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ostharvest physiology and storability of fresh cut paprika fruits classified by normal, blossom end rot(BER), and misshapen (or knots) fruit. Some disordered paprika fruits that were produced frequently during high temperature season in highland, were sorted out to non-marketable products. These fruits are mostly wasted, but some of them may be used for fresh cut. The respiration rate of fresh cut paprika fruits was lower and ethylene production rate was higher in normal fruits than in disordered frui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fresh-cut paprika fruits were stored in MAP conditions at $4^{\circ}C$, $9^{\circ}C$ and room temperature in 25 ${\mu}m$ and 50 ${\mu}m$ thickness ceramic film packaging. The fresh weight of fresh cut paprika fruits decreased below to 1.1% regardless of fruit types, but the fresh weight loss increased in thinner packaging materials and lower storage temperatures.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carbon dioxide and oxygen contents in MAP of all fruit types, while $4^{\circ}C$ storage temperature treatment and 25 ${\mu}m$ thickness ceramic film treatment had lower carbon dioxide and higher oxygen contents. Moreover, the carbon dioxide and oxygen contents were changed rapidly at 9 days in $4^{\circ}C$ storage and at 6 days in $9^{\circ}C$ storage when the visual quality of fresh cut decreased dramatically. The ethylene concentration of packages was below 7 ${\mu}l{\cdot}l^{-1}$ in all treatments during storage, while the treatments of thinner packaging material and lower storage temperature showed lower ethylene concentration. The fresh cut of disordered fruits showed less visual quality than normal fruit treatment in both $4^{\circ}C$ and $9^{\circ}C$ storage temperatur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value of $4^{\circ}C$ treatment that measured 12 days in storage was higher than $9^{\circ}C$ treatment that measured 9 days in storag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isordered fruits may be used to fresh cut product without any concerns that they will decreased the value of commodities more quickly than the fresh cut made of marketable paprika fruits. As the fresh cut paprika fruits stored in MAP condition, the more effective storage temperature is $4^{\circ}C$ that may have induced chilling injury a whole fruit of the paprika.
여름철 강원도 고랭지 재배되는 착색단고추는 비상품과로 분류되는 생리장해과가 발생이 많은데, 본 실험은 이들 생리장해과의 신선편이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착색단고추의 정상과와 배꼽썩음과 그리고 납작과를 수확하여 신선편이로 제조하여 수확 후 생리현상과 몇 가지 MAP 조건에서 저장성을 비교하였다. 저장전 이들 신선편이의 호흡률과 에틸렌 발생 률은 정상과와 생리장해과의 차이에 일정한 경향이 었으며 통계적 유의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 3가지의 형태의 과실의 신선편이를 두께 $25{\mu}m$와 $50{\mu}m$의 세라믹 필름으로 포장하여 $4^{\circ}C$와 $9^{\circ}C$ 그리고 상온에서 저장하였다. 저장중 생체중 감소는 모두 1.1% 이하로 과실형태로는 그 차이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필름 두께가 얇을수록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컸다. 이들 포장재내 이산화탄소와 산소농도의 경우 품종과 과실형태별 차이에 유의성은 없었으며 저장온도별로 저온이었던 $4^{\circ}C$ 처리와 필름종류에서는 두께가 얇았던 $25{\mu}m$ 세라믹 필름포장처리에서 낮은 이산화탄소와 높은 산소 농도를 보였다. 저장기간 중 변화를 보면 $4^{\circ}C$ 저장은 9일 이후, $9^{\circ}C$ 저장은 6일 이후 포장재내 급격한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와 이와 동반된 산소 농도 감소나 나타났는데, 이 시점은 외관상 품질이 급격히 감소한 때와 일치하였다. 에틸렌 농도는 상온을 제 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7{\mu}L{\cdot}L^{-1}$ 이하를 보였는데 포장재 두께가 얇은 $25{\mu}m$ 세라믹 필름포장과 $4^{\circ}C$ 저장 처리구에서 낮게 유지되었으며 과실형태별로 유의성 있는 차이나 일정한 경향은 없었다. 저장 최종일에 외관상 품질은 3일간 저장하였던 상온에서 가장 크게 감소하였으며 처리간 차이에 유의성은 없었다, $9^{\circ}C$와 $4^{\circ}C$ 저장에서는 정상과에서 외관상 품질이 높게 유지되었으나 생리장해과와의 차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저장온도별로 9일간 저장한 $9^{\circ}C$에 비해 12일간 저장한 $4^{\circ}C$에서 높게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착색단고추 과실의 형태 및 품질이 신선편이의 저장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저온 장해가 있는 착색단고추 과실이지만 신선편이의 경우 $4^{\circ}C$의 저온이 보다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