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T_3%5C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31초

Ag2O 첨가량에 따른 0.95(Na,K)NbO3-0.05LiNbO3 세라믹스의 압전 특성 (Piezoelectric Properties of Ag2O Doped 0.95(Na,K)NbO3-0.05LiNbO3 Ceramics)

  • 채문순;신동진;고중혁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435-438
    • /
    • 2012
  • As lead-free piezoelectric materials, $Ag_2O$ doped $0.95(K_{0.5}Na_{0.5})NbO_3-0.05LiNbO_3+x$ mol% (where x = 0, 0.5, 1, 1.5, 2, 2.5 and 3, respectively) ceramics were fabricated by a conventional sintering process. The doping effects on the microstructure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0.95(K_{0.5}Na_{0.5})NbO_3-0.05LiNbO_3$ ceramics wer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When the 3 mol % $Ag_2O$ doped $0.95(K_{0.5}Na_{0.5})NbO_3-0.05LiNbO_3$ samples were sintered at $1,080^{\circ}C$ for 5 hrs in air, these ceramics showed excellent values of density=4.20 $g/cm^3$, piezoelectric constant ($d_{33}$)=174 pC/N and phase transition temperature$(T_c)=421.6^{\circ}C$, respectively.

Nb2O5 첨가와 소결시간에 따른 Ba0.99(Bi0.5Na0.5)0.01TiO3 세라믹스의 PTCR 특성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ivity(PTCR) Behavior of Nb2O5 Added Ba0.99(Bi0.5Na0.5)0.01TiO3 Ceramics as a Function of Sintering Time)

  • 오영광;최승훈;류주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4권7호
    • /
    • pp.559-562
    • /
    • 2011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Nb_2O_5$ and sintering time on the positive temperature of coefficient of resistivity (PTCR) behavior of lead free $Ba_{0.99}(Bi_{0.5}Na_{0.5})_{0.01}TiO_3$ (BBNT) ceramic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fabricate a PTC thermistor with high $T_c$ temperature more than $140^{\circ}C$. In particular, BBNT ceramic doped with 0.1mol% $Nb_2O_5$ and sintered at $1350^{\circ}C$ for 4 h has significantly increased Curie temperature ($T_c$) of about $200^{\circ}C$, showed good PTCR behavior of room-temperature resistivity ($\rho_{rt}$) of $40{\Omega}{\cdot}cm$, a high $\rho_{max}/\rho_{min}$ ratio of $43.78{\times}10^3$ and a large resistivity temperature factor (${\alpha}$) of 16.1%/$^{\circ}C$. With increasing addition of $Nb_2O_5$ content, the $\rho_{rt}$ decreased to a minimum value of $40\;{\Omega}cm$ at 0.1mol% $Nb_2O_5$ and the $\rho_{rt}$ increased for x value over 0.1 mol%.

PTC 써미스터를 위한 $BaTiO_3-(Bi_{1/2}Na_{1/2})TiO_3$ ($BaTiO_3-(Bi_{1/2}Na_{1/2})TiO_3$ system for PTC Thermistor)

  • 박용준;이영진;백종후;김대준;이우영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92
    • /
    • 2007
  • An anomalous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of electrical resistivity (PTCR) was investigated in a ferroelectric lead-free perovskite-type compound $(Bi_{0.5}Na_{0.5})TiO_3$ within $BaTiO_3$-based solid solution ceramics. The effect of $Nb_2O_5$ content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and the microstructure of (1 - x) $BaTiO_3-x\;(Bi_{0.5}Na_{0.5})TiO_3$ (BNT) ceramics made using a conventional mixed oxide process also has been studied. The Curie temperature was obviously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of $(Bi_{0.5}Na_{0.5})TIO_3$ content. The Nb - doped BNT ceramics (x=0.01) display low resistivity values of $10^{1{\circ}}C-10^{2{\circ}}C$ ohm.cm at room temperature and the Curie Temperature of $T_c=160^{\circ}C$.

  • PDF

내과적 문제로 수술이 불가능한 조기 비소세포성 폐암에서의 방사선치료 (Radiotherapy in Medically Inoperable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보경;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57-264
    • /
    • 2000
  • 목적 : 조기 비소세포성 폐암의 경우 수술이 최선의 치료법으로 생각 되고있다. 환자가 내과적인 질환으로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혹은 수술을 거부한 경우 방사선치료가 수술의 대체적 치료로 사용 가능하다. 근치적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에서의 치료성적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분석을 통하여 향후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1987년 6월부터 1997년 6월 사이에 치료를 시행 받은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조기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이 불가능했던 이유로는 폐질환이 21명으로 가장 많았다. 대상환자의 중간 연령은 68세였으며, 조직학적으로는 편평상피암이 24명으로 가장 많았다. 임상 병기는 T1, T2, T3가 각각 5명, 25명, 2명이었으며, 진단시의 종양의 크기는 3$\~$5 cm가 13명으로 가장 많았다. 방사선치료는 6 MV또는 10 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종양부위에 54.0$\~$68.8 Gy (중앙값; 61.2 Gy)를 조사하였고 12명의 환자에서는 동시분할조사를 시행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2개월에서 93개월 (중앙값; 23개월)이었고, 생존기간은 치료개시일을 기준으로 산정하였다. 결과 : 전체생존률은 코년, 5년이 각각 44.6$\%$, 24.5$\%$이었으며, 무병생존률은 38.9$\%$, 28.3$\%$, 중앙생존기간은 23개월이었다. 전체환자 32명중 최종 추적관찰 시 25명이 사망하였으며, 이중 7명이 페암이외의 질환으로 사망하였다. 단변량분석 상 종양의 크기는 전체생존률과 무병생존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판정되었고 (p=0.0015, p=0.0022), T 병기는 전체생존률에 의미있는 요인으로 판정되었다(p=0.0395). 다변량분석 상 종양의 크기는 무병생존률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요인으로 판정되었으며(p=0.0317), 전체생존률에 영향을 주는 경향을 보였다 (p=0.0649). 종격동의 방사선조사 여부는 생존률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 : 근치적방사선치료는 조기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로 내과적인 질환으로 수술 불가능한 경우나 환자가 수술을 거부한 경우, 특히 T1 또는 3 cm 이하의 종양에서는 수술적치료를 대치할 수 있는 치료법이다. 그러나 종양의 크기가 5 cm를 넘는 경우에는 방사선치료만으로는 장기생존자가 거의 없었으며, 따라서 이러한 환자의 치료에 있어 과분할조사나 기관지내 추가조사, 방사선감작제의 사용, 입체조형방사선치료, 강도변조방사선치료 등의 이용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A CHARACTERIZATION OF THE UNIT GROUP IN ℤ[T×C2]

  • Bilgin, Tevfik;Kusmus, Omer;Low, Richard M.
    • 대한수학회보
    • /
    • 제53권4호
    • /
    • pp.1105-1112
    • /
    • 2016
  • Describing the group of units $U({\mathbb{Z}}G)$ of the integral group ring ${\mathbb{Z}}G$, for a finite group G, is a classical and open problem. In this note, we show that $$U_1({\mathbb{Z}}[T{\times}C_2]){\sim_=}[F_{97}{\rtimes}F_5]{\rtimes}[T{\times}C_2]$$, where $T={\langle}a,b:a^6=1,a^3=b^2,ba=a^5b{\rangle}$ and $F_{97}$, $F_5$ are free groups of ranks 97 and 5, respectively.

버섯잔사 첨가급여가 육성기 한우 채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ent Mushroom Substrates Addition on Eating Behavior of Growing Hanwoo)

  • 이상무;황주환;윤용범;곽완섭;김영일;문상호;전병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7-118
    • /
    • 2008
  • 본 실험은 NDF 및 ADF 함량이 높은 버섯폐배지(버섯잔사)에 대한 볏짚 대체 가능성을 채식 행동 관점에서 검토할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시험사료인 농후사료+볏짚(Control: 5.32kg+자유채식), 농후사료+버섯폐배지+볏짚(T1 : 5.32kg+0.82kg+자유채식) 및 농후사료+버섯폐배지+ 볏짚 (T2 : 5.32 kg+1.64 kg+자유채식)를 급여하여 채식 행동 조사를 하였다. 공시가축은 평균체중 357.0+2.9kg인 한우 18두를 이용하였으며, 사료급여에 있어서는 농후사료와 버섯페배지는 1일 2회로 반량씩 급여하였으며 볏짚은 자유채식토록 하였다. 볏짚 채식량은 Control구가 2.66kg으로서 가장 높게, T2구가 2.03 k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난 반면, 총채식량 및 NDF 채식량은 T2 > T1 > Control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채식시간은 Control구가 289.3분, T2구가 290.5로 비슷했고 T1구가 236.0분으로 가장 적었다(p<0.05). 반추시간에 있어서는 버섯폐배지 첨가량을 0%(0.0kg), 15%(0.82kg) 및 30%(1.64kg)로 증가 시켜줌에 따라 반추시간은 451.0분에서 359.5분으로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는 버섯폐배지의 사료입자 크기가 매우 작았던 것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1일 저작시간, 식괴수, 저작회수와 식괴당 저작수 및 사료가치지수는 볏짚을 급여한 대조구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식괴당 반추시간은 T2(69.4분)에서, 분 당 식괴수는 T1구(1.07번)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채식율, 반추효율 및 저작효율성에 있어서는 버섯폐배지 첨가 급여구(T1, T2)가 무첨가 급여구(Control)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높은 채식량과 버섯폐배지의 작은 입자도가 관여한 것으로 생각된다. 군 행동은 모든 구(Control, T1 및 T2)에서 농후사료 급여시에 통일된 행동을 보였고, 반추 및 휴식에 있어서 군 행동은 처리 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육성우 배합사료에 버섯폐배지 15% 및 30%를 첨가 급여함으로서 반추시간, 식괴수, 저작수 및 FVI치는 다소 낮은 결과치를 보였으나, 채식행동에 큰 문제가 될 정도는 아니며, 오히려 채식율, 반추효율 및 저작효율에 있어서 무첨가구에 비하여 첨가구가 높았던 점을 감안 할 때 한우 육성우 조사료원으로서 대체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MnO2가 도핑된 무연 High Tc (>165℃) BaTiO3-(Bi0.5Na0.5)TiO3 세라믹의 PTCR 특성 향상 (Enhancement of PTCR Characteristics of MnO2 Doped Lead Free BaTiO3-(Bi0.5Na0.5)TiO3 Ceramics with High Tc (>165℃))

  • 김경범;장용호;김창일;정영훈;이영진;백종후;이우영;김대준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4권9호
    • /
    • pp.723-727
    • /
    • 2011
  • 0.935Ba$TiO_3$-0.065($Bi_{0.5}Na_{0.5}$)$TiO_3+xmol%MnO_2$ (BBNTM-x) ceramics with $0{\leq}x{\leq}0.05$ were fabricated with muffled sintering by a modified synthesis process. Their microstructure and enhanced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ivity (PTCR) characteristics wer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in order to obtain lead-free high TC PTCR thermistors. All specimens showed a perovskite structure with a tetragonal symmetry and no secondary phase was observed. Grain growth was achieved when the doped MnO2 was increased above 0.02 mol%. This is due to the effect of positive Mn ion doping as an acceptor compensating a Ba vacancy occurred by the higher donor dopant concentration of $Bi^{3+}$ ion. Especially, enhanced PTCR characteristics of the extremely low ${\rho}_{RT}$ of $9\;{\Omega}{\cdot}cm$, PTCR jump of $5.1{\times}10^3$, ${\alpha}$ of 15.5%/$^{\circ}C$ and high $T_C$ of $167^{\circ}C$ were achieved for the BBNTM-0.04 ceramics.

SrO의 첨가에 따른 [Li0.04(Na0.5K0.5)0.96](Nb0.86Ta0.10Sb0.04)O3세라믹스의 유전 및 압전 특성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Li0.04(Na0.5K0.5)0.96](Nb0.86Ta0.10Sb0.04)O3 Ceramics Doped with SrO)

  • 박민호;류주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198-203
    • /
    • 2012
  • In this study, $[Li_{0.04}(Na_{0.5}K_{0.5})_{0.96}](Nb_{0.86}Ta_{0.10}Sb_{0.04})O_3+xSrO$ (x=0, 0.0025, 0.005, 0.0075) ceramics were synthesized by the conventional mixed oxide method. The X-ray diffraction patterns demonstrated that ceramics possessed single perovskite structure. The SEM images indicate that microstructure can be obviously affected by a small amount of added SrO.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tetragonal-cubic($T_c$) and orthorhombic-tetragonal($T_{o-t}$) shifts downward and upward with the increase of Sr addition, respectively. The excellent piezoelectric properties of $d_{33}=170[pC/N]$, $k_p=0.37$, $Q_m=64.12$, $T_{o-t}=153^{\circ}C$ and $T_c=370^{\circ}C$ were obtained from the 0.25 mol% Sr added ceramics sintered at $1,120^{\circ}C$ for 1 h.

논 토양에서 사일리지용 수수 × 수수 교잡종 재배시 화학비료와 발효 돈분 액비 혼용 시용이 생육특성 및 영양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with Liquid Swine Manure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Value of Sorghum × Sorghum Hybrid for Silage in Paddy Field Cultivation)

  • 황주환;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0-296
    • /
    • 2015
  • 본 실험은 논 토양에서 사일리지용 수수 ${\times}$ 수수 교잡종 재배시 화학비료와 발효 돈분 액비 혼용 시용이 생육특성 및 영양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화학비료 100% 처리구 (C), 화학비료 70% + 돈분액비 30% 처리구 (T1), 화학비료 50% + 돈분액비 50% 처리구 (T2), 화학비료 30% + 돈분액비 70% 처리구 (T3) 그리고 돈분액비 100% 처리구 (T4)로 한, 5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이때 돈분 액비 시용은 질소량만을 기준으로 하였다 (150 kg/ha). 초장, 엽장, 엽폭 그리고 경의 굵기는 T4구가 유의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p<0.05). 경의 경도는 돈분액비 시용 비율 낮고 화학비료 시용 비율이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생초수량은 T2구가 높았던 반면 T3구가 낮게 나타났다 (p<0.05). 그러나 건물 수량 및 TDN 수량은 처리구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단백질 함량은 T1구가 다른 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p<0.05). 조지방 함량은 T1, T2, T3 그리고 T4 처리구들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C구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NDF와 조섬유 함량은 각각 T3구와 C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p<0.05). 그러나 ADF 함량은 처리구들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무기물 함량은 T1 > T2 > T4 > T3 > C 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유리당 함량은 T1과 C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돈분액비 시용은 화학비료에 비하여 수량성, 영양성분에 크게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일지용 수수 ${\times}$ 수수 교잡종 재배시 돈분액비와 화학비료를 혼용 시용 하거나 돈분액비 만 시용하여도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SrTiO3 치환에 따른 (Na,K)NbO3계 세라믹스의 유전 및 압전특성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Na,K)$NbO3 Ceramics as a Function of SrTiO3 Substitution)

  • 이상호;류주현;이의용;송현선;마석범;김성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84-488
    • /
    • 2009
  • In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the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s with high piezoelectric and dielectric properties, $[(K_{0.5}Na_{0.5})_{0.95}Li_{0.05}(Nb_{0.96}Sb_{0.04})]O_3$ ceramics were fabricated using $Ag_2O$ as sintering aid and a conventional mixed oxide process and their piezoelectric and dielectric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SrTiO_3$ substitution. $SrTiO_3$ substitution enhanced density, dielectric constant(${\varepsilon}_r$) and electromechanical coupling factor($k_p$). However, mechanical quality factor was deteriorated. And also, Curie temperature ($T_c$), and phase transition temperature($T_p$) were rapidly decreased. At the 0.5 mol% $SrTiO_3$ substitution, density, electromechanical coupling factor($k_p$), dielectric constant(${\varepsilon}_r$) and piezoelectric constant($d_{33}$) of specimen showed the optimum value of $4.437\;g/cm^3$, 0.457, 1294, 265 pC/N,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