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mative assessment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초

예비 물리 교사들의 학생평가 문항 제작 수행 수준 조사 - 형성 평가를 위한 선다형 물리 개념 검사 문항 분석 중심으로 (A Study on Performance Level of Pre-service Physics Teachers in Constructing Questions for classroom assessment - Focused on Analysis of Multiple Choice Question about Physics Conceptest for Formative Assessment)

  • 최현숙;김중복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3호
    • /
    • pp.458-475
    • /
    • 2013
  • 성취평가제 도입에 따라 교사들이 이에 부합하는 평가 문항을 제작하는 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예비 물리 교사들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예비 물리 교사들이 제작한 형성 평가 문항을 살펴보았다. 물리교육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17명의 예비교사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우리는 예비교사들에게 형성 평가도구로써 선다형 물리 개념 문항을 제작하게 하고 예비교사들이 제작한 문항을 서로 검토하는 과정을 관찰하였다. 예비교사들은 5시간의 검토 과정을 통해 그들의 문항을 수정해 갔으며 16명의 예비교사들이 최종 완성된 문항을 제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다소 낮은 수행 능력을 보였다. 문항을 제작하고 검토함에 있어 예비교사들은 다양한 관점을 가지지 못하였으며 대부분이 학생들이 가진 개념에 가한 정보를 얻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교사들이 문항 제작에 있어 어려움이 있음을 나타내 주고 성취평가제 도입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예비교사들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특별한 방안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 PDF

Student Perceptions of Different Feedback Givers' Written Responses

  • Kim, Jeong-Ok
    • 영어어문교육
    • /
    • 제18권1호
    • /
    • pp.45-68
    • /
    • 2012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opinions about feedback given to high level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their writing.18 students in the Gifted Program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rough their presurvey answers according to their language learning opportunities and genders. Students language self-assessment was compared with achievement as well. Three times of students' written work were collected. They then received feedback from the teacher and their two peers respectively. With the teachers' and peers' feedback, they completed their final draft. The study then examines how much the students take feedback practically from the different feedback givers. Examples of formative and corrective feedback were arrang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students practice when giving and taking feedback. These Gifted class students showed that they didn't care much about who gave them the feedback, instead they cared more about how much language competence they presumed the feedback giver ha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and future study is suggested.

  • PDF

형성평가를 이용한 교수-학습 전략이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개념 이해, 학습동기, 메타인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ormative Assessment-bas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on the Students' Science Concept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Metacognitive Ability in Middle School)

서술형 문제를 활용한 형성평가가 수학적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ing based on formative assessment using descriptive problems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s and academic achievement)

  • 안종수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169-19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s in the formative assessment using descriptive problems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this paper we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would you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utilizing descriptive evaluation? Second, how would improve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s utilizing descriptive evaluation? Third, what was the reaction utilizing the descriptive method to evaluate?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seen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on academic achievement shows a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changes could be helpful and appreciated. Third,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dicates significance could be seen in the reaction.

상호작용을 강화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이 중학교 과학학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Teaching Strategy Based on the Interactive Formative Assessment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 박종윤;남정희;유희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68-47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을 강화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이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효과와 이 수업전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남녀공학 중학교의 2학년 4개 반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4개 반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상호작용을 강화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을, 비교집단에는 교사 강의식 전통적 수업전략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은 전통적 수업전략에 비해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에는 효과적이나 과학 관련 태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집단에서 수업 전후에 과학 개념 이해의 향상 정도는 집단 내의 과학성적 수준이나 인지 수준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수업전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질문과 응답에 의한 상호작용이 많고, 이를 통해 사고를 촉진할 수 있고 반복학습의 효과가 있으며,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 PDF

CRESST 형성평가 프로그램(PowerSource(c))의 효과성 - 중학교 1학년 대수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Formative Assessment Program in CRESST Focused on the Algebra Domain in the 7th Grade)

  • 최승현;황혜정;류현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43-262
    • /
    • 2010
  • 미 연방정부 교육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고 있는 평가 기준 검사 전문연구센터인 CRESST(The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Evaluation, Standards, and Student Testing at UCLA)에서는 지속적인 형성평가 실시에 따른 결과 반영을 통하여 교사의 수업 개선과 학생의 내용 숙달을 지원하고, 투입한 형성평가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5년 일정(2007년~2011년)의 장기적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이를 위하여, 일차년도인 2007년에 대수 영역의 내용을 중심으로 중학교 1학년 자료를 개발하였으며, 개발한 자료를 그 해 7월부터 우리나라와 공유하면서 본격적으로 공동 연구가 착수되었다. 이차년도인 2008년도에는, 2009년의 본 연구에 앞서 사전적 의미에서의 연구가 실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CRESST의 PowerSource(c) 프로그램을 토대로,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수 영역 성취도를 분석하고, 해당 프로그램의 활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반응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PDF

CRESST 형성평가 프로그램의 이해 및 효과성 - 중학교 2학년 대수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 (Understanding and Effectiveness of Formative Assessment Program in CRESST Focused on the Algebra Domain in the 8th Grade)

  • 최승현;황혜정;류현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2호
    • /
    • pp.193-217
    • /
    • 2010
  • 미 연방정부 교육부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고 있는 평가 기준 검사 전문연구센터인 CRESST (The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Evaluation, Standards, and Student Testing at UCLA)에서는 지속적인 형성평가 실시에 따른 결과 반영을 통하여 교사의 수업 개선과 학생의 내용 숙달을 지원하고, 투입한 형성평가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5년 일정(2007년~2011년)의 장기적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2007년과 2008년의 사전 연구를 토대로, 2009년도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PowerSource(c)를 투입하여 대수 영역 성취도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해당 프로그램의 활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반응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에 PowerSource(c)를 투입하여 대수 영역 성취도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CRESST의 PowerSource(c)의 이해 및 이의 활용을 토대로,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수 영역 성취도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 PDF

성과중심교육에서 학생평가 (Assessment in Outcome-Based Education)

  • 임선주
    • 의학교육논단
    • /
    • 제15권1호
    • /
    • pp.25-30
    • /
    • 2013
  • Assessment plays a vital role in outcome-based education (OBE). This article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assessment and appropriate assessment instruments for measuring learning outcomes in OBE. Assessment in OBE needs to be formative, continuous, and frequent. Miller's pyramid is useful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assessment instruments to reflect a specific outcome; different methods can be applied to evaluate one outcome. Outcomes and competency mean that student must 'do'; therefore, performance tests are emphasized. Qualitative methods as well as quantitative methods are used to evaluate the outcomes of areas such as professionalism or ethics. An absolute criterion-based standard is usually applied to decide whether students pass or fail, but the decision should be based on gathering value judgments and reaching consensus. Active participation of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in assessment is crucial.

Mosoteach 앱을 이용한 중국 대학 EFL 수업 형성평가와 총괄평가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s Using the Mosoteach App in College EFL Classes in China)

  • 류댄핑;김양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275-283
    • /
    • 2021
  • 본 연구는 형성평가 (FA)와 총괄평가 (SA) 사이의 관계를 검사하여 대학 EFL 수업 평가 개선을 돕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중국의 4년제 대학에서 선택적으로 8주간의 대학 영어 과정을 수강했던 75명의 학부생들이었다. FA 데이터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인 Mosoteach를 사용하여 자기 보고식 설문 조사에 의해 코스 마지막 과정에서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자,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FA와 SA(기말고사 및 수행활동 점수)간의 관련성을 SPSS로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그 두 평가 점수 간 유의미한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단원 평가, 온라인 토론, 브레인스토밍, 신속한 답변, 그리고 과제 수행에서 교수자들의 엄지척 클릭수와도 깊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Mosoteach 앱을 통해 관리되는 FA가 학생들의 수업의 학업 성과를 향상 시킬 수 있었다는 결과는 교육 평가 개선을 위한 경험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EFL 수업 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설명되었다.

원격 컴퓨터 교육을 위한 형성평가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ormative Assessment Program for Distance Computer Education)

  • 한병래;홍지영;송기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143-150
    • /
    • 2000
  •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들이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에 따라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 컴퓨터 교육을 위해 퀴즈를 통한 형성평가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컴퓨터 학습은 많은 개념을 포함하고 있어 학습하기 어렵고, 원격교육은 시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으나 학습자의 강한 동기를 요구한다. 또한 형성평가는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학습과정에 대한 안내를 해주는 좋은 자료가 되지만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부담이 되어서는 안 된다. 이 점에 대한 보완책으로 퀴즈형 형성평가 프로그램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설계하고 구현하여 보았다. 웹기반 원격 컴퓨터 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 본 프로그램은 학습과정을 학습자 및 교수자에게 피드백하고, 캐릭터 및 아이템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높이도록 하였다. 학습자는 더 높은 동기를 가지고 원격 컴퓨터 학습에 임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