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ming community group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6초

빈곤 한부모여성 자조집단의 변화에 관한 참여실행연구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n Changing of Poor Single Mother Self-help Group)

  • 김은정;김현진;오보람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1호
    • /
    • pp.5-37
    • /
    • 2010
  • 본 연구는 장기간의 활동을 통해 다양한 변화 과정을 경험해온 빈곤 한부모여성 자조집단을 대상으로, 정체기 이후 자조집단 참여자들이 변화를 주도하게 된 동기와 과정 및 전략을 살펴보고 그 변화가 참여자들과 소속집단, 기관에 주는 시사점을 분석함으로써 자조집단이 지향해야 할 실천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참여자와 실천가가 협력적으로 대안을 모색하는 참여실행 연구방법(PAR)을 적용하여, 문제도출, 지역조사 및 계획, 실행, 평가 및 검토의 4단계에 걸친 연구과정을 통해 변화의 과정과 내용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조집단 참여자들의 변화 동기는 주체적으로 활동방향을 결정해야 한다는 문제인식에서 비롯되었으며, 그 결과 자신들의 역량을 고려한 활동모색을 변화의 필요성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변화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변화의 범위와 내용을 주도적으로 결정했으며, 그 결과 정서적 지지를 넘어서 '목적성 있는 활동'을 지향하고자 하였다. 셋째, 변화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으로 '의미있는 활동'이 제시되었으며 이는 지역자원봉사활동과 한부모 참여자 강사활동으로 계획·실행되었다. 결론적으로 자조집단이 지향해야 할 변화는, 참여자들의 주체적 인식의 변화를 기반으로 실천가 중심에서 참여자 중심의 실천으로 실천주체가 변화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을 조성하는 사회적 조건에 대한 통제력을 갖도록 사회적 차원의 임파워먼트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자조집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공동체적 접근으로의 변화를 고려해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사회복지실천에 주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도시 소공원의 창조적 재생과 일상 - 부산 전포돌산공원을 중심으로 - (The Creative Regeneration and Daily Life on Urban Park - The Case of JeonpoDolsan Park in Busan -)

  • 공윤경;양흥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582-59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전포돌산공원을 대상으로, 공동체를 위한 공공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도시 저소득층 거주지역의 공원 재생과정에서 나타나는 주민들의 갈등과 참여 그리고 공원에서 행해지는 주민들의 다양한 활동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새롭게 재생된 도시 소공원이 주민들의 일상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들에게 공원의 역할과 의미는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돌산공원은 일반적인 도시 소공원의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불량경관의 개선, 토론 집회를 위한 장소 제공, 문화 및 참여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개방적인 마을분위기 형성, 공동체를 위한 공공공간 조성, 단절된 이웃마을과의 소통과 통합 등 저소득층 거주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원의 창조적 재생은 저소득층 거주지역에 대한 관의 일방적 재개발정책이 아니라 마을 주민들의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소속감과 장소 애착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고 공공(도덕)의식을 확산하며 희망공간으로의 인식 전환을 이루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PDF

정원내 가시연꽃(Euryale ferox Salisbury)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 식물상과 식생을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Euryale ferox Salisbury for Introduction in Garden Pond - Focusing on the Flora and Vegetation -)

  • 이석우;노재현;오현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3-96
    • /
    • 2016
  • 본 연구는 가시연꽃(Euryale ferox Salisbury)을 구성종으로 하는 연못의 식재기반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 획득을 목적으로, 전라북도 내의 가시연꽃 자생지 14곳에 대한 문헌 및 현장조사를 통해 자생지 식물상과 식생환경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시연꽃 생육지 14곳의 전체 식물상은 79과 211속 298종 2아종 30변종 6품종으로 총 33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정수성 수생식물은 17분류군, 부엽성은 가시연꽃을 포함하여 7분류군, 부유성은 5분류군 그리고 침수성 수생식물은 2분류군으로 분류되었다. 수생식물만을 대상으로 한 유사도분석 결과, 가장 유사도가 높은 정읍 한성지와 고창 석남저수지에서는 가시연꽃 이외에 부엽성식물로 연꽃과 마름이 동일하게 서식하고 있다. 따라서 가시연꽃을 주소재로 한 연못 조성시 연과 마름은 동반식물로서 생태적 지위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2. 생육형별 수생식물의 출현빈도를 살펴보면, 가시연꽃 이외에 정수성식물인 뚜껑덩굴과 갈대가 각각 11회 출현하여 78.6%의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부엽성 수생식물인 마름이 10회(71.4%), 줄이 8회(57.1%) 출현하였다. 이밖에 고마리, 겨풀, 마름, 개구리자리, 물피, 매자기, 연꽃, 어리연꽃의 순으로 출현율이 높았다. 3.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조사대상 가시연꽃 생육지에서 발견된 희귀식물은 가시연꽃과 함께 취약종(VU)인 통발, 이외에 약관심종(LC)인 새박, 자라풀, 물질경이 등 3분류군으로 도합 5분류군이 확인되어 가시연꽃 활용 연못시 도입이 가능한 희귀식물로 분류되었다. 4. 가시연꽃 자생지의 군락유형은 대부분 가시연꽃군락이었으며 군산의 대위저수지는 마름+가시연꽃+어리연꽃군락으로 정의하였다. 자생지별 가시연꽃의 녹피율은 0.03에서 36.50으로 상당히 큰 편차를 보였으며 평균 녹피율은 9.8로 계상됨에 따라 연못 조성시 가시연꽃의 녹피율을 10% 이하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판단된다. 5. 조사대상지별 가시연꽃 자생지와 인접한 식생군락으로는 나도겨풀군락 3개소, 마름군락과 줄군락이 각각 2개소, 연꽃군락, 어리연꽃+부들군락, 마름+연꽃군락, 자라풀군락, 나도겨풀+털물참새피군락 1개소 그리고 가시연꽃+마름군락 1개소 등으로 각 저수지마다 입지조건 등에 따라 다소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가시연꽃을 주요 구성종으로 하는 연못의 식재설계시 동반 부엽식물의 선정 및 식피율 배분에 반영해야 할 지침으로 제안한다.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발적 소모임 참여 경험의 의미 탐색 (The Meaning of Experiences for mothers with young children by Participating in voluntary Small Groups)

  • 정계숙;박지영;류수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91-113
    • /
    • 2016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in the experiences of voluntary participation in small groups by mothers of young children. As a result of the interviews conducted by targeting five mothers, the total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nd six sub-factors. First, mother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small groups. Free from the role of mother and wife, they focused on their real selves, and had experiences of emotional support by forming close relationships with people. Second, mothers did not just participate in small groups as a hobby, but tried to be role models that help the growth of their children. They also tried to be the catalyst that helps create positive changes in their children and husbands. Third, mothers had social experiences, participated in economic activities as members of society or exerted their capabilities through active exchange with other people. Finally, this research hopes to provide the community with parent education-related implications that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mothers themselves, their families and society.

공동주택 거주자의 공유공간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 Recognition of Common Space in Apartment)

  • 한민승;황희준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4호
    • /
    • pp.45-52
    • /
    • 2019
  • The most ordinary form of residential type in Korea is a plate-type apartment, and the common space in these apartment is attracting as an important factor for enhancing social exchanges among neighbors and forming community consciousness. In addition, it provides a sense of psychological security by enabling natural exchanges and communication in contemporary society. It is desirable to plan the flow of space in such a way that private, semi-private, semi-public, and public spaces are linked. Semi-private and semi-public spaces can be defined as common spaces. Semi-private spaces are strongly recognized in the order of unit household entrance, main entrance, elevator, corridor, staircase, playground, bench, trail, walkway and parking lot, exercise space, main/back gate, the ability to gratify is increased sense of belonging, ownership consciousness formation, defensive function. Semi-public space is strongly recognized in the order of playground, bench, exercise space, trail, main entrance, walkway and parking lot, unit household entrance, main/back gate, corridor, staircase, elevator, the ability to gratify is increase of social contact, Secondary activity space function. In addition, the function to gratify in the common space differ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group among resident characteristics, and differs according to corridor type, parking lot type and main entrance type. Therefore, differentiated planning of common space is needed in consideration of these differences in the design of common space in future.

내연산 망개나무 임분의 군집구조와 생태적 특성 (Community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Stands at Mt. Naeyon)

  • 홍용식;윤이슬;진동필;김찬범;김학구;이진우;강신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4호
    • /
    • pp.538-547
    • /
    • 2022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내연산 소재 희귀식물인 망개나무림을 대상으로 개체군과 군집 구조를 정량화하고, 다변량통계기법을 활용하여 군집유형과 입지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망개나무 자생지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망개나무는 총 164개체가 출현하였으며, 평균흉고직경 24.5 cm의 정규분포형의 분포를 보였지만 하층식생인 수고 3 m 이하에 거의 출현하지 않았으며, 맹아발생 개체비율은 37.1%이었다. 망개나무 임분은 망개나무졸참나무군집(그룹 I)과 망개나무-서어나무군집(그룹 II)의 2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수관틈과 토양의 화학적 특성인 유기물함량(OM), 치환성 Ca 그리고 양이온치환능(CEC)이 임분들의 분포패턴에 영향을 주는 주요 입지조건이었다. 현재 내연산의 망개나무 임분들은 망개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나 분포지의 입지조건에 따라 음수인 서어나무 또는 까치박달로의 미소천이가 일어나고 있었다.

경종-축산 순환 유기농업의 가치 증진을 위한 농가 간 협동조직화 모델 연구 - 경종-축산 순환 양돈 농가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Cooperative Organization Model among Family Farms for the Value Enhancement of Crop-Livestock Cycling Organic Agriculture - Case of Crop-Livestock Cycling Organic Pig Farm -)

  • 최덕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67-386
    • /
    • 2020
  •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quality value of organic livestock pork for the first time based on the results of managing and testing the cycling organic farming of black pork and vegetables within farm for two years. The results of analysi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rk of experimental group with crop-livestock cycling farming showed the excellent quality and high consumer pre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f general pork or pork from non-crop-livestock cycling organic farming. In the content ratio of Omega-3 as a representative essential fatty acid, it was 1.46 that was about 2.8 times more than general pork (0.52). In case of Omega-6, it had about 2.5 times more than general pork. Especially, the U/S ratio value which was the content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 (UFA, U) of Saturated Fatty Acid (SFA, S), was largely shown in pork (2.93) from cycling organic farming. Second, it would be necessary to maintain the economies of scope shown in crop-livestock cycling organic farming, and the high quality value of livestock products. For this, there should be a value chain model that could realize the economies of scope and economies of scale at the same time based on scaling and diversification through cooperative organization between farmers. Through this, it would be possible to establish a cycling model called 'community cooperative agriculture' by forming local internal markets through cooperation of production-processing and integration of distribution-sale-consumption. For the managerial activation of this cooperative organization, the government should promote/support the small crop-livestock cycling organic farming cooperative organization in local unit. For securing the reliability of crop-livestock cycling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nd crop-livestock cycling organic livestock products, it would be necessary to review the introduction of Participatory Guarantee System (PGS).

파이썬과 팀 공유정신모형을 활용한 SW교육 방법의 설계 (Design of Teaching Method for SW Education Based On Python and Team-Shared Mental Model)

  • 이학경;박판우;유인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10
    • /
    • 2020
  • 4차 산업 혁명에 따라 전 세계에서는 이에 맞는 새로운 인재를 양성하고자 SW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세계적 흐름에 맞추어 우리나라에서도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SW 교육을 필수화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 초등 SW교육은 블록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의 활용에 편중되어 있다. 또한 목표 설정 및 내용 구성에 있어 정의적 영역의 신장은 소홀하고 지식, 기능적 영역의 신장에만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 중에서 최근 각광받고 있는 파이썬과 정의적 영역인 '공동체 역량'의 신장을 고려하여 팀 공유정신모형 개념을 활용한 SW교육 방법을 탐구하였다. 팀 공유정신모형 형성 정도가 유사한 두 집단에 t-검정을 수행해 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SW학습방법을 적용한 집단 내 학습자들의 팀 공유정신모형 형성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북 동진강 하구역 일대의 염습지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Salt Marshes of Dongjin-river Estuary in Jeonbuk)

  • 김창환;이경보;김재덕;조태동;김문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9호
    • /
    • pp.817-82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about salt marsh flora and vegetation in the Dongjin-river estuary area where has a project for Sea Man Geum Reclaimed Land so that we can foster foundation on restoration of an ecological habitat, development of applicable plant and establishment of a conservation policy after deceloping the reclaimed land for salt marsh vegetation which has great value ecologically. In conclusion, we was distributed that there are 7 families 21 genera, 25 species, 2 varieties of vascular plant at the Dongjin-river estuary area which have 27 taxa in total and are $0.64\%$ among 4,191 of korean vascular plant. There are also 2 family, 2 genus, 2 species of a naturalized plant which are $1.1\%$ of indicator of a naturalized plant salt marsh vegetation of the downstream are very much affected by the time of inundation, tidal water so that a low degree of salt marsh has frequent flooding by sea water and has a pure group of Suaeda japonica. A Phragmites communis, Carex scabrifolia are distributed mainly around a waterway of salt marsh and Zoysia sinica, Atriplex subcordata, Phragmites communis are living in stock as forming into patch around medium salt marsh. Suaeda asparagoides, Phacelurus latifolius are living around a little high ground and a Phragmites communis is a behind vegetation of Phacelurus latifolius and a part of the Phragmites communis are living along with waterway in a salt marsh as a community. By the 2-M method twelve plant communities were recognized ; Suaeda japonica. Carex scabrifolia, Zoysia sinica, Artemisia scoparia, Phacelurus latifolius, Phragmites communis, Suaeda maritima, Suaeda japonica-Atriplex gmelini, Phragmites communis-Suaeda japonica, Suaeda japonica-Salicornia herbacea, Salicornia herbacea-Suaeda aspar-agoides and Scirpus planiculmis community.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constructed on the grounds of the communities classified and other data.

방산수출 지원정책에 관한 정책네트워크 연구: T-50 인도네시아 수출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Policy Network in the Defense Industry Exportation Support Policy: Focusing on the Success of the T-50 Exportation to Indonesia)

  • 전종호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1호
    • /
    • pp.113-142
    • /
    • 2016
  • T-50 인도네시아 수출은 정부의 정책목표를 구현하고 국내 방산업체들의 해외수출활동을 촉진시키는 촉매제가 되었다. 방산수출은 국가의 위상을 높이고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신성장 동력으로서 인정받게 되었으며 정부의 주요 정책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본고는 T-50 인도네시아 수출 성공의 동인(動因)을 정책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효과적인 방산수출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책네트워크 이론(Policy Network Theory)은 방산수출 지원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과정에서 각 정책행위자들의 속성과 그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 어떤 산출물을 가져왔는지를 분석하는 데에 유용성과 적실성을 갖았다. T-50 인도네시아 수출에 관한 정책네트워크는 정책공동체(policy community) 유형으로서 다수의 정부부처와 이익집단인 방산업체, 그리고 연구기관의 전문가들이 공동의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상호 공감대를 형성하여 범정부조직인 방산물자교역지원센터(KODITS)를 창설하고 이를 중심으로 행위자들이 공식 비공식 접촉을 지속하면서 수출 성공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였다. 일부 주요 정책행위자 사이에 대립과 갈등이 존재했으나, 다수의 행위자가 강한 협력의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T-50 인도네시아 수출을 위한 정책결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고, 그것은 T-50 수출 성공의 중요한 동인이 되었다. 시사점으로 협력적 상호작용에 의한 정책공동체 유형이 방산수출 지원정책의 목표 달성에 유용함을 고려, 미국에 대한 훈련기(T-X) 수출 등 대형 방산수출프로젝트 추진시 범정부차원의 한시적 테스크포스(TF)를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TF에 참여한 기관들이 상호 협력의 관계를 강화할 수 있도록 기관장들간 정기적인 논의의 장 마련 등 제도 절차적 보완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