetables, 12 ornamental plants, 3 industrial crops, and 5 medicinal plants. Among the newly recorded fruit tree diseases, fruit rot of pomegranate caused by Coniella granati and Rhizopus soft rot of peach caused by Rhizopus nigricans damaged severely showing 65.5% and 82.4% infection rate. Among the vegetable diseases, corynespora leaf spot of pepper caused by Corynespora cassiicola and the crown gall of pepper caused by Agrobacterium tumefaciens, powdery mildew of tomato caused by Oidiopsis taurica were the most severe revealing 47.6%, 84.7%, and 54.5% infection rate in heavily infected fields, respectively. In ornamental plants, collar rot of lily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gray mold of primula caused by Botrytis cinerea, soot leaf blight of dendrobium caused by Pseudocercospora dendrobium, sclerotinia rot of obedient plant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showed 32.7 to 64.8% disease incidence. On three industrial plants such as sword bean, broad bean, and cowpea, eight diseases were firstly found in this study. Among the diseases occurring on broad bean, rust caused by Uromyces viciae-fabae and red spot caused by Botrytis fabae were the major limiting factor for the cultivation of the plant showing over 64% infection rate in fields. In medicinal plants, anthracnose of safflower caused by Collectotrichum acutatum was considered the most severe disease on the plant and followed by collar rot caused by Sclerotium rolfsii.(중략)

  • PDF

Effect of nitrogen types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a nutrient solution on gray mold caused Botrytis cinerea on strawberry plants

  • Nam, Myeong hyeon;Lee, Hee chul;Kim, Tae il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103-111
    • /
    • 2019
  • Gray mold caused by Botrytis cinerea on strawberry plants is an economically significant disease in Korea. The rates for diseased fruits are high during the strawberry harvesting period from December to February, especially in hydroponic cultivation.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 of the nitrogen type in the soil culture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EC) of the nutrient solution in a hydroponic culture on the gray mold incidence in 'Seolhyang' strawberry plants. The nitrogen sources assayed included calcium nitrate tetrahydrate (CN4), calcium nitrate decahydrate (CN10), ammonium sulfate (AS), and commercial fertilizer 213 (213). The effect of the EC was tested at 0.5, 0.8, 1.0, and $1.5dS{\cdot}m^{-1}$. The occurrence of gray mold varied according to the nitrogen type. The disease incidence and nitrogen content for the main nitrogen type were higher compared to the non-treated control. The AS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occurrence of tipburn and gray mold. The incidence of gray mold as well as the nitrogen and phosphorus content of the leaves increased as the EC level was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idence of gray mold in strawberry plants is related to the nitrogen content of the leaf and the EC of the nutrient solution.

The Cell Wall Integrity MAP Kinase Signaling Pathway Is Required for Development, Pathogenicity, and Stress Adaption of the Pepper Anthracnose Fungus Colletotrichum scovillei

  • Teng Fu;Sung Wook Kang;Yong-Won Song;Kyoung Su Kim
    • Mycobiology
    • /
    • 제51권3호
    • /
    • pp.178-185
    • /
    • 2023
  • The cell wall integrity (CWI) signaling pathway plays important roles in the dissemination and infection of several plant pathogenic fungi. However, its roles in the pepper fruit anthracnose fungus Colletotrichum scovillei remain un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major components of the CWI signaling pathway-CsMCK1 (MAPKKK), CsMKK1 (MAPKK), and CsMPS1 (MAPK)-were functionally characterized in C. scovillei via homology-dependent gene replacement. The ΔCsmck1, DCsmkk1, and ΔCsmps1 mutants showed impairments in fungal growth, conidiation, and tolerance to CWI and salt stresses. Moreover, ΔCsmck1, ΔCsmkk1, and ΔCsmps1 failed to develop anthracnose disease on pepper fruits due to defects in appressorium formation and invasive hyphae grow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CsMCK1, CsMKK1, and CsMPS1 play important roles in mycelial growth, conidiation, appressorium formation, plant infection, and stress adaption of C. scovillei.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oles of the CWI signaling pathway in the development of pepper fruit anthracnose disease.

발효 콩 추출물과 비가림 시설이 '신고' 배나무의 생육과 병해충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Extracts and Rain-shelter System on Growth and Disease Occurrence of 'Niitaka' Pear)

  • 임경호;김병삼;김덕현;손장환;박신;조동호;정석규;최현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57-570
    • /
    • 2016
  • 본 시험은 6년생 '신고' 배(Pyrus pyrifolia Nakai)나무의 병해충 유기농자재 개발을 위하여 발효 콩 침출액과 비가림 시설을 통한 생육양상과 방제효과를 2년간 비교하였다. 2013년에는 예비시험으로 노지에서 발효 콩 침출액을 6회 엽면 살포 하였으며 2014년에는 노지와 비가림 시설에서 발효 콩 침출액을 처리하였다. 2013년에 발효 콩 침출액이 대조구보다 잎의 전질소가 0.46% 정도 증가되었고, 칼륨(0.17%), 칼슘(0.19%), 마그네슘 농도(0.06%)도 상승되었지만 2014년에는 비슷한 수준이 관찰되었다. 노지와 비가림 시설 간의 비교에서는 비가림에서 재배된 잎의 전질소, 칼슘, 마그네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과총엽, 잎건물중, 약해, 그리고 신초생장 정지율은 대조구와 콩 침출액 간에 두 해 모두 비슷하였고, 비가림 시설은 잎 건물중을 증가시켰고 약해에 대한 피해가 관찰되지 않았다. 과실품질은 대조구와 콩 침출액 간에 두 해 모두 비슷하였고, 과육경도는 콩 침출액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다. 2014년에 비가림 시설은 노지보다 수확 일을 4일 앞당겼고 ha당 수량과 평균과중은 각각 약 7톤과 20 g 이상 증가시켰고 당도도 향상되었다. 처리 2년간 발효 콩 침출액은 잎과 과실의 병해충 방제에 대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2014년에 노지와 비가림 간의 병해충 비교에서는 비가림에서 배나무 잎의 검은별무늬병 발생이 크게 증가되었고, 과실에서도 붉은별무늬병 발병률은 63.8%로 나타났다. 이는 5월에 강풍과 비바람에 의하여 비가림 시설 내의 습도가 증가하여 이병률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친환경 방제법 개발이 요구되었다. 발효 콩 침출액 처리는 배나무 생육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아 장기간에 걸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가림은 노지보다 과실생산성을 향상시켰고 수확시기를 앞당겨서 추석이 다소 이른 9월 중하순 이었을 때 효과적인 시설로 사료되었다.

뽕잎과 오디분말을 이용한 육류용 소스 제조 및 품질평가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ce for Meat prepared with Mulberry Leaf Powder and Mulberry Fruit Powder)

  • 김애정;이정애;김민주;강미숙;김현복;임정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13-520
    • /
    • 2016
  • Recently,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s including high blood pressure and heart disease has increased with increased meat consumption in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ratio among ratios of 0, 1:0, 0:1, 1:1, 2:1, and 1:2 of mulberry leaf powder to mulberry fruit powder based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The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auce for meat prepared with different mixing ratios (0, 1:1, 1:2, 1:3, 1:4, and 1:5) of mulberry leaf powder to mulberry fruit powder were assessed. The inhibitory effects of ML2MF1 (2:1 ratio of mulberry leaf powder to mulberry fruit powder) on NO and TNF-${\alpha}$ production were superior to those of other mixing ratios. With respect to color values of the sauce for meat prepared with different mixing ratio of mulberry leaf powder to mulberry fruit powder, as the mulberry fruit powder mixing ratios was increased, redness was increased but lightness and yellowness were decreased. The sensory evaluation of ML1MF5S (1:5 ratio of mulberry leaf powder to mulberry fruit powder) sauce for meat showed the highest score with respect to color, smell, taste, harmony with meat and the overall preference. In conclusion, as the mulberry leaf powder mixing ratio was increas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ere increased. But sensory evaluation scores were increased as the mulberry fruit powder mixing ratio was increased. Therefore, by performing further study, the method to increase mulberry leaf powder in the mixing ratio for improving the sensory evaluation should be provided.

과원토양의 화학적 환경이 신고 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Orchards on 'Niitaka' Pear Quality)

  • 김익렬;장태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3-259
    • /
    • 2008
  • 과수의 생육기간동안 양분흡수는 과원토양의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수확기에 신고 배에 Ca 결핍장해과로 보이는 과실의 발생 원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과실에 생리장해가 발생한 4개 지역(울산,경주,평택,안성)의 과원 토양의 화학성 및 잎과 과실의 무기성분 함량을 조사하였다. 과실에 생리장해가 발생한 과원 토양의 치환성 Ca 함량은 정상관원에 비해 낮은 반면, 치환성K와 Mg 함량 및 T-N 함량은 높았다(P=0.05). 생리장해 과실의 과육과 과피의 Ca 함량은 건전한 과실에 비해 낮았으며, 과육과 과피의 Mg/Ca 비율은 건전 과실보다 높았다(P=0.05). 잎에 N/Ca 및 K/Ca 비율은 생리장해가 발생한 나무가 건전한 나무의 잎 보다 높았다. 따라서 신고 배의 생리장해는 Ca 함량의 부족에 의해 발생하는 유부과로 판단되며, 이는 토양에 치환성 K와 Mg 이온 및 T-N가 Ca 이온의 흡수에 장해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감나무 탄저병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의 분생포자 비산과 농가 포장에서 탄저병의 발생과정 (Dissemination of Conidiospores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the Anthracnose of Persimmon and the Disease Development)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272-278
    • /
    • 2004
  • 1998년에서 2002년까지 5년간 감 탄저병이 심하게 발생하는 농가 포장에서 탄저병균의 분생포자 비산과 발생 생태를 조사하였다. 탄저병 포자의 비산은 4월 초순부터 시작하여 6, 7월에 최대치에 이르고 8월 초순부터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분생포자의 비산은 그 시기의 강우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주변에 새로운 감염이 늘어남에 따라 비산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4월 중에 비산하는 분생포자는 탄저병 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5월 초의 포자 비산은 신초와 어린가지에 병 발생량이 많아졌고 이것은 어린 과실에 감염율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와 전체적으로 탄저병 발생일 많아졌다. 이시기에 적절한 방제를 하지 않으면 탄저병 발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8월 하순에는 96.5%까지 발생하였다. 병든 과실은 대부분 낙과 되었는데 일찍 발생할수록 낙과율이 높았으며 심한 포장에서는 8월 하순에 이미 84.1%의 과일이 낙과하였다. 탄저병은 저장 및 유통 중에도 발생하는데 대부분 포장에서 재배기간 중에 감염된 것으로 아주 작은 병반이 형성된 과일을 가려내지 못한 것이 저장 중에 병이 진전된 것이다. 경남 지방에서 조사한 저장 중의 탄저병 발생율은 1.2${\sim}$1.6% 정도이다.

Peribacillus butanolivorans KJ40, Bacillus zanthoxyli HS1, B. siamensis H30-3와 Pseudomonas sp. BC42에 의한 오이 탄저병, 박과류 과실썩음병과 오이 덩굴쪼김병의 생물방제 효과검정 (Biocontrol Activities of Peribacillus butanolivorans KJ40, Bacillus zanthoxyli HS1, B. siamensis H30-3 and Pseudomonas sp. BC42 on Anthracnose, Bacterial Fruit Blotch and Fusarium Wilt of Cucumber Plants)

  • 김지원;상미경
    • 식물병연구
    • /
    • 제29권2호
    • /
    • pp.188-192
    • /
    • 2023
  • 식물병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세균 4종(HS1, H30-3, KJ40 와 BC42)이 Colletotrichum orbiculare 에 의한 오이 탄저병, Acidovorax citrulli에 의한 과실썩음병, Fusarium oxysporum에 의한 오이 덩굴쪼김병에 대한 병 억제 효과가 있는지 검정하였다. HS1, H30-3, KJ40 와 BC42를 토양에 관주처리 할 경우 유도저항성에 의해 오이 탄저병이 감소하였고, KJ40와 BC42는 A. citrulli의 발병을, BC42는 오이 덩굴쪼김병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KJ40은건조피해저감뿐만아니라유도저항성에의 한 오이 탄저병 억제 및 A. citrulli에 의한 병발생 감소효과를 가지며, BC42는 오이 탄저병, A. citrulli와 F. oxysporum에 병을 모두 억제하는 것으로 보아 넓은 범위의 적용 범위를 갖는 생물적 방제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