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mula-fed infants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3초

대두 영유아식이 생후 3세까지 신체 계측치 및 혈액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y-based formula on infants' growth and blood laboratory values spanning 3 years after birth)

  • 윤지은;김미정;한헌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호
    • /
    • pp.28-35
    • /
    • 2009
  • 목 적 : 액상 대두기반 영아식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영양학적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액상 대두영아식을 섭취하는 경우 영유아의 성장 및 발달을 모유 및 우유기반 영유아식을 먹이는 경우와 비교하였다. 방 법 : 2001년 6월부터 203년 8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에서 만기 정상분만으로 출생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모유군(n=20)과 대두 영유아식(n=19) 및 우유 영유아식군(n=12)으로 나누어, 생후 첫 3개월간은 모유 및 인공 영유아식을 각 군에 해당하는 식이를 먹이고 생후 4개월부터는 이유식을 자유롭게 하도록 했다. 신체계측으로는 출생 시, 1, 2, 4, 5, 12개월, 그리고 36개월에 신장, 체중, 두위, 삼두박근 피부두께, 그리고 상완둘레를 측정하였다. 일반혈액 및 혈청의 화학검사는 생후 5, 12 그리고 36개월에 시행하였다. 결 과 : 생후 5개월까지는 대두 영유아식군의 체중이 가장 낮았으나 신장은 차이가 없었고, 이후 체중과 신장은 36개월까지 모든 영유아식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중 헤모글로빈은 5개월과 12개월에 모유군이 가장 낮았다(P<0.05). 혈청화학 검사에서는 대두 영유아식군에서 생후 5개월에 BUN은 가장 높았고, cholesterol, 인, 포타슘은 가장 낮았으나, 그 이후는 모든 화학검사 수치의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대두기반 영유아식을 준 경우에 생후 3년간 우유 영유아식군이나 모유군에 비하여 신체의 성장에는 차이가 없었다. 대두기반 영유아식이 우유기반 영유아식이나 모유에 비하여 무기질 함량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생후 5개월에 혈청 인 및 포타슘이 낮아 무기물의 흡수율을 높이는 방법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Vitamin D deficiency in infants aged 1 to 6 months

  • Choi, You Jin;Kim, Moon Kyu;Jeong, Su Ji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5호
    • /
    • pp.205-210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the state of vitamin D among healthy infants aged 1 to 6 months in South Korea, and also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vitamin D. Methods: A total of 117 infa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for 12 months, from March 1, 2011 to February 29, 2012. Serum levels of 25-hydroxyvitamin D (25[OH]D), calcium, phosphorus, and alkaline phosphatase were measured and data including birth weight, body weight, sex, feeding pattern, delivery mode, siblings and maternal age and occupation were collected. Data was mainly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model. Results: We determined that the prevalence of vitamin D deficiency (serum 25[OH]D<20 ng/mL [50 mmol/L]) was 48.7% in the population investigated. Particularly in breastfed infants, the prevalence of vitamin D deficiency was strikingly high (90.4%). The mean serum level of 25(OH)D in breastfed infants was lower than that of formula fed infants (9.35 ng/mL vs. 28.79 ng/mL). Also female infants showed lower mean serum level of 25(OH)D than male. Mean serum values of calcium and phosphoru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vitamin D state (P<0.001). Conclusion: Vitamin D deficiency was found to be very common in infants aged 1 to 6 months in South Korea, and breast feeding was the most critical risk factor of vitamin D deficiency. Therefore we suggest to start vitamin D supplementation in South Korea, as soon as possible, to all infants, including breastfed and female infants.

모유 올리고당과 분유첨가 Prebiotic 올리고당의 관한 고찰 (Human Milk Oligosaccharides and Prebiotic Oligosaccharides in Infant Formula)

  • 정장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6
    • /
    • 2010
  • Human milk is frequently the only food source for a newborn during the initial stage of life after birth. Milk provides not only the nutrients necessary for the infant's growth, but also ingredients that may enable the infant to thrive. Human milk oligosaccharides (HMO) are considered to be these beneficial ingredients for the health of infant. It has been reported that around 5 to 10 g unbound oligosaccharides and around 20 to over 130 different HMO are present in 1L of human milk. The suggested health mechanisms of HMO's roles in host defense are 1) blocking bacterial adhesions, 2) binding to a toxin receptor on the extracellular domain, and 3) postbiotic effect resulting from the increase of probiotics such as Bifidobacteria and Lactobacilli. Among the prebiotic oligosaccharides, mixtures of long chain fuetooligosaccharides (10%) and galactooligosaccharides (90%) in infant formula are demonstra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Bifidobacteria and Lactobacilli to the levels seen in human milk fed infants.

알레르기성 직결장염의 임상상과 내시경 및 조직소견 (A study on the clinical courses, sigmoidoscopic and histologic findings of allergic proctocolitis)

  • 이주희;김성신;박재옥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3호
    • /
    • pp.276-285
    • /
    • 2008
  • 목 적 : 알레르기성 직결장염은 영아 초기에 발생하는 혈변의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발병기전, 경과와 예후가 최근 밝혀지고 있으나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이 질환의 자연경과, 내시경 및 조직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말초혈액의 호산구 수, 내시경소견의 중증도, 장점막의 호산구 침윤 정도와 발병시기와의 연관성을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3년 4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에 내원하여 임상적으로 알레르기 직결장염으로 진단되어 직결장 내시경술을 시행하여 조직검사를 시행할 수 있었던 25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 정보를 통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들의 발병 연령은 평균 $15.2{\pm}13.2$주(3-45주)였으며 환아들의 식이는 모유 수유아가 14명(56.0%), 분유 수유아가 1명(4.0%), 혼합 수유아가 6명(24.0%), 모유와 이유식이 1명(4.0%), 분유와 이유식 3명(12.0%)이었다. 수유모 식이에서 원인으로 추정되는 식품으로는 콩류 9례, 우유 및 유제품 6례, 계란 5례, 견과류 3례가 있었다. 직결장 내시경 검사에서 정상 소견이 2례(8.0%), 발적과 부종이 5례(20.0%), 림프절의 증식에 의한 점막의 결절성 비후가 2례(8.0%), 미란이 3례(12.0%), 출혈과 궤양이 1례(4.0%), 점막의 결절성 비후와 미란이 동반되거나 출혈이나 궤양이 동반된 경우가 12례(48.0%)가 관찰되었다. 생검 조직의 전례에서 대장 점막에 호산구 침윤이 관찰되었으며 60/10 high power field 이상 관찰된 경우가 24례(96.0%) 있었고, 점막 및 음와 상피에 호산구의 침윤을 보인 경우는 24례(96.0%), 림프구의 밀집은 20례(80.0%), 점막 근육층 내에 호산구의 침윤을 보인 경우는 2례(8.0%)가 관찰되었다. 말초혈액의 호산구 수는 발병 연령이 어릴수록 증가되어 있었으나 내시경 소견의 중증 정도나 조직에 침윤된 호산구 수와는 무관하였고, 내시경 소견의 증증 정도는 조직에 침윤된 호산구 수나 증상의 발생시기와는 무관하였으며 장점막에 침윤된 호산구 수는 발병시기와 무관하였다. 치료로는 우유, 계란, 콩, 견과류를 수유모의 식단에서 제한한 12명의 모유 수유아 중 10명(83.0%)에서 증상이 호전되었으며 2명의 모유 수유아는 식이 제한 없이 자연 호전되었다. 분유 수유아는 단백 가수 분해 분유로 바꾸고 증상이 호전되었고, 이유식을 하던 4명은 이유식 식이를 제한한 후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결 론 : 알레르기성 직결장염은 영아기 혈변의 높은 빈도를 보이므로 건강해 보이는 영아에서 소량의 혈변만을 보일 때 우선적으로 감별해야 하고 확진에는 직결장 내시경과 조직 검사가 필요하며 특히 조직학적 검사가 효과적이다. 말초 혈액의 호산구 수는 발병 연령이 어릴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식이제한으로 증상이 사라지나 경과가 양호하므로 무리한 식이제한은 대체로 필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모유강화제(HMF)가 흰쥐의 성장과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uman Milk Fortifier on Growth and Nutritional Status of Growing Rats Fed Infant Formula)

  • 이미린;박미나;조수정;전정욱;최유영;박정식;김완식;이연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0-7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갓 이유한 3주령의 어린 흰쥐에게 일반조제유, 미숙아용조제유, 모유강화제(HMF)를 보충한 조제유를 급여하여, 분유의 종류에 따라 성장과 영양상태 및 생리기능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일반조제유에 HMF를 첨가하여 급여한 경우와 미숙아용조제유를 급여한 경우가 일반조제유 섭취와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식이는 매일유업주식회사 제품인 일반조제유(프리미엄명작-1; 분말), 미숙아용조제유(베이비웰 프리미; 분말), 모유강화제(베이비웰 에이치엠에프(HMF); 액상)를 사용하였다. 일반조제유군에게는 프리미엄 명작-1에 증류수 13%를, 미숙아용조제유에게는 베이비웰프리미에 증류수 14%를, 그리고 조제유+HMF군에게는 프리미엄명작-1에 HMF를 14% 첨가하여 반고형식으로 실험식이를 만들어 3주 동안 급여하였다.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은 미숙아용조제유군과 HMF보충군이 일반조제유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간, 신장, 비장의 체중에 대한 장기 중량 비는 군간 차이가 없었으나, 신장 주변지방과 부고환지방은 미숙아용조제유군과 HMF보충군이 일반조제유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혈청의 총 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은 실험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반면 혈청의 중성지방은 미숙아용조제유군이 식이 중 지방함량의 영향을 받아 다른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간 조직의 총 지질은 식이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혈청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은 미숙아용조제유군과 HMF보충군이 일반조제유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분 중 총 지질과 중성지방 배설량은 미숙아용조제유군이 나머지 두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분 중 총 콜레스테롤 배설량은 미숙아용조제유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일반조제유군이 HMF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혈청 생화학 지표에서는 albumin과 total protein이 미숙아용조제유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GOT는 군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GPT는 HMF보충군에서 증가하였다. BUN은 일반조제유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혈중 칼슘 농도는 미숙아용조제유군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혈액의 헤모글로빈 농도는 미숙아용조제유군과 HMF보충군이 일반조제유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혈청의 성장호르몬 농도는 미숙아용 조제유군이 일반조제유군과 HMF보충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미숙아의 일반적인 특성과 수유방법에 관한 조사 (A Survey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eeding Methods of the Premature Infants)

  • 이승림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4권4호
    • /
    • pp.361-37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medical nutrition therapy of premature infan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presence of metabolic disorders, hematological profile and feeding methods were compared between the premature infant group (<37 weeks, n=61) and the full-term infant group (37$\sim$42 weeks, n=165). Birth weight (p<0.0001), birth length (p<0.005), head circumference (p<0.0001), chest circumference (p<0.0001), and Apgar scores (p<0.0001) of the neonates were all statistically lower in the premature infant group. Jaundice cases (p<0.0001) were statistically higher in the premature infant group. White blood cell counts (WBC: p<0.005), mean corpuscular volume (MCV: p<0001),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 p<0.005),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MCHC: p<0.005), and mean platelet volume (MPV: p<0.05) were statistically lower in the premature infant group. The premature infant group were fed a higher rate of premature formula than breast milk and the full-term infant group were fed a high rate of human milk at a higher rate, showing differences in kinds of feeding methods (p<0.0001) between the two groups. An infant's birth weight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fant's birth length (p<0.0001), head circumference (p<0.0001), chest circumference (p<0.0001), and Apgar scores(p<0.0001). The birth length also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head circumference (p<0.05) and chest circumference (p<0.05). Head circumferenc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hest circumference (p<0.0001) and Apgar scores (p<0.0001). Chest circumferenc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Apgar scores (p<0.0001). In addition, the Apgar Score at of 1 minute after birth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pgar score at of 5 minute after birth (p<0.0001).

  • PDF

Anemia and Iron Deficiency according to Feeding Practices in Infants Aged 6 to 24 Months

  • 김순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1호
    • /
    • pp.96-101
    • /
    • 1998
  • The prevalence of iron deficiency in later infancy and the toddler years(25% to 40% at 1 year of age) has not decreased remarkably , except in Western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1)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ent feeding practices and iron status, and 2) assess compliance to infant feeding instructions. Two groupsof infants were examined. The first group of 302 infants aged 6 to 24months was seen at a well baby clinic while the second group of 135 infants of the same age group was assessed by venipuncture. Cutoff values for laboratory tests were as follows ; hemoglobin<11g/dL, mean corpuscular volume (MCV) <72fl ; red cell distribution width(RDW)>15% ; serum ferritin level<10ng/ml ; and transferrin saturation (serum iron(TIBC)<10%. The diagnosis of iron deficiency anemia (IDA) was made when a low hemoglobin level was associated with either low ferritin orlow transferrin saturation . Of the 302 children brought to the well baby clinic , 12.3%(n=37) were found to have anemia (hemoglobin<11.0/dL). In terms of children grouped according to feeding practices, it was found that children with anemial comprised 32.0% (24/75) of the prolonged breast-fed group (Group A), significantly more than the 4.0%(7/176) of the artificial milk feeding group(Group B). and 3.9%(2/51) of the switched from breast milk to iron -fortified weaning foods group(Group C).Among the 107 children with IDA , iron deficiency in 105 children(98.1%) was suggested by their dietary histories ; exclusive or prolonged breast-feeding for more than 6 months without iron fortification in 98 infants ; cow's milk consumption> 500ml/day without iron fortification during infancy(n=12), or >800ml without iron-fortified foods after infancy(n=15) ; and the use of unfortified forumula or unbalanced diets, mainly limited to rice gruel. Despite the relatively high (79.6%) motivation on the part of the infants mothers and supervison by professional personnel, the poor results in the infants receiving iron fortified foods were due to poor compliance(85.75). Among the mothers of 98 IDA patients who were contacted by telephone , it was revealed that 29% did not give the oral iron preparation for more than 2 months. Furthermore, negligence or disregard by the parents occurred in 14% of the case , discontinuance of the oral iron preparation by the parents due to side effects occurred in 6%, and the children's refusal or poor oral intake and no further trial occurred in 6%. The dietary history of a large group of infants was highly predictive of their risk for anemia . Continued consumption of breast milk until the age of 1 year is not warranted unless iron-fortified foods are given concomitantly. Because there is a problem with compliance, more successful and safe strategies for preventing iron deficiency woold included dual coverage in the from of therapeutic iron supplementation as well use of iron-fortified foods for teddlers who are at risk of iron deficiency.

  • PDF

생우유 과량섭취와 관련된 영유아의 혈청 무기질과 미량원소 함량 및 지질조성 (Serum Concentration of Major Minerals, Trace Elements, Lipid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Related to Whole Cow's Milk Feeding in Infancy & Young Childhood)

  • 안홍석;배현숙;박성혜;정은정;오경환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477-485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large amounts of whole cow's milk intake on serum levels of minerals and lipids. Subjects were normal infants who were brought to the pediatric hospital for vaccination at the age of 7-26 months after birth, living in Eumsung-Choongbuk area. The serum concentrations of the imnerals(calcium, phosphorus, magnesium, iron, zinc and copper), lipid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were analyzed in 38 infants which consumed large amount of whole cow's milk(over 700ml/day).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mean levels of calcium, phosphorus and magnesium in the serum of the total subjects were 7.56$\pm$0.51mg/dl, 11.12$\pm$0.72mg/dl and 1.62$\pm$0.13mg/dl respectively. The serum concentrations of iron, zinc and copper in total subjects averaged 72.42$\pm$1.62$\mu\textrm{g}$/dl, 76.29$\pm$3. 62$\mu\textrm{g}$/dl and 86.44$\pm$2.98$\mu\textrm{g}$/dl respectively. 2) The mean serum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 and LDL in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ere 96.84$\pm$9.22mg/dl, 133.45$\pm$6.30mg/dl, 32.79$\pm$1.77mg/dl and 81.29$\pm$4.81mg/dl respectively. 3) The average percentages of SFA, MUFA and PUFA inth total serum fatty acids were 38.98$\pm$2.42$\%$, 25.82$\pm$0.98$\%$ and 37.30$\pm$1.09$\%$ respectively and the mean$w6/w3$fatty acids ratio was 13.48. In general, the levels of serum minerals and $\omega$3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ho were whole cow's milk fed infants were lower than those reported in breast milk or formula fed infants. Therefore, the intake of large amount of whole cow's milk in the weani ng period should be controlled and adequate for the infant's nutritional status. (Korean J Community 2(4) : 477-485, 1997)

  • PDF

식이 단백 유발 직결장염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Features of Dietary Protein Induced Proctocolitis)

  • 임선주;김성헌;배상남;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8권2호
    • /
    • pp.157-163
    • /
    • 2005
  • 목 적: 식이 단백 유발 직결장염(DPIPC)은 영아 초기에 발생하여 양호한 경과를 취하는 질환으로 모유나 우유 내 성분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DPIPC의 임상적 특징과 자연 경과 및 식이 조절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5월부터 2004년 6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 혈변을 주소로 검사를 받은 영아 중 DPIPC로 진단된 13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남아가 7명(53.8%), 여아가 6명(46.2%)이었고, 혈변이 발생한 시기는 평균 $96.8{\pm}58.8$일이었다. 혈변의 빈도는 평균 $2.6{\pm}2.5$회/일이었고, 혈변의 발현 후 진단까지의 평균 기간은 $35.5{\pm}55.0$일이었다. 환자의 식이는 모유 수유가 9명(69.2%), 인공 영양이 2명(15.4%), 혼합 영양이 2명(15.4%)이었다. 알레르기의 가족력은 1명에서 있었고, 환자에서 다른 알레르기 질환의 동반은 없었다. 어머니의 식이 습관으로 소량의 우유 복용이나 견과류 또는 어패류의 섭취가 각각 3명에서 있었다.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수가 $10,555{\pm}3,145/mm^3$, 호산구 비율이 $6.3{\pm}3.0%$, 절대 호산구수가 $659.0{\pm}532.2/mm^3$였다. 13명 중 6명에서 대장 내시경 검사를 시행되었고, 전 예에서 직장과 S상 결장의 점막에 국소적인 발적과 소결절형성이 관찰되었다. 이 중 5명에서 대장 조직 검사를 시행했으며, 만성 염증과 음와 농양이 동반된 경우가 3명이었고, 전 예에서 결절성 림프양 증식이 있었다. 광학 현미경으로 400배의 고배율 시야에서 관찰하였을 때, 대장 점막의 호산구의 수는 4예에서 10개 이하였고 1예에서 10~20개였다. 13명 모두 식이의 변화나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 혈변은 $58.7{\pm}67.0$일 후에 자연 소실되었다. 결 론: 건강한 어린 영아에서 실 모양 또는 고춧가루를 흩어놓은 듯한 혈변이 있을 때는 DPIPC를 의심해야 하고, 환자나 환자의 어머니에서 식이 변화가 없이도 혈변은 대부분 1세 이전에 소실되며 혈변 이외에 다른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DPIPC 환자나 어머니에게 일률적으로 식이 제한을 하는 것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 PDF

Feeding characteristics in infancy affect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dietary variety in early childhood

  • Kyoung-Nam Kim;Moon-Kyung Sh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2호
    • /
    • pp.307-315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an association between breastfeeding and higher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the level of dietary variety in children. However, few studies have reported this association on the feeding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of the feeding characteristics with the consumption of fruit and vegetable and dietary variety in children. SUBJECTS/METHODS: This study recruited 802 participants from their parents with information on their feeding, and 24-h dietary recall. The associations of the feeding characteristics with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dietary variety score (DVS) were analyzed using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RESULTS: Compared to the feeding type of exclusive breastfed children, exclusive formula-fed children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a lower DVS (odds ratio [OR], 0.42, 95% confidence interval [CI], 0.23-0.77).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was classified into 6 groups: non-salted vegetables (NSV), salted vegetables (SV), fruit (F), total vegetables (TV), non-salted vegetables + fruit (NSVF), and total vegetables + fruit (TVF). According to the mean level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compared to the duration of total breastfeeding for 6 month or less, a greater duration of breastfeeding for 12 mon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a higher intake of NSVF and TVF (OR, 1.85, 95% CI, 1.20-2.85 and OR, 1.89, 95% CI, 1.22-2.92). On the other hand, the early introduction of formula feeding for 4 mon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a lower intake of F and NSVF (OR, 0.59, 95% CI, 0.38-0.91 and OR, 0.63, 95% CI, 0.40-0.99). CONCLUSIONS: These results confirm that breastfeeding is associated with higher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dietary variety, whereas formula feeding is associated with lower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dietary variety. Therefore, the feeding characteristics in infants may affect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dietary variety in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