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ree proline

검색결과 422건 처리시간 0.023초

ABA와 Kinetin 처리가 벼 발아중 NaCl 독성 경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BA and Kinetin on Alleviating NaCl Injury during Rice Germination)

  • 김상국;이상철;원종건;민기군;이승필;최부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82-188
    • /
    • 1997
  • 본 연구는 염해의 독성(NaCl 1.3%) 경감을 위하여 식물생장조절제인 ABA와 kinetin에 벼 종자를 침종처리하여 벼 발아중 NaCl 독성에 대한 생육특성, 발아율, 전분, 당 및 유이 proline 등의 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형인 일품벼의 초장은 NaCl 1.3%에서 1.3cm로 ABA $10^{-3}$M와 ABA $10^{-5}$M 처리를 제외하면 모든 처리에서 초장이 비슷하였으나 ABA $10^{-4}$ M 처리에서 1.80cm로 오히려 kinetin 처리보다 생육이 촉진되는 결과를 보였다. 2. 통일형인 향미벼001의 경우 초장은 NaCl 1.3%가 0.68cm인 것보다 식물생장조 정제와 농도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었으나 kinetin $10^{-3}$M에서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3. 염 독성에 따른 엽록소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식물생장조절제인 kinetin 처리구가 ABA 처리구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고 특히 kinetin 처리 농도에 따른 함량은 4개 품종 모두 kinetin $10^{-3}$M에서 높았다. 4. 전분과 당함량 변화는 일품벼의 경우 전분함량이 무처리가 NaCl 1.3% 처리보다 증가하였고 당함량은 전분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5. 유이 proline 함량은 일품벼의 경우 무처리에서는 생체 g당 2,220$\mu$mole이었으나 NaCl 1.3% 처리에서는 3.648$\mu$mole로 염해처리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ABA $10^{-3}$M 처리에서는 5.941$\mu$mole로 가장 높은 함량의 증가를 보였고 품종간 염해에 대한 유이 proline 함량은 일품벼, 향미벼001, 다산벼 및 고시히까리 순으로 일품벼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6. 위의 결과로 볼 때 품종에 대한 식물생장조절제인 작용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전분증가는 반대로 당함량의 감소를 초래하였으며 유이 proline 함량은 식물생장조절제 처리와는 무관하게 일품벼에서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여 금후 염해에 대한 벼 생체내 반응의 유이 proline 물질대사와 NaCl에 따른 종자내의 삼투조절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보리 유묘기의 수분부족이 몇가지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Physiological Responses of Water Stress at Seedling Stage in Barley)

  • 최원열;권용웅;소창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89-195
    • /
    • 1997
  • 보리 유묘기의 수분스트레스가 생장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품종간 차이를 밝히고자 밀양 1002, 올보리, 두루보리, 백동 및 향맥을 공시하여 수행하였다. 공시종자를 폿트에 파종하여 발아 후 10일이 경과한 다음 단수처리를 10일간 한후 다시 관수하여 40시간 및 88시간에 초장, 건물 중, 엽록소함량 및 유리 proline함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발아 후 10일된 유묘를 P.E.G.로-20bar가 되도록 조정한 용액에 48시간 처리한 후 다시 재 관수하여 48시간 후에 엽록소함량, 잎의 수분포텐셜 및 유리 proline함량을 조사하였다. 1. 초장과 건물중은 10일간의 단수처리에 의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는데 5 품종의 평균으로 보면 초장보다는 건물중의 감소가 심하였고, 백동과 향맥이 밀양 1002, 올보리 및 두루보리보다 감소 정도가 심하였다. 2. 엽록소함량 및 잎의 수분포텐셜은 10일간의 단수처리에 의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재관수 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리 proline 함량은 단수처리 종료시에 함량이 증가하였다가 재 관수 후에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존율은 재 관수후 40시간에는 42%를, 88시간 후에는 14%를 나타내었다. 3. 단수처리에 의한 한해유발처리 종료시의 엽록소와 유리 proline 함량의 변화, 잎의 생존율 및 건물중 감소율을 근거로 한 품종들의 내한성을 보면 공시품종내에서는 겉보리(밀양 1002, 올보리, 두루보리)>쌀보리(백동)>맥주보리(향맥)의 순이었으며, 겉보리 품종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4. P.E.G. 용액 (Ψ$\pi$=-20bar)으로 조정 한 48시간의 한해유발처리의 결과는 엽록소함량, 일의 수분포텐셜 및 유리 proline함량 모두 10일간단수처리 한 결과와 일양성을 나타내었다. 품종간에는 백동과 향맥이 수분스트레스시의 증가 및 관수시의 멸소반응이 모두 둔하여 수분환경적응성이 낮은 경향이었다.

  • PDF

단백질(蛋白質) 분해효소(分解酵素) 첨가시(添加時) 우육(牛肉)의 숙성(熟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1보(報) Papain처리(處理)에 의한 우육(牛肉)의 유리(遊離) Amino Acid변화(變化)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Ripening of Beef at Adding the Proteolytic Enzyme I. Changes of Free Amino Acid in Beef According to the Papain Addition)

  • 윤정의;오석흔;황칠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1-77
    • /
    • 1973
  • 한우(韓牛)의 사태근육에 효소(酵素)를 첨가(添加)해서 유리(遊離) amino acid를 automatic amino acid analyzer 로 분석(分析)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효소(酵素)를 첨가(添加)하지 않은 사태근육에서 유리(遊離) amino acid 의 함량(含量)은 alanine, glutamic acid, lysine, glycine, histidine, leucine, threonine, arginine, cystine, serine, proline, isoleucine, phenylalanine, tyrosine, methionine, aspartic acid, valine 의 순서(順序)로 함유(含有)되었다. 2) 효소(酵素)를 0.01%, 0.05%, 0.1%로 첨가(添加)함에 따라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cystine, val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arginine 의 9개(個) 유리(遊離) amino acid는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3) Proline, histidine 은 control에서 높은 함량(含量)을 보이다가 0.01%의 효소첨가(酵素添加)에서 감소(減少)된후 효소량(酵素量)이 증가(增加)됨에 따라 유리(遊離) amino acid 의 량(量)이 증가(增加)되었다. 4)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methionine, tyrosine, phenylalanine 은 0.05%의 효소첨가(酵素添加)까지 증가(增加)하다가 0.1%에서 현저히 감소(減少)되었다. 5) 육(肉) 조리시(調理時) 효소(酵素)의 첨가량(添加量)은 육중량(肉重量)의 0.05%가 가장 효과적(效果的)이다.

  • PDF

Effects of low temperature and salicylic acid on chilling tolerance in cucumber seedlings

  • Jung, Sang-Duck;Jung, You-Jin;Kim, Tae-Yun;Hong, Jung-Hee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 /
    • pp.468-471
    • /
    • 2002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w temperature and salicylic acid (SA) on chilling tolerance In acclimated and nonacclimated cucumber seedlings. Acclimation significantly affected survival and shoot dry weights. Injuries of acclimated seedlings at the third leaf stage were on the average smaller by half than those of the nonacclimated ones. Chilling caused a large increase in free proline levels, regardless of acclimation status. Exogenous treatment with SA resulted in improvement in growth and survival of acclimated, chilled seedlings, indicating SA and acclimation have common effects. Cycloheximide treatment In the presence of SA restored acclimation-induced chilling tolerance. An elevated proline level was observed in cold-treated and SA- treated plants and the level was more pronounced in the light than in the dark at chilled temperature, indicating that endogenous proline may play a role in chilling tolerance.

  • PDF

Selection of Azetidine-2-carboxylic Acid Resistant Cell Lines by in vitro Mutagenesis in Rice (Oryza sativa L.)

  • Hyun, Do-Yoon;Lee, In-Sok;Kim, Dong-Sub;Lee, Sang-Jae;Seo, Yong-Weon;Lee, Young-Il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권1호
    • /
    • pp.43-49
    • /
    • 2003
  • Resistant cell lines to azetidine-2-carboxylic acid (AZCA) were selected through rice embryo culture after mutagenic treatment of callus irradiated with 30,50,70,90 and 120 Gy. The optimum AZCA concentration for the selection of resistant cell lines was 3 or 4 mM AZCA considering $LD_{50}$ and the fresh weight of callus. Survival rate of the AZCA resistant callus showed remarkable increase in the callus irradiated with 50 and 70 Gy. Regeneration rate of the AZCA resistant callus was much lower on the whole. Ninety and 120 Gy increased the regeneration rate for calli selected from 3 and 4 mM AZCA, respectively. Based on fresh weight, survival rate and regeneration for selection of the AZCA resistant cell line, 50-90 Gy was considered as the optimum range of gamma irradiation. Irradiated calli selected from AZCA were more tolerant to NaCl than those from non-irradiated calli. It suggests that elevated resistance to osmotic stress resulted from mutagenic treatment. The level of free proline content in the AZCA resistant cell line was increased up to 3.5 times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trol. Proline content in the regenerant derived from the AZCA resistant cell line also increased to 1.7 times that from the control plants regenerated from callus grown in AZCA free medium. Selection of proline overproducing cell lines by in vitro mutagenesis was successful and seems to be useful for improvement of stress tolerance in this crop.

NaCl 농도가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의 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CI Concentration on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Italian Ryegrass(Lolium multiflorum L.))

  • 이강수;최선영;최철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40-350
    • /
    • 1995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염해반응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NaCl의 8개 농도에서 14개 품종(2배체:7 4배체:7)의 발아율과 유묘건물중, 엽록소 및 유리 proline함량을 조사하였다. 1. 발아율은 NaCl 300mM 이상에서 크게 감소하였으며 대조구에 대한 50%의 발아감소 NaCl농도는 344mM이었다. 2배체품종은 4배체품종보다 감소 정도가 컸으며 NaCl의 농도가 높을수록 발아율에 대한 품종들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2. 지상부 건물중은 NaCl 166mM에서 대조구에 대한 50%의 감소율을 보여 발아기보다 유묘기에 NaCl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컸는데, 품종들의 발아율과 지상부 건물중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3. 지하부 건물중은 NaCl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 정도가 커서 NaCl 148mM에서 50%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품종들의 지상부 건물중과 지하부 건물중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지상부 건물중과 지하부 건물중은 NaCl의 각 농도에서 2배체가 4배체보다 높았다. 5. Total 엽록소 함량은 NaCl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는다 엽록소 a가 엽록소 b보다 함량이 더욱 증가하였으며, 엽록소 a는 4배체가 2배체보다 높았으나 엽록소 b는 2배체가 4배체보다 높았다. 품종들의 엽록소 a함량과 지상부 건물중과는 NaCl 150mM 이상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6. 유리 proline함량은 NaCl처리에 의하여 현저히 축적되었는데 2배체와 4배체 사이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품종들의 지상부 건물중과도 상관관계가 없었다.

  • PDF

동물(動物) 부위(部位)에 따르는 수용성유리(水溶性遊離) Amino산(酸)의 분포(分布)에 대(對)한 연구(硏究) 제1보(第1報) (면양(緬羊)의 근육(筋肉)에 대(對)해서)

  • 윤형식;송태화;박완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권
    • /
    • pp.29-31
    • /
    • 1965
  • 면양근육(緬羊筋肉)의 부위별(部位別)로 본 수용성(水溶性) 유리(遊離) Amino산(酸)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1. 분포(分布) Amino산(酸)의 종류(種類)는 대체(大體)로 cystine, histidine, arginine, aspartic acid, hydroxy proline, threonine, glutamic acid, alanine, proline, methionine, tryptophan, leucine, isoleucine, glycine, creatine 과 몇 종(種)의 amine 태화합물(態化合物)이 검출(檢出)되었다. 2. 조직별(組織別)로본 각(各) Amino산(酸)의 함량(含量)이 많은 것은 M. longissimus dorsi이고 다음이 M. glutaeus였다. 3. Amino산(酸)의 분포(分布)는 조직(組織)마다 함량(含量)의 차(差)는 있는듯하고, hydroxyproline이 M. masseter, M. pectorlis profundus, M. flexor digitalis pedis profundus 및 M. Quadriceps fomoris에서는 negative이었다.

  • PDF

한국(韓國) 주류성분(酒類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2報)) -Paper Chromatography에 의(依)한 탁주중(濁酒中)의 유리(遊離) Amino 산(酸)의 검색(檢索)- (Studies on the Components Korean Sake (Part 2) -Detection of the Free Amino Acids in Takju by Paper Partition Chromatography-)

  • 김찬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9권
    • /
    • pp.59-64
    • /
    • 1968
  • 1. 국자(?子)를 사용(使用)하여 백미(白米) 및 옥수수를 원료(原料)로 탁주(濁酒)를 담금하고 경시적(經時的)으로 그 발효(醱酵)술덧중(中)의 Amino-N를 Formol 법(法)으로 정량(定量)하고 또한 유리(遊離) Amino 산(酸)을 PPC 법(法)으로 검출(檢出).하였다. 2. 백미정료탁주(白米定料濁酒)술 덧 중(中)에서는 Aspartic acid, Cystine Glutamic acid, Glycine, Serine Alanine, Tyrosine, Histidine, Valine, Tryptophan, Phenylalanine, Proline 및 Leucine 등 14종의 Amino 산(酸)을 검출(檢出)하였다. 3. 옥수수원료탁주(原料濁酒)술덧 중(中)에서는 Aspartic acid, Cystine, Glycine, Derine, Alanine, Lysine, Valine, Aistididine, Proline, Leucine 및 Tryptophan 등(等) 12종(種의) Amino 산(酸)을 검출하였다. 4. 백미(白米) 및 옥수수원료(原料) 탁주중(濁酒中)의 주체 Amino 산(酸)은 Paper Chromatography에 나타난 각(各) Spot의 정색도(呈色度)로 보아 Lysine, Valine, Leucine, Serine, Proline 및 Glycine 등(等)으로 추정(推定)하였다.

  • PDF

계절, 부분, 색의 영향에 의한 양배추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 변화 (Effect of season, tissue position and color on content of amino acids in cabbage (Brassica oleracea))

  • 오일남;최승현;박수형;임용표;안길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1호
    • /
    • pp.79-86
    • /
    • 2011
  •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 in cabbage cultivars originated from China and Korea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quality for taste and nutrition. The experimental variables were season (spring-sowing and fall-sowing), leaf position (inside and outside), and the cabbage color (green and red). Eighteen free amino acids were detected at the range of 0-38 mg/g dry weight.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was serine(0-128 mg/g). Alanine, aspartate, glutamate, asparagine, histidine, and proline were relatively rich at 2-12 mg/g dry weight. Glycin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pring-sowing cabbages by 2-fold but proline was reversely decreased by 7-fold. The inside parts of cabbages contained significantly more alanine, glutamate, glycine, isoleucine, serine, and valine than the outside ones. The higher contents of isolecuine, leucine, proline, and valine were observed in the red cabbages than the green ones. The significant cross effects of season-color and position-color were also observed, indicating the red and the green cabbages were differently affected by season and tissue position.

마늘의 alcohol 침지 중 휘발성 향기성분과 침출유리아미노산 함량 (Elution Profiles of Volatile Compounds and Free Amino Acids during Alcohol Soaking of Garlic(Allum sativum L.))

  • 이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286-292
    • /
    • 2007
  • 마늘주의 산업화에 앞서 기초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마늘을 소주 등의 술에 침지하였을 때 마늘의 휘발성 기능성분과 유리아미노산이 술로 침출되는 정도 및 형태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생마늘을 20% 주정에 5주간 침지하고 매주 휘발성 향기성분과 유리아미노산들이 침출되는 양적 및 형태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마늘의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L-aspartic acid, L-glutamic acid, L-arginine, L-alanine, L- proline, L-asparagine 및 L-serine이었으며, 유리 아미노산들 모두 침지 기간의경과에 따라 침출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L-threonine, L-proline, L-valine 및 L-leucine 등의 중성아미노산들과 방향족아미노산인 tyrosine과 phenylalanine은 3주 후부터 80% 이상 침출된 반면에, 산성, 염기성 및 함황아미노산들은 5주 후에도 80% 미만이었다. 생마늘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diallyl trisulfide, diallyl disulfide, methyl allyl disulfide, 2-vinyl-4H-1,3-dithiin, 3-vinyl-3,4-dihydro-1,2-dithiin, 3,5-diethyl-1,24-trithiolane, isobutyl isothiocyanate 및 diallyl sulfide 등의 황화합물들이 주요 성분들이었다. 생마늘로부터 주정으로 침출된 휘발성 향기성분은 allyl alcohol, diallyl disulfide, 3,5-diethyl-1,2,4-trithiolane, diallyl trisulfide, 3,4-dimethoxyfuran의 5종이었으며, 침지기간의 경과에 따라 3,5-diethyl-1,2,4-trithiolane는 계속 침출량이 증가하였지만 그 외 4종은 감소하였다. 침 지기간 중 furfural, 5-methylfurfural, 5-hydroxymethylfurfural, dimethyl pyrazine, furfuryl alcohol, 3-hydroxy-2-bytanone과 2,3-dihydro-3,5-dihydroxy-6-methyl-4H-pyran-4-one이 새로이 생성되었으며, 침지기간의 경과에 따라 침출주에 대부분 축적되는 양상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