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1,194건 처리시간 0.039초

국내 자생 꾸지뽕나무 잎과 열매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and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in Korea)

  • 권용석;박보람;이솔;유한춘;백소진;오찬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37-343
    • /
    • 2014
  • 꾸지뽕나무의 수요 증가에 따라 자생지 파괴가 심각한 반면 꾸지뽕나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기 때문에 자생지 복원과 새로운 농가 소득원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국내에 자생하는 꾸지뽕나무 16개 집단을 대상으로 엽과 열매의 형태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꾸지뽕나무 집단에서 엽의 형태적 특성에 대한 유집분석 결과 4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열매의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꾸지뽕나무 15개 집단의 열매길이, 폭, 무게 등 3가지 형질을 분산 분석한 결과, 유의확률이 p=0.05로 각각의 형질에 따라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매의 3가지 형질별 특성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꾸지뽕나무 엽과 열매의 형태학적 특징은 각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며, 엽의 형태적 특징과 열매의 특징이 일치하지는 않았다.

Differential Display PCR을 이용한 사과 자가적과성 연관 유전자 탐색 (Identifying Genes Related with Self-thinning Characteristics in Apple by Differential Display PCR)

  • 김세희;허성;신일섭;김정희;조강희;김대현;황정환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65-573
    • /
    • 2010
  • 사과의 경우 한 과총에 5개의 꽃이 피는데 그 중 한 가운데의 중심화가 먼저 개화하여 과일로 발달하고 주위의 측과 4개는 스스로 낙과되는 현상을 자가적과성이라고 한다. 적과는 인위적으로 과실의 숫자를 줄여 잎 수와 과실 수의 균형을 맞추는 작업으로 과실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수세, 수형을 유지시켜 안정적인 생산에 도움을 준다. 노동력 절감을 위해 인간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특성이 자가적과성인데, 자가적과성 품종의 사과에서 측과는 만개 후 30일 이내에 떨어지고 중심과만 남아서 성숙하게 된다. 51개의 사과 품종으로부터 비자가적과성 그룹 20종, 6월 생리적 낙과 그룹 16종, 자가적과성 그룹 15종을 분류하였다. 대표적인 자가적과성 품종인 Aori #9 로부터 중심과와 측과에서 다르게 발현이 되는 유전자들을 DD-PCR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중심과에서 30개의 clones 과 측과에서 24개의 clones을 선발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주로 측과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들은 pathogenesis, senescence, temperature stress, protein degradation, fruit browning, sorbitol metabolism에 관여하는 유전자들과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고, 중심과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해 보면 anthocyanin의 up-regulation이나 flavonol 생합성, ethylene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 분포한다. Cytochrome P450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보기 위해 Real time PCR 분석을 한 결과 중심과보다 측과에서 발현량이 높게 나타났다. 중심과와 측과에서 다르게 발현되는 유전자들의 실제 발현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Real time PCR을 이용해서 상대정량을 분석할 계획이며 분자수준에서의 자가적과를 조절하는 기작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는 생력 재배가 가능한 품종 육성의 육종 소재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Powder)

  • 윤미향;조지은;김다미;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340-1345
    • /
    • 2010
  • 기능성 소재로서의 버찌 분말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버찌 분말을 0, 1, 3 및 5% 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 및 식빵의 pH는 버찌분말 첨가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무게는 증가하였다. 식빵의 부피, 비용적, 굽기 손실률은 버찌분말 첨가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발효팽창력 또한 버찌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빵의 색도 측정 결과는 L(lightness)값과 b(yellowness)값에서 crust와 crumb 모두 버찌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redness)값은 crust, crumb 모두 버찌 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버찌 분말 첨가 식빵의 견고성, 씹힘성은 버찌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응집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력성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항산화 활성은 버찌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식빵의 관능검사 결과 버찌 분말 첨가는 색, 냄새, 맛, 질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5% 이상의 너무 많은 버찌 분말 첨가는 관능적인 기호도를 오히려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버찌 분말 3% 첨가군의 선호도가 가장 좋아 식빵의 품질 및 관능 특성, 기능성을 고려한 버찌 분말 첨가량은 3% 첨가군이 최적 조건일 것으로 판단된다.

품종을 달리한 오디즙 첨가 샐러드 드레싱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Added with Mulberry Fruit Juice from Different Breeds)

  • 이정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6-227
    • /
    • 2012
  • 본 연구는 품종이 다른 오디즙(청일뽕, 과상2호)을 샐러드 드레싱에 첨가(0, 10, 20, 30%)하여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샐러드 드레싱의 pH는 오디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과상 2호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 점도와 당도는 오디즙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DPPH 전자공여능은 대조군이 15.60%였으며 오디즙 첨가군이 19.73~50.83%으로 더 높았으며 과상 2호 첨가군이 청일뽕 첨가군보다 DPPH 전자공여능이 더 높았다. 오디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L값과 황색도 b값은 낮아졌으나 적색도 a값은 높아졌다. 관능검사 결과 오디즙 30%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샐러드와의 조화도에서도 30% 첨가군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이상으로 과상2호 오디즙 30%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 PDF

동결 전처리가 매실의 착즙과 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eezing Pretreatment on Juice Expression and Drying Characteristics of Prunus mume Fruit)

  • 정헌식;김한수;이영근;성종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07-512
    • /
    • 2010
  • 매실(Prunus mume)의 착즙과 건조 특성에 동결 전처리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매실을 동결처리($-20^{\circ}C$)하거나 처리하지 않고 착즙수율과 주스의 품질특성 및 건조속도와 분말의 품질특성을 각각 측정하였다. 매실의 착즙수율과 건조속도는 동결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압착주스와 건조분말의 L과 b값 및 a값은 동결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고 높은 수준을 각각 보였다. 압착주스와 건조분말의 유리당과 유기산 함량은 동결 전처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주스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 적정산도 및 pH는 동결 전처리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동결 전처리는 매실의 착즙과 건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지만 착즙액과 건조분말의 갈변도가 높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지가공 오디음료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평가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Mulberry Fruit Beverages for Rural Food Process)

  • 양향숙;노정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46-254
    • /
    • 2012
  • The principal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four mulberry fruit beverages (MFBs) and develop descriptive analysis procedures for evaluation of their sensory characteristics. Soluble solid, free sugar, pH, acidity, chromaticity, flavonoid, and anthocyanin of MFBs were determined. All MFB sample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p$<0.01). Ten highly trained panelists identified the following 11 sensory attributes in the MFBs and defined the terminology for each attribute : turbidity, chromaticity for appearance characteristics, berry, grass, fermented, sweet, astringent, and sour for flavor characteristics, and throat hit, refreshing, and astringent for textu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10 sensory attributes among the MFB samples ($p$<0.001). In color, the value of MFB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s ($p$<0.05). In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the values of MFB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s ($p$<0.01, $p$<0.001). Descriptive terminology of the developed MFBs could explain the sensory attributes of the samples according to this result. Based on this, proper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techniques could be applied to other fruit beverages to establish their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 and descriptive sensory attributes.

마가목 6개 천연집단의 열매와 종자 형질 변이 (Variation of Fruit and Seed Morphology of 6 Natural Populations of Sorbus commixta Hedl. in Korea)

  • 송정호;장경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1-6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분포하는 마가목의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 열매와 종자 형태에 대한 변이를 조사하였다. 6개 천연집단의 42개 개체목에서 열매를 채취하여 열매특성 6가지와 종자특성 4가지를 분석하였다. 모든 특성들에서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특히, 결실지당 열매수와 열매당 종자수 특성은 전체 분산 가운데 집단이 차지하는 비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변이계수 값은 결실지당 열매수와 종자무게 특성이 다른 특성들(11.9~32.1%)에 비해 높은 42.0~75.3%의 값을 나타냈다. 상관분석결과 결실지당 열매수 특성은 위도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경도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각각 나타냈다. 군집분석결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집단들이 유전적으로 가깝게 묶이는 경향을 나타냈다. 주성분분석결과 집단간의 유연관계에 의미를 갖는 3개 주성분을 도출하였는데 전체 분산에 대한 설명력은 87%였다. 제1주성분은 종자길이와 종자무게, 제2주성분은 열매폭과 종자지수, 제3주성분은 열매길이와 결실지당 열매수 특성이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

착과 수준에 따른 복숭아 '천홍'의 신초 발생 및 과실 특성 (Shoot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Peach 'Cheonhong' Tree affected by Various Fruiting Levels)

  • 김호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339-343
    • /
    • 2021
  • 본 연구는 복숭아 '천홍'의 착과 수준(fruiting level, FLs)을 3수준(FL-Low, Middle, High)으로 하여 결과지의 신초 발달과 성숙 과실의 무게 및 당도를 비교하였다. 결과지당 신초수 분포 비율에서는 FL-Low의 1-2개(42%), FL-Middle의 1개(47%), FL-High의 1개(42%)에서 가장 높았다. 과실 무게 및 당도 분포 비율에서는 FL-Low의 210-270g (50%) 및 10-12Brix (44%), FL-Middle의 180-240g (60%) 및 10-12Brix (59%), FL-High의 180-240g(60%) 및 11-13Brix (48%)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FL-High에서만 과중과 결과지 신초수 간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당도(y)에 대하여 과실 무게(x)는 FL-L에서 y=0.0126x+8.1857, 그리고 결정계수((R2)가 0.1964으로 P≤0.01 유의수준에서 매우 높은 관계성이 인정되었다.

강황두부스테이크의 소스 개발 (The Development of Sauces for Tofu Steak with Turmeric(Curcuma longa L.))

  • 박혜선;박금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039-1045
    • /
    • 2008
  • In this study,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various fruit(pineapple, orange, grape, strawberry, kiwi, apple and banana) demi-glace sauces were compared. The viscosity of banana sauce was higher than the controls (7.03). Additionally,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other fruit sauce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s, and additionally the viscosity 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s. The pH values of the fruit sauces were lower than the control values (4.40), and the brix of the fruit sauces was higher than that of he controls. The L-values of the controls (22.69)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banana sauce (25.20), and orange sauces (23.15). The a-values of the demi-glace sauc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fruit sauces. The b-values of the 8 types of demi-glace sauce ranged from 6.92 to 14.31.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overall acceptability, the demi-glace sauce, kiwi sauce, orange sauce, and grape sauce achieved the highest scores. with regard to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ofu steak with turmeric and fruit sauces, the kiwi sauce, pineapple sauce, and apple sauces achieved the highest scores.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ngchul’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Fruit Grown in Gangwondo, Korea

  • Kim, Il-Doo;Dhungana, Sanjeev Kumar;Chae, Yong-Gon;Son, Nan-Kyung;Shin, Dong-Hy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3-321
    • /
    • 2016
  • Persimmon has long been established as one of the major fruits in Korea. The southern parts of Korea were traditionally the pocket areas for good persimmon production; however, rising temperatures have gradually rendered the southern regions unsuitable for successful harvest. Ecology of fruit growing areas affects the productivity of various types of crops, including fruit trees such as persimm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ruit of persimmon cv. Dongchul grown in Gangwondo, which lies in the northern part of South Korea, were investigated. Different physicochemical, nutrition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ruit were evaluated to assess the locational effect on the quality of persimmon fruits grown in Gangwondo.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ersimmon cv. Dongchul grown in Gangwondo maintains many of the physicochemical (4.33% crude protein and 4.32% crude fiber), nutritional (total mineral content: 461.51 and vitamin C content: 15.28 ㎎/100 g), and antioxidant properties (polyphenol content: 633.1 ㎎ gallic acid equivalent/100 g) those are found in other three commercial cultivars ‘Daebong’, ‘Kyengsan Bansi’, and ‘Sangju Doongsi’ grown in Korea.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Dongchul’ cultivar of persimmon could commercially be grown in Kangwondo,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