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and vegetable fermentation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8초

수분조건 및 송풍처리가 참외의 발효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Condition and Air Circulation on Fruit Fermentation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 신용습;서영진;연일권;도한우;최충돈;박소득;김병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3-337
    • /
    • 2007
  • 토양수분 조건 및 송풍처리가 참외 발효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양수분이 과다한 조건(-10kPa)에서 뿌리로부터 수분흡수는 많고 저온다습의 기상조건으로 증산이 억제될 때 흡수된 수분이 삼투압이 낮은 과실부위 특히 당 농도가 높은 태좌부로 이동하여 물찬 참외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참외 발효과는 신토좌, 엘리트 등 세력이 강한 대목에서 많이 발생하고 세력이 약한 홍토좌 대목에서는 적게 발생하고 자근묘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과실부위 송풍처리로 신토좌, 엘리트, 홍토좌, 자근묘 등 대목의 종류와 관계없이 발효과가 발생하지 않았다. 과육 및 태좌부의 칼슘함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송풍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acetaldehyde, ethanol, ethylacetate 등 발효산물의 함량도 적었다.

김치 젖산균과 효모의 혼합배양 방법에 의한 과채류즙 발효과정중의 주요 성분변화 (Chemical Changes of Fruit-Vegetable Juice during Mixed Culture Ferment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Yeast)

  • 최홍식;김현영;여경목;김복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65-1070
    • /
    • 1998
  • Lactic acid bacteria KL 1, KD 6, KL 4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or obtained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with and without yeast(Saccharomyces cerevisiae) were inoculated in fruit vegetable juice for mixed culture fermentation 3 days at 3$0^{\circ}C$, and then their chemical changes were studied during fermentation. The amount of organic acid produced by the mixed culture fermentation of KL 1 and yeast was 0.82%(3 days) or 0.58%(1 day) and with the final pH of 3.3(3 days) or 4.2(1 day). These mixed culture systems of isolated strains or other bacterial strains had almost similar results of growth rate and acid production. The contents of vitamin C and carotene were retained and stabilized as 70~80% level of their initial values after 24 hrs fermentation. And also ethanol was produced as of the range in 9.6mg%(W/V) by the mixed culture fermentation of KL 1 and yeast, however, the content of ethanol in single culture fermentation by KL 1 strain was much lower than that of mixed culture. The major components of organic acids in fermented juice by mixed culture were considered as malic(26.0%), lactic(49.9%), succinic and citric acid, whereas these of unfermented juice were malic(53.2%), citric and other acids. On other hand, reducing sugar was decreased from 18.3mg/ml in fresh juice to about 12mg/ml in juice by mixed culture fermentation. Concentrations of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were also greatly reduced in fermented juice.

  • PDF

홍삼함유 과채류 복합 추출물의 증숙열처리 및 유산균 발효에 의한 장관면역 활성 (Evaluation of Intestinal Immunity Activity by Steam-Heat Treatment and Ferment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of Fruit and Vegetable Complex Extracts containing Red Ginseng)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935-94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과채류 복합추출물에 소량의 홍삼을 첨가하여 증숙가열 및 유산균 발효에 의한 진세노사이드 대사산물의 활성 증가와 장내면역 활성이 현저히 개선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홍삼 단독 추출물 또는 과채류복합추출물에 비해 홍삼을 함유한 과채류 복합추출물에서 시너지 효과에 의한 장내면역 활성의 증가가 관찰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홍삼을 함량별로 첨가하여 유산균 발효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홍삼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홍삼을 과채류 혼합물 질량에 대하여 3~10%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증숙 및 유산균 발효 추출하였을 때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홍삼을 함유한 과채류 복합추출물은 200㎍/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홍삼이 함유되지 않은 과채류 복합추출물에 비해 NO 생성을 약 60% 억제하였으며, IL-1β의 발현은 63%, IL-6의 발현 69%, TNF-α의 발현 76% 수준으로 억제하여 장내면역 활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김치 젖산균과 효모의 혼합배양 방법에 의한 과채류즙의 발효양상 (Fermentation Aspects of Fruit-Vegetable Juice by Mixed Cultur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Yeast)

  • 최홍식;김현영;여경목;김복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59-1064
    • /
    • 1998
  • Fermented beverage us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was investigated. Lactic acid bacteria KL 1, KD 6, KL 4 strains from kimchi, or obtained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with and without yeast(Saccharomyces cerevisiae) were inoculated in fruit vegetable juice for single and mixed culture fermentation. During the fermentation by bacterial strain and yeast for 1~3 days at 30oC, various fermentation behaviors were observed. The growth rate of mixed culture of KL 1 and yeast was higher than that of single culture by KL 1 alone during the fermentation. The amount of organic acid produced by the mixed culture fermentation of KL 1 and yeast was 0.82%(3 day) or 0.58%(1 day) and with the final pH of 3.3(3 day) or 4.2(1 day). These mixed culture systems of isolated strains or other bacterial strains had almost similar results of growth rate and acid production. Among several bacterial strains, KL 1 was suitable for the mixed culture fermentation with yeast in terms of desirable fermentation behavior and organoleptical quality. The selected strain, KL 1 was identified as Leuconostoc spp. through the series of tests on carbohydrate ferment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 PDF

A novel combination of sodium metabisulfite and a chemical mixture based on sodium benzoate, potassium sorbate, and sodium nitrite for aerobic preservation of fruit and vegetable discards and lactic acid fermentation in a total mixed ration for ruminants

  • Ahmadi, Farhad;Lee, Won Hee;Kwak, Wan Sup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9호
    • /
    • pp.1479-1490
    • /
    • 2021
  • Objective: Our recent findings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sodium metabisulfite (SMB) in controlling the growth of undesirable microorganisms in fruit and vegetable discards (FVD); however, lactic acid bacteria (LAB) are susceptible to its antibacterial effects. Two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nable the survivability of LAB during silage fermentation of a total mixed ration (TMR) containing SMB-treated FVD. Methods: In Exp. 1, the objective was to isolate a strain of LAB tolerable to the toxic effect of SMB. In Exp. 2, the SMB load was minimized through its partial replacement with a chemical mixture (CM) based on sodium benzoate (57%), potassium sorbate (29%), and sodium nitrite (14%). FVD was treated with SMB + CM (2 g each/kg biomass) and added to the TMR at varying levels (0%, 10%, or 20%), with or without KU18 inoculation. Results: The KU18 was screened as a presumptive LAB strain showing superior tolerance to SMB in broth medium, and was identified at the molecular level using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as Lactobacillus plantarum. Inoculation of KU18 in TMR containing SMB was not successful for the LAB development, biomass acidification,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the resultant silage. In Exp. 2, based on the effectiveness and economic considerations, an equal proportion of SMB and CM (2 g each/kg FVD) was selected as the optimal loads for the subsequent silage fermentation experiment. Slight differences were determined in LAB development, biomass acidification, and sensorial characteristics among the experimental silages, suggesting the low toxicity of the preservatives on LAB growth. Conclusion: Although KU18 strain was not able to efficiently develop in silage mass containing SMB-treated FVD, the partial substitution of SMB load with the CM effectively alleviated the toxic effect of SMB and allowed LAB development during the fermentation of SMB + CM-treated FVD in TMR.

대기 증기압차가 참외 발효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tmospheric Vapor Pressure Deficit on Fruit Fermentation of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 신용습;서영진;최충돈;박소득;최경배;윤재탁;김병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4-179
    • /
    • 2007
  • 참외 발효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증산과 관련된 몇 가지 요인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외의 증산율은 지온이 높고 토양수분 함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광도가 약하여 온도가 낮을 경우 증산율과 기공 전도도가 낮아졌고, 저온 다습한 기상조건에 의한 증산의 억제는 식물체와 대기사이의 증기압기울기가 낮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발효과 발생은 과실의 비대가 느린 착색기 이후에 토양수분이 -10 kPa로 많고, 저온 다습하여 참외와 대기 사이에 증기압기울기가 낮게 형성되어 증산이 억제될 때 발생하였다. 따라서 참외의 발효과 발생은 착색기 이후 참외의 과실 비대가 지연되는 반면 지온이 높아 뿌리로부터 지상부로 수분의 공급이 원활하고, 저온 다습한 기상조건하에 수분의 증산이 억제되어 수분이 태좌부로 유입되면 발효과가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박테리오신 생성 젖산균과 효모를 이용한 과채발효액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Fruit and Vegetable Mixed Broth Using by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 정동선;이영경;임경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358-1364
    • /
    • 2000
  • 생산량이 풍부하고 가공성이 높지 않은 농산물인 무, 감자, 생강, 사과, 대추를 이용한 과채발효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박테리오신 생성 젖산균과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를 순행하고, 발효액의 유기산 농도와 향기성분, 박테리오신의 생성 및 항균활성 등을 측정하여 저장성을 지닌 음료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박테리오신 생성 젖산균인 Lc. lactis를 이용한 과채 젖산발효액의 pH는 4.07, 산도는 0.36%이며, lact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등의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박테리오신의 생성이 확인되었다. 발효중에 생성된 박테리오신의 항균역가는 냉장저장 중에도 매우 안정하였으며, Listeria monocytogenes와 Staphylococcus aureus, 그리고 충치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저해효과가 있었다. 젖산발효액에 원료 혼합액에서 분리한 효모를 접종하여 후발효시킨 효모발효액에서는 일부 유기산의 소모로 인해 산도가 약간 감소하였으나, succinic acid의 함량은 1.5배정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젖산발효액에서 검출된 ester의 종류는 불쾌하고 쓴맛을 내는 phthalate 종류가 많은 반면, 효모 접종구에서는 과일향을 내는 ester 종류가 많이 검출되었고, alcohol종류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젖산발효액의 풍미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과일, 야채 및 한약재 발효액의 품질과 기능성에 대한 연구 (The Qualities and Functionalities of the Fermentation Broth of Fruits, Vegetables and Medicinal Herbs)

  • 백경연;김덕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5-201
    • /
    • 2007
  •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ed broth,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during fermentation period of fruit, vegetables, and medicinal herbs. pH and $^{\circ}$Bx gradually decreased and the viscosity increased. The chromaticity of L, a, and b all increased. The total number of germs dropped from $10^5{\sim}10^6\;to\;10^2{\sim}10^3$ CFU/ml, and that of lactobacilli also decreased noticeab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ffect on fat oxidation, a very low level of TBARS was shown. After thirty days of fermentation, the amount of each fermentation broth increased more or less, but as it declined considerably after ninety days, it was found that the binding effect of $Fe^{2+}$ ion was small and insignificant.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though not reaching 0.5% ascorbic acid, showed a high level of activity from $33.71{\sim}72.15%$ before fifteen days and $44.76{\sim}75.20%$ ninety days after fermentation. Among them, the fruit fermentation solution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t was also found that the organic functions for each fermentation broth decreased more or less depending on the fermentation period and the thirty-days-old fermentation broth were favored most. On the basis of the above experiment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optimum fermentation period for fruit, vegetables, and medicinal herb is thirty to ninety days.

비지터블 추출물 및 유산균 발효물의 진생사포닌 대사산물과 장건강 활성성분 효과 (Effects of Ginseng Saponin Metabolites and Intestinal Health Active Ingredients of Vegetables Extracts and Fermented Lactic Acid Bacteria)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943-95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사과, 배, 무 등 8종 과채류를 절단하고 열수추출물과 과채류 증숙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실험기질로 사용하였다. 실험기질에 홍삼추출물 1%(W/V)와 유산균발효 추출물에 유산균 8종 혼합스타터를 첨가하여 발효한 결과, ginsenosides의 패턴과 함량은 과채류 추출물군과 증숙 처리군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유산균 발효군에서는 발효과정과 처리에 따라 TLC 패턴이 변하여 Rg3(S) 및 Rg5으로 전환되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하였다. 4종의 과채류추출물 모두에서 유산균 수(cfu)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유산균 CFU의 수는 과채류 추출물의 4가지 발효군에서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익균의 생장 억제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3가지 유해균의 증식억제 효과는 4가지 과채추출물에서 대장균과 슈도모나스의 증식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살모넬라균의 증식은 억제되었으며, 이는 과채류 증숙 열수추출물 및 홍삼추출물 첨가 여부에 관계없이 과채류 추출물의 생장억제효과로 확인되었다.

과실 및 채소류의 저장에 있어서 Lactic Acid Bacteria의 이용 (Lactic held Bacteria for the Preservation of Fruit and Vegetables)

  • 김건희;배은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45-254
    • /
    • 1999
  • Lactic aicd bacteria(LAB)는 전통적으로 식품의 발효과정 중에 사용되는 미생물이다. Lactic acid bacteria를 이용한 bacteriocinogenic culture와 lactic acid bacteria에서 생산되는 산물은 식품의 부패에 원인이 되는 미생물과 병원성균에 대한 생육억제효과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생선제품, 유제품. 육제품과 발효되지 않은 냉장식품 등의 식품저장에 lactic acid bacteria를 이용한 연구가 다양하게 수행되어져 오고 있었으나 과실 및 채소류에서의 lactic acid bacteria에 대한 효용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광범위하게 연구된 것이 없다. 따라서 lactic acid bacteria의 과일 및 채소류의 저장시 효과적이고 적용성이 넓은 보존제로서의 성공적인 이용을 위해서 식품저장과 lactic acid bacteria에 대한 특성, lactic acid bacteria의 대사산물, lactic acid bacteria의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과일 및 채소의 식품성분 및 구성요소와 미생물의 생육저해효과가 있는 대사산물과의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의 수행이 과일 및 채소제품에서 lactic acid bacteria의 식품보존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점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