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floating plants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6초

하계우포습지의 육수학적 특성 및 부유수생식물의 영향 (Lim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of Free-floating Plants on the Woopo Wetland during the Summer)

  • 주기재;김구연;박성배;이찬우;최상호
    • 생태와환경
    • /
    • 제35권4호통권100호
    • /
    • pp.273-284
    • /
    • 2002
  • 본 연구는 하계동안 습지 수면을 덮고 있는 부유성 수생식물이 습지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위하여 1998년 1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우포습지의 이${\cdot}$화학적 변화를 파악하고 하계에 부유수생식물 및 저토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현장실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우포습지의 수위는 홍수발생 시 낙동강의 범람으로 2-3m정도의 변화를 보였다. 대부분의 이 화학적 요인들 및 동${\cdot}$식물플랑크톤의 밀도는 여름동안의 홍수와 6월에서 10월까지 습지 수표면을 거의 덮고 있는 수생식물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존산소(Jun.-Sept., 4.5${\pm}$2.5 mg/1: Oct.-May,8.1${\pm}$4.0 mg/l)와 pH(Jun.-Sept.,6.9${\pm}$0.4; Oct.-May,7.4${\pm}$0.8)는 다른 계절에 비해 여름철에 현저히 낮았다. 여름철에 번성하는 부유성 수생식물(개구리밥, 생이가래, 좀개구리밥)과 수중의 저토가 하계의 육수학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표면에 enclosure(100 L, 6개)를 설치하고 부유식물, 천 그리고 노출 상태의 처리군을 부유식물의 유${\cdot}$무, 수중 저토의 유 ·무에 대해 실험한 결과, 부유식물이 있는 처리군이 다른 경우에 비하여 DO, pH가 낮게 나타났고, 노출된 대조구에서 상대적으로 식물플랑크톤(chi. a)의 생체량이 높았다. 또한 각 처리군에서 수중 저토가 있는 경우 영양염류농도가 높았고, 특히 부유식물이 있는 처리구에서 높은 영양염류의 농도를 보였다.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는 부유식물에 의한 뚜렷한 영향은 보이지 않았지만, 초기에 rotifer가 우점하였고 이후 cladoceran과 copepods의 증가로 rotifer의 밀도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조사기간 중 하계에 지속적으로 관찰된 DO와 pH가 감소하는 것은 수생부유식물의 번성과 수중 퇴적물의 분해에 따른 영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산호 습지에서 관속식물의 군집 구조와 생산성 및 영양염류의 흡수 (Community Structure, Productivity, and Nutrient Uptake of the Vascular Plants in the Wetlands of the Asan-Lake)

  • 김철수;손성곤;이정환;오경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3호
    • /
    • pp.201-209
    • /
    • 2000
  • 아산호 연안대의 습지에서 식물군락과 호소 환경과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1997년 3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수생식물,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의 종조성, 분포 면적, 식생 구조, 현존량, 식물체에 의한 영양염류 흡수 등을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은 38과 89속 106종 14변종으로 총 120종류가 분포하였는데, 그 중 수생식물은 정수식물 14종류, 침수식물 5종류, 부수식물 4종류 등 23종류가 출현하였고,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은 97종류였다. 조사 지소별 분포 종수는 4∼85종류로 조사지소별로 차이가 많았다. 우점종은 줄(Zizania latifolia)이었으며, 부들(Typha orientalis), 갈대(Phragmites communis),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등의 순으로 중요치가 낮아졌다. 정수식물,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의 분포 면적은 49.3 ㏊(90.5%)이고 부수식물이 5.2 ㏊(9.5%)이며, 부엽식물 및 침수식물은 분포 면적이 매우 적었다. 생활형별 연순생산량은 정수식물,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이 547.9 ton D.W./yr, 그리고 부수식물이 10.5 ton D.W./yr로서 이들의 비율은 98: 2이며, 호소 전체의 연순생산량은 558.4 ton D.W./yr에 달한다. 아산호 전체에서 관속식물에 의한 질소 및 인의 연간 흡수량은 각각 7,099kg 및1,891 kg이었다.

  • PDF

신평천(임실), 추령천(정읍) 일대의 식물상 및 식생 단면도 (Vegetation Sectional View and Flora in the Sinpyeong Stream (Imsil), Churyeong Stream (Jeongeup))

  • 오현경;변무섭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9-81
    • /
    • 2011
  • The flora of the Sinpyeong and Churyeong stream were listed 324 taxa; 87 families, 227 genera, 289 species, 1 subspecies, 31 varieties and 3 forms. The Sinpyeong stream were 249 taxa and Churyeong stream were 221 taxa. Based on the rare plants (IUCN) by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were recorded; Penthorum chinense (Crassulaceae), etc. and endemic plants, 6 taxa; Weigela subsessilis (Caprifoliaceae), Lycoris flavescens (Amarylidaceae), etc. Based on the specific plant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12 taxa (3.7% of all 324 taxa of flora); Monochoria korsakowi (Pontederiaceae), etc. in class III. 10 taxa (Salix glandulosa (Salicaceae), Ulmus parvifolia (Ulmaceae), Impatiens noli-tangere (Balsaminaceae),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Tiliaceae), Nymphoides peltata (Gentianaceae), Actinostemma lobatum (Cucurbitaceae), Cirsium pendulum (Compositae), Microstegium japonicum (Gramineae), etc.) in class I. Based on the naturalized plants, 51 taxa and ecosystem disturbing wild plants, 6 taxa (Rumex acetosella, Sicyos angulatus, Aster pilosus, Ambrosia artemisiaefolia, Hypochaeris radicata, Paspalum distichum var. distichum) and naturalization rate was 15.7% of all 324 taxa of flora, urbanization index was 18.8% of all 271 taxa of naturalized plants. Based on the hydrophytes, 23 taxa and emergent hydrophytes were 17 taxa, floating-leaved hydrophytes were 3 taxa, submergent hydrophytes were 2 taxa, free-floating hydrophytes was Spirodela polyrhiza.

경주시 생태복원하천인 충효천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Ecologically Restored Stream, Chunghyocheon in Gyeongju-si)

  • 유주한;정성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4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management of ecologically restored stream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Chunghyocheon stream, Gyeongju-si. The survey of vascular plants in this site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restoration.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276 taxa including 68 families, 188 genera, 242 species, 1 subspecies, 29 varieties and 4 forms. The rare plants were 2 taxa including Prunus yedoensis Matsum. and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and the Korean endemic plant was Lespedeza maritima Nakai.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3 taxa including 1 taxa of grade V, 3 taxa of grade III, 1 taxa of grade II and 8 taxa of grade I. The naturalized plants were 62 taxa including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Lepidium virginicum L., Poa compressa L.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Ambrosia artemisiifolia L., Aster pilosus Willd. and Lactuca scariola L.. The hydrophytes were 34 taxa including 26 taxa of emergent plant, 1 taxa of floating-leaved plant, 2 taxa of free-floating plant and 5 taxa of submerged plant.

영산강집수역의 수생식물과 특정식물분포 (Distribution of specific plants and Hydrophytes in the wetland of Youngsan River)

  • 김하송;임병선;이점숙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03-311
    • /
    • 1999
  • 본 연구는 1997년 6월부터 1999년 7월까지 영산강집수역에서 수생식물과 특정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된 수생식물은 정수식 19과 52종, 부유식물 5과 7종, 침수식물 7과 12종, 부엽식물 7과 15종으로 총 32과 86종이 나타났으며, 습지식물은 36과 135종으로 조사되었다. 감소추세종인 통발, 자라풀, 끈끈이주걱, 이삭귀개, 땅귀개와 멸종위기종인 순채와 가시연꽃이 확인되었다.

  • PDF

대구광역시 금호강 주변의 3개 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 가남지, 안심습지, 점새늪을 중심으로 -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ree Wetlands around Geumho River, Daegu Metropolitan City - Ganam Reservoir, Anshim Wetland and Jeomsae Swamp -)

  • 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7-90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cological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ree wetlands by surveying the vascular plants in Ganam reservoir, Ahnshim wetland and Jeomsae swamp. The whole taxa of vascular plants were 376 taxa including 90 families, 252 genera, 341 species, 7 subspecies, 24 varieties, 2 forms, 1 hybrid and 1 cultivar, and the planted species were 66 taxa including Ginkgo biloba and so on. The rare plants were 7 taxa including Euryale ferox(VU), Aristolochia contorta(LC), Koelreuteria paniculata(VU), Sagittaria trifolia(DD), Hydrocharis dubia(LC), Ottelia alismoides(LC) and Sparganium stoloniferum(VU). The Korean endemic plant was 1 taxon of Lespedeza maritima. In total, there were 21 taxa of floristic target species including 1 taxon of garde V, 2 taxa of grade IV, 6 taxa of grade III, 5 taxa of grade II and 7 taxa of grade I . The hydrophytes were 51 taxa including 36 taxa of emergent species, each 6 taxa of floating-leaved and submerged species and 3 taxa of free-floating species.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79 taxa including 75 taxa of naturalized plants and 4 taxa of casual alien plant. The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6 taxa including Sicyos angulatus, Ambrosia artemisiifolia, Lactuca seriola, Symphyotrichum pilosum, Paspalum distichum and Humulus scandens.

경남 김해 화포천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Hwapocheon Wetland, Gimhae, Gyeongnam)

  • 유주한;박경훈;이우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61-7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of wetland ecosystem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Hwapocheon wetland, Gimhae, Gyeongnam, Kore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292 taxa including 72 families, 192 genera, 262 species, 1 subspecies, 26 varieties and 3 forms. There were 34 taxa of hydrophytes, 23 taxa of emergent plants, 4 taxa of floating-leaved plants, 5 taxa of free-floating plants and 5 taxa of submerged plants. The rare plants were 7 taxa including Aristolochia contorta, Penthorum chinense, Prunus yedoensis(planting), Ixeris tamagawaensis, Hydrocharis dubia, Iris ensata var. spontanea(planting), Acorus calamus and so forth.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2 taxa including Salix koriyanagi and Salix pseudolasiogyne.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9 taxa including 2 taxa of grade V, 1 taxa of grade IV, 5 taxa of grade III, 2 taxa of grade II and 9 taxa of grade I. The naturalized plants were 62 taxa including Chenopodium album, Astragalus sinicus, Helianthus tuberosus, Panicum dichotomiflorum and so forth. The plants that were expected to spread nationwide were 14 taxa including Cerastium glomeratum, Bidens frondosa, Tagetes minuta, Festuca arundinacea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6 taxa including Rumex acetosella, Sicyos angulatus, Ambrosia artemisiifolia, Ambrosia trifida, Aster pilosus and Lactuca scariola.

광주광역시 도심 영산강 수계 습지의 식물자원 (Plant Resources of wetlands in Youngsan River Streams of Downtow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임동옥;조원철;최현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28
    • /
    • 2009
  • 광주광역시 도심 영산강 수계의 관속식물은 91과 265속 386종 49변종 및 2품종으로 총 43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수생식물 중 정수식물은 16분류군, 부엽식물은 10분류군, 침수식물은 10분류군, 부유식물은 3분류군 그리고 습생식물은 14분류군으로 총 53분류군이었다. 희귀 및 멸종위기종은 자라풀, 가시연꽃, 낙지다리, 왕벚나무, 좀어리연꽃 등 5분류군이었다. 특정식물종 I급종은 10분류군, II급종 2분류군, III급종 2분류군, IV급종 3분류군 그리고 V급종 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5과 44속 59종 3변종으로 총 6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귀화율은 14.19%였다. 환경부 생태계 교란종은 돼지풀, 물참새피 및 도깨비가지 등이었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wave interacting with a free rolling body

  • Jung, Jae Hwan;Yoon, Hyun Sik;Chun, Ho Hwan;Lee, Inwon;Park, 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5권3호
    • /
    • pp.333-347
    • /
    • 2013
  • The present study numerically models the interaction between a regular wave and the roll motion of a rectangular floating structure. In order to simulate two-dimensional incompressible viscous two-phase flow in a numerical wave tank with the rectangular floating structure, the present study used the volume of fluid method based on the finite volume method. The sliding mesh technique is adopted to handle the motion of the rectangular floating structure induced by fluid-structure interaction. The effect of the wave period on the flow, roll motion and forces acting on the structure is examined by considering three different wave periods. The time variations of the wave height and the roll motion of the rectangular structure are in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results for all wave periods. The present response amplitude operator is in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results with the linear potential theory. The present numerical results effectively represent the entire process of vortex generation and evolution described by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longer wave period showed a different mechanism of the vortex evolution near each bottom corner of the structure compared to cases of shorter wave periods. In addition, the x-directional and z-directional forces acting on the structure are analyzed.

우포늪과 토평천의 식물상 (Flora in Woopo Wetland and Topyeong Stream)

  • 오경환;김철수;이팔홍;손성곤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07-118
    • /
    • 2004
  • 우포늪 및 우포늪과 수문학적으로 연관된 토평천을 대상으로 관속식물상과 홍수시 유량 변화에 따른 식물종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우포 256종류, 목포 242종류, 사지포 265종류, 쪽지벌 177종류, 토평천 상류 201종류, 토평천 하류 180종류 등으로서 모두 86과 232 속 302종 42변종 6품종 등 총 350종류가 확인되었는데, 수생식물 36종류, 습생식물 96종류 및 육상식물 218종류였다. 수생식물을 생활형별로 분류한 결과는 정수식물 19종류, 부엽식물 6종류, 부수식물 4종류, 침수식물 7종류 등이었다. 우포늪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중 법적 보호종 및 기타 보호 가치가 있는 식물로는 가시연꽃, 자라풀, 창포, 쥐방울덩굴, 물여뀌 등이었다. 조사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우포늪 27종류, 목포 25종류, 사지포 35종류, 쪽지벌 21종류, 토평천 상류 26종류 및 토평천 하류 24종류이며, 우포늪 전체로는 43종류였는데 이는 우포늪 전체에서 출현한 관속식물의 12.3%에 해당한다. 홍수시 유량 변화에 따른 식물종의 분포 변화 양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장마 전 후를 중심으로 관속식물의 분포 현황을 조사한 결과 장마 전에는 165~244종으로서 총 299 종류였고, 장마 후에는 86~212종으로서 총 299 종류로서 6개 조사 지소 모두 장마 전의 분포 종수가 장마 후보다 많았으며, 전체 분포 종수는 장마 전 및 후 모두 299 종류로 같았다. 장마 전 및 장마 후를 기준으로 관속식물의 생활형별 분포 종수를 조사한 결과 수생식물, 습생식물 및 육상식물의 장마 전 분포 종수는 33, 83 및 183종류였고, 장마 후에는 29, 83 및 187종류였다. 그리고 수생식물의 경우 생활형별 분포 종수도 장마 전과 장마 후의 분포 상황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이 장마 전과 장마 후의 전체 분포 종수 및 생활형별 분포 종수에 큰 차이가 없는 것은 조사 지역에 분포하는 수생 및 습생식물들이 대부분 늪의 수위 변동에 적응된 종들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우포늪과 토평천의 습지가 훼손될 경우 각종 악영향이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