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cut

검색결과 351건 처리시간 0.024초

Improving the Microbial Safety of Fresh-Cut Endive with a Combined Treatment of Cinnamon Leaf Oil Emulsion Containing Cationic Surfactants and Ultrasound

  • Park, Jun-Beom;Kang, Ji-Hoon;Song, Kyung B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4호
    • /
    • pp.503-509
    • /
    • 2018
  • Endive is widely consumed in a fresh-cut form owing to its rich nutritional content. However, fresh-cut vegetables are susceptible to contamination by pathogenic bacteri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combined treatment of cinnamon leaf oil emulsion containing cetylpyridinium chloride or benzalkonium chloride (CLC and CLB, respectively) as a cationic surfactant and ultrasound (US)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on endive. The combined treatment of CLC or CLB with US reduced the population of L. monocytogenes by 1.58 and 1.47 log colony forming units (CFU)/g, respectively, and that of E. coli O157:H7 by 1.60 and 1.46 log CFU/g,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water washing treatment. The reduction levels of both pathogens were higher than those observed with 0.2 mg/ml sodium hypochlorite. In addition, the combined treatment showed no effect on the quality of the fresh-cut endive (FCE). In particular, the degree of browning in FCE was less for the treatment group than for the control and water washing treatment groups. Thus, cationic surfactant-based cinnamon leaf oil emulsions combined with US may be an effective washing treatment for the microbial safety of FCE.

Fresh-cut peach의 선도 유지제의 탐색

  • 장지현;최소영;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65.1-165
    • /
    • 2003
  • 복숭아는 절단 후 표면의 갈변현상이나 당도 저하 등이 발생하여 신선편이 식품화시 품질열화의 원인이 된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일차적으로 유명 품종에 한해 fresh-cut peach의 anti-browning chemicals를 탐색하고, 그 결과를 통해 이차적으로 효과가 우수한 chemicals를 선정하여 백향 품종에 농도별 실험을 행하였다. 유명 품종을 반으로 절단한 후 제핵하고 8등분하여 1% ascorbic acid, 1% sodium chloride, 1% sodium ascorbate monohydrate, 0.005% 4-hexylresorcinol 용액에 3분간 침지시켜 draining한 후, PP tray에 담고 PP film으로 밀봉하여 4$^{\circ}C$에서 저장하였다. 가용성고형분은 to sodium chloride 용액으로 처리한 구에서 가장 높게 유지되었고 pH 또한 비교적 일정하였으며, 1% sodium chloride과 1% sodium ascorbate monohydrate 용액으로 처리한 구의 L값이 높게 유지되었다. 따라서 fresh-cut peach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이 두 chemicals의 농도별 용액을 조제하여 같은 방법으로 백향 품종의 갈변저해제로서 처리하였다. 그 결과 2% sodium chloride의 가용성고형분이 가장 높게 유지되었으며 2% sodium ascorbate monohydrate 다음으로 2% sodium chloride 용액 처리구의 L값의 변화 양상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2% sodium chloride 용액의 처리가 fresh-cut peach의 품질 변화 억제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천연 갈변저해제를 처리한 신선절단 감자의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cut Potatoes with Natural Antibrowning Treatment during Storage)

  • 황태영;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83-187
    • /
    • 2006
  • 감초와 녹차추출액에 신선절단한 감자를 침지하고 각각 LDPE 필름으로 포장하여 $4^{\circ}C$에서 저장하면서 저장 중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함에 따라 L value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ascorbic acid를 함께 처리한 경우 하락 폭을 줄여 줄수 있었다. 저장 중 포장내의 이산화탄소 함량은 증가하였고 산소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저장 7일경까지는 녹차와 ascorbic과의 병용처리구를 제외하고는 큰 변화 가 없었으나 저장 14일경에는 모든 구에서 급격한 증가 현상을 보였다. Chlorogenic acid의 경우에도 총페놀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저장 기간 경과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띠었다. PRO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저장 기간 경과에 따라 증가하고 있었으며 갈변이 효과적으로 저해되었던 저장 7일경의 감초 및 녹차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후 14일경 갈변의 심화와 함께 효소의 활성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천연물인 감초추출물과 ascorbic acid를 병용하여 사용할 경우 냉장저장 시 일정기간 동안 천연물을 이용한 갈변저해 및 품질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착색단고추 생리장해과와 정상과의 수확 후 생리 및 신선편이의 저장성 비교 (A Comparison of Postharvest Physiology and Storability of Paprika Fresh-Cut Made from Disordered and Normal Fruits)

  • 유태종;최인이;정현진;김일섭;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9-54
    • /
    • 2010
  • 여름철 강원도 고랭지 재배되는 착색단고추는 비상품과로 분류되는 생리장해과가 발생이 많은데, 본 실험은 이들 생리장해과의 신선편이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착색단고추의 정상과와 배꼽썩음과 그리고 납작과를 수확하여 신선편이로 제조하여 수확 후 생리현상과 몇 가지 MAP 조건에서 저장성을 비교하였다. 저장전 이들 신선편이의 호흡률과 에틸렌 발생 률은 정상과와 생리장해과의 차이에 일정한 경향이 었으며 통계적 유의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 3가지의 형태의 과실의 신선편이를 두께 $25{\mu}m$$50{\mu}m$의 세라믹 필름으로 포장하여 $4^{\circ}C$$9^{\circ}C$ 그리고 상온에서 저장하였다. 저장중 생체중 감소는 모두 1.1% 이하로 과실형태로는 그 차이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필름 두께가 얇을수록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컸다. 이들 포장재내 이산화탄소와 산소농도의 경우 품종과 과실형태별 차이에 유의성은 없었으며 저장온도별로 저온이었던 $4^{\circ}C$ 처리와 필름종류에서는 두께가 얇았던 $25{\mu}m$ 세라믹 필름포장처리에서 낮은 이산화탄소와 높은 산소 농도를 보였다. 저장기간 중 변화를 보면 $4^{\circ}C$ 저장은 9일 이후, $9^{\circ}C$ 저장은 6일 이후 포장재내 급격한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와 이와 동반된 산소 농도 감소나 나타났는데, 이 시점은 외관상 품질이 급격히 감소한 때와 일치하였다. 에틸렌 농도는 상온을 제 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7{\mu}L{\cdot}L^{-1}$ 이하를 보였는데 포장재 두께가 얇은 $25{\mu}m$ 세라믹 필름포장과 $4^{\circ}C$ 저장 처리구에서 낮게 유지되었으며 과실형태별로 유의성 있는 차이나 일정한 경향은 없었다. 저장 최종일에 외관상 품질은 3일간 저장하였던 상온에서 가장 크게 감소하였으며 처리간 차이에 유의성은 없었다, $9^{\circ}C$$4^{\circ}C$ 저장에서는 정상과에서 외관상 품질이 높게 유지되었으나 생리장해과와의 차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저장온도별로 9일간 저장한 $9^{\circ}C$에 비해 12일간 저장한 $4^{\circ}C$에서 높게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착색단고추 과실의 형태 및 품질이 신선편이의 저장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저온 장해가 있는 착색단고추 과실이지만 신선편이의 경우 $4^{\circ}C$의 저온이 보다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클로버 오일을 이용한 생마 저온부패균의 제어 및 기능성 생마 신선편이의 제조 (Control of Yam-Putrefactive Psychrotrophic Bacterium Using Clove Oil and Preparation of Functional Fresh-Cut)

  • 류희영;박상조;이봉호;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6-72
    • /
    • 2007
  • 생마의 저장성 및 접근성 강화에 따른 소비증대 및 유통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생마 저온부패균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천연물을 선별하였다. 저온$(4^{\circ}C)$ 및 상온$(30^{\circ}C)$ 부패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Pseudomonas rhodesiae YAM-12 에 대해 다양한 자생 및 약용식물 추출물 800여종의 항균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클로버 오일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생마 신선편이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건전생마 신선편이에 1%클로버 오일을 3분간 침지하여, $4^{\circ}C$에서 31일간 저장한 경우, 색차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미생물의 증식 또한 완전히 억제되었다. 한편 P. rhodesiae YAM-12를 인위적으로 오염시키고(초기농도 $10^3$ CFU/g), $4^{\circ}C$에서 14일간 저장한 경우에도, 1%클로버 오일의 처리는 색차 변화를 최소화하며, 미생물증식을 $10^4$ CFU/g로 억제하였다. 반면 무처리, 멸균수 및 NaOCl 처리의 경우에는 심각한 부패와 함께 색차변화로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클로버 오일의 항균, 항산화, 항혈전 활성과 향신료로 사용되어온 점을 고려할 때, 클로버 오일을 처리한 생마 신선편이는 별도의 화학 방부제 처리 없이 생마의 유통안전성 향상 및 부패억제, 기능성 및 향미부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resh-cut 사과의 품질 보존성 향상을 위한 침지액의 개발 (Development of Dipping Solution to Extend a Shelf-life of Fresh-cut Apples)

  • 김종찬;김성철;박기재;정진웅;정승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5-41
    • /
    • 2006
  • Fresh-cut 사과의 미생물학적 품질 보존성 향상을 위해 미생물 생육억제 효과가 크다고 알려진 다양한 hurdle 인자를 개별 평가하고 이들의 병용처리 효과를 검토하여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Chitooligosaccharide와 GSE(grapefruit seed extrat)를 처리한 fresh-cut 사과는 저장 후반으로 혹은 농도가 높을수록 무처리구에 비해 총균수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 미생물 증식억제를 위한 hurdle로써의 적용이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Citric acid의 경우 malic acid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0.75% 이상의 citric acid 처리구에서는 malic acid 처리구와 달리 $18^{\circ}C$ 저장 4일을 전후해 총균수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에 미생물 증식억제의 주요 hurdle로 malic acid를 선정하였고, 부가적인 hurdle로는 미생물 생육억제 효과를 나타내면서 갈변 및 조직연화를 지연시켜 주는 ascorbic acid와 calcium chloride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최적 dipping solution의 구성 및 함량은 미생물 저해 및 갈변 방지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최소 0.25% malic acid: 0.5% ascorbic acid: 0.25% calcium chloride, 최대 0.75% malic acid: 1.0% ascorbic acid: 0.75% calcium chloride로 결정하였다.

Effect of High Vanillin Treatment on Storage Quality of Fresh-cut Apples

  • Chung, Hun-Sik;Toivonen, Peter M.A.;Moon, Kwang-Deo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636-640
    • /
    • 2009
  • The effect of post-cut vanillin treatment at high concentrations on changes of quality and microorganism in fresh-cut apples was studied. Apples (Malus domestica Borkh. cv. Fuji) were sliced, treated by dipping in different vanillin solution, 0, 40, 80, and 120 mM, packed in polyethylene bag, and then stored for up to 3 weeks at $4^{\circ}C$. Changes in total aerobic bacteria, yeast and molds, browning, soluble solids, and titratable acidity during storage were investigated. Growth of total aerobic bacteria throughout storage was strongly inhibited by vanillin regardless of treatment concentrations. Growth of yeast and molds was inhibited by vanillin of all concentrations until 2 weeks of storage. Levels of browning index, soluble solids, and titratable acidity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 conditions until 2 weeks of storage. However, when stored for 3 weeks, browning index increased more at 80 or 120 mM vanillin, while soluble solids and titratable acidity more be decreased by 120 mM vanillin as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 condition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usage of vanillin in processing of fresh-cut apples had a limitation for maintaining quality.

Shelf-Life Extension of Fresh-Cut Iceberg Lettuce (Lactuca sativa L) by Different Antimicrobial Films

  • Kang, Sun-Chul;Kim, Min-Jeong;Choi, Ung-Ky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8호
    • /
    • pp.1284-1290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activity and shelf-life extension effect of iceberg lettuce packed in BN/PE film. The BN/PE film has a strong microbial suppression effect on pathogenic bacteria such a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and S. typhimurium. The number of psychrophiles and mesophiles during 5 days of cold storage of fresh-cut iceberg lettuce at $10^{\circ}C$ packaged in BN/PE film was strictly suppressed in comparison with other tested films (OPP, PE, and PET film). When fresh processed iceberg lettuce was processed and stored under the current conditions, the shelf-life of the product was longer than 5 days in the BN/PE film package, whereas the shelf-life when using the other films tested, PE, OPP and PET, was no longer than 3-4 days. The decay rates of the iceberg lettuce packed in the BN/PE film was maintained at $29.8{\pm}2.1%$ on the 5th day of preservation. The samples packed in BN/PE film maintained an excellent visual quality during the 3 days of storage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arison with the initial visual quality. No browning was observed in the samples packed in BN/PE film for up to 3 days. The texture of shredded iceberg lettuce packaged in BN/PE film remained unchanged up to 3 days, and then a moderate decrease in texture was observed after 4 days of storage. In addition,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fresh-cut iceberg lettuce packaged in BN/PE film did not change for up to 3 days, whereas the samples packaged in the other films were inedible by 3 days of storage. In conclusion, the shelf-life of fresh-cut iceberg lettuce packaged in the BN/PE film was extended to more than 5 days at $10^{\circ}C$, whereas that in the other films was 2 days at $10^{\circ}C$. Therefore, the shelf-life extension effect of the fresh-cut iceberg lettuce in BN/PE film packaging was very effective compared with the other films tested.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cut apples during storage according to processing steps and browning inhibitor treatment

  • Hyunna Jung;Sun-Duk Cho;Min-Sun Chang;Gun-Hee Kim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69-382
    • /
    • 2023
  • We examined the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esh-cut Fuji apples (Malus pumila)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after treatment with browning inhibitors. The primary aim was to elucidate processing suitability and storability. We observed that in the processing stage of slicing fresh Fuji app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However, after NaClO treatment, total flavonoid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decreased. When freshcut Fuji apples were treated with browning inhibitors and stored at 4℃, the L value and hardness decreased; however, the weight loss rate increased based on the storage period of all fruit groups treated with Citrus unshiu Markovich (CuM), calcium ascorbate (CA), and ascorbic acid (AA). The pH increased after 2 days of storage in 1% CuM and after 6 days of storage in 1% CA; however, no changes in pH were observed during the storage period in 1% AA.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generally good under storage conditions of 1% AA at 4℃ and 1% CA at 20℃. Furthermore, FRAP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under storage conditions of 1% CA.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esh-cut fruit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ndustries. Furthermore, we can gain confidence in quality improvements by improving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environment of fresh-cut agricultural products.

갈변억제제 처리가 신선 절단 딸기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owning Inhibitors on Quality Property of Fresh-Cut Strawberries)

  • 정헌식;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6-30
    • /
    • 2012
  • 신선절단 딸기의 품질유지에 유효한 갈변억제제의 사용조건을 규명하기 위하여, 원형 딸기를 절단하고 1% 농도의 ascorbic acid, citric acid, sod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의 단용 또는 혼용 처리, 포장 및 보관 후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포장 내부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는 혼용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고 낮은 수준을 보였다. 갈변도는 혼용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다음으로 magnesium chloride 단용 처리구에서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과육경도의 감소는 sodium chloride나 magnesium chloride 단용 처리구에서 다소 억제됨을 보였으나 혼용 처리구에서 보다 더 억제되었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pH는 갈변억제제 처리의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로써, ascorbic acid, citric acid, sod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의 혼용 처리는 신선절단 딸기의 갈변과 연화 억제를 통한 품질유지에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