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zing during summer seas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의 하계 동결현상 분포지에 관한 지형학적 연구 (A Geomorphological Study on the Distribution Areas of Freezing during Summer Season in Korea)

  • 전영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7-106
    • /
    • 2001
  • 한국에는 하계 동결현상이라는 특수기상이 나타나는 곳이 수 군데 존재한다. 특히 경남 밀양의 천황산 얼음골과 경북 의성 법계계곡의 빙혈 그리고 경북 청송의 얼음골은 이러한 기상적 특성 때문에 관광지로 유명한 곳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하계 동결현상 3대 분포지로 볼 수 있는 상기의 지역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미기상학적 수문학적 연구를 참고하여 지형학적 지질학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다음의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하계 동결현상 분포지에서 볼 수 있는 지형 및 지질적특성은 두터운 거력 퇴적물로 구성된 애추사면의 존재, 일사량이 적은 북향사면이거나 또는 비교적 깊은 곡벽으로 둘러 쌓여 상대적으로 일사량이 적은 지역, 안산암 또는 유문암 등의 화산암 질로 구성되는 거력 퇴적물의 특성 등이다. 둘째, 하계 동결현상을 야기시키는 시스템으로서 얼음굴은 공기의 유통이 자유로움 공간이 많이 존재하며, 일부 공간은 매우 넓어 동굴을 형성하며 부분적으로 지하수계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넷째, 하계 동결현상이 나타나기 위해서는 얼음굴 내에 있는 지하수제의 부분적 동결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두 가지의 가정이 요구된다. 하나는 외부로부터 얼음굴로 유입된 공기의 기화열에 의한 지하수제의 급랭이며, 또 다른 하나는 지난 겨울 동안 동결된 지하수제가 특수한 지형적 영향으로 동결상태가 장기간 지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명확한 원인은 얼음굴에 대한 시추작업을 통해서 만이 가능할 것이다.

  • PDF

영덕군 덕산리 얼음골의 냉각 및 하계 결빙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oling and Freezing During Summer Season in Deoksan-ri Eoreumgol (ice valley) Yeongdeok-gun (South Korea))

  • 이진국;신재열;장윤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608-617
    • /
    • 2015
  • 본 연구는 영덕군 덕산리 얼음골의 발생적 특징을 파악하고 하계 결빙현상의 과정을 규명하기 위해 미기상학적 자료 분석 및 지형 발달 특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연구지역의 얼음골은 산지 동사면 애추 지형에서 발달하고 있으며 냉각 및 하계 결빙의 강도는 애추의 형태 및 규모와 밀접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얼음골의 냉각은 동계 산지 정상부로부터 애추 내 암설의 공극을 통해 하단부로 이동하는 냉기류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결과 애추 내 하단부 암설들을 과냉각시킨다. 냉각된 공기는 안정한 기층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와 순환되지 못하고 애추 지형 하단부에 정체하며 일부 유출 지점에서는 초여름까지 결빙 현상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냉기류가 유출될 때 외부 공기의 습도 및 기화열의 발생은 결빙 현상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 PDF

얼음골의 하계 결빙현상에 관한 수문학적 연구 (Hydrological Study of the Freezing in Summer Season at the Ice Valley, Korea)

  • 배상근
    • 물과 미래
    • /
    • 제23권4호
    • /
    • pp.459-466
    • /
    • 1990
  • 하계에는 얼음이 어나 동계에는 얼지 않는 얼음골의 온도 역전현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열이류와 열전도를 고려한 지하수온 형성에 관한 이론식으로 부터 수치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얼음골지역의 이상수온현상은 지하수온의 지체에 의한 것임이 판명되었으며 그에 대 한 원인도 추정되었다.

  • PDF

Simmental의 정액성상에 관한 연구 제1보, 정액의 하계수취를 중심으로 (Studies on the Properties of Simmental Semen I. With Special Reference to Collecting Semen During Summer)

  • 고광두;한두희;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3-48
    • /
    • 1981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the purpose to get some information about the properties of Simmental bull semen during summer season.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Semen volume per ejaculation, sperm concentration and sperm viability were averaged 5.16ml, 6.6billion and 65%, respectively. 2. Percentage of motile sperm after dilution in skmmilk solution and trisbuffer for 5 days were 34.16% and 35.0%, respectively. 3. Viability of spermatozoa frozen in skimmilk extender and trisbuffer for 5 days were 20. 83% and 25.66%, respectively. 4. Percentage of live sperm, MRT and pH value were 71.8∼72.1%, 8.40∼8.21 minutes and 6.78, respectively. 5. Diluted semen showed strong resistance to the cold shock than that of fresh semen. 6. Rscovery of sperm motility after freezing for 24 hours was relatively weak.

  • PDF

Mechanism for Bank Erosion and Local Scouring in Estuary of the Hangang River

  • Lee, Samhee;Han, Hyeongjun;Choo, Jeongho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53-462
    • /
    • 2014
  • The levee and bridge pier in estuary of the Hangang River are exposed in a dangerous condition due to bank erosion and local scouring occurred since the summer season in 2011. At first, it is presumed that the high sandbar formed in river channel of the study area w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occurrence of bank erosion and local scouring. It can be presumed that the record-breaking depth of freezing due to cold wave for the long term during the winter season between 2010 and 2011 as well as the heavy intensive rainfall of 2011 had a decisive effect on the first damage of A section. The second damage of B section mainly occurred around the bridge pier constructed on the high water channel before it was washed away during the winter season between 2011 and 2012. It is considered that the second damage was caused by ice formation and ice floes.

Seasonal and Regional Effects on Milk Composition of Dairy Cows in South Korea

  • Nam, Ki-Taeg;Kim, Ki-Hyun;Nam, In-Sik;Abanto, Oliver D.;Hwang, Seong-Gu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6호
    • /
    • pp.537-542
    • /
    • 2009
  • For a period of over 6 years, more than 160,000 milk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different seasonal temperatures and geographic regional location on milk composition in South Korea. Fat, protein, lactose, non fat milk solids (NFMS) and total solids (TS)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dairy cows milked in winter season than other seasons (p<0.05). In contrast, freezing point (FP), milk urea nitrogen (MUN) and somatic cell count (SCC)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mmer season than other seasons (p<0.05). The average SCC in the autumn season was $358{\times}10^3$/ml, which was lower than any other seasons (p<0.05). These results may be due to the changes in temperature during different seasons. Meanwhile, milk produced by dairy cows in central region had higher fat, protein, lactose, NFMS, TS and MUN and had lower SCC compared to other regions (p<0.05). Fat, TS, FP, MUN and citric acid in northeast region were lower than other regions (p<0.05). The SC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outheast region than those of other regions (p<0.05). As a result, it might be possible that the differences in feeding management in each different region may affect the milk composition. In conclusion, present results indicated that milk composition is clearly influenced by both season and regional location.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 development of different feeding systems, according to season and region is needed to produce high quality and satiable milk production.

논산 개태사지석불입상의 손상도와 보호각 내부의 미기후 환경 (Deterioration and Microclimate in the Shelter for the Gaetaesajiseokbulibsang (Standing Triad Buddha Statues in Gaetaesaji Temple Site), Nonsan, Korea)

  • 김지영;박선미;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9-196
    • /
    • 2009
  • 논산 개태사지석불입상(보물 제219호)은 담회색을 띠고 부분적으로 장석 반정을 함유하고 있는 중립 내지 조립질의 화강섬록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암석의 전암대자율은 평균 12.06(${\times}10^{-3}$ SI unit)으로 개태사지 배후의 천호산 ($0.19{\times}10^{-3}$ SI unit) 노두와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석재의 외부 유입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석불입상은 우협시불의 박리(35.2%), 본존불의 시멘트 보수물질(21.1%) 및 먼지(25.0%)가 주요한 손상현상으로 밝혀졌다. 초음파 속도는 본존불 2850.2m/s, 좌협시불 2648.4m/s, 우협시불 2644.5m/s로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산정한 일축압축강도는 우협시불이, 부위별로는 대좌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를 나타내어 손상도 평가 결과와 일치하였다. 석불입상이 봉안된 보호각 내부의 연평균 기온은 $13.7^{\circ}C$, 상대습도는 79.0%로, 계절에 따른 보호각 내부의 환경 변화는 근본적으로 외부의 변화를 따르나 미기후 변동이 심하지 않아 비교적 안정된 실내 환경이 유지되고 있다. 석불입상의 대좌 표면에서는 봄과 여름철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겨울철에는 동결파괴가 우려된다. 이는 훼손도 평가와 초음파 탐사 결과에서 나타난 대좌의 풍화 및 강도 저하의 근본적인 요인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봄과 여름철에 집중 강우 시 실내의 제습과 한겨울에 기온 강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