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maldehyde-releasing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Biodegration of Formaldehyde-Releasing Preservatives

  • Park, Won-Jae;Yang, Seung-Kak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2
    • /
    • 1985
  • A strain of Pseudomonas aeruginosa was isolated from the spoiled product and its characteristics on various formaldehyde-releasing preservatives were investigated. This strain, P. aeruginosa FR, could utilize 1.0% of imidazolidinyl urea and 0.2% of DMDM hydantoin as a sole carbon and nitrogen source in the minimal salts medium. With the growth of the strain in minimal salts medium containing imidazolidinyl urea, formic acid was initially accumulated according to the decrease of formaldehyde concentration. It was suggested that formaldehyde dehydrogenase was involved in this oxidation process and could catalyze formaldehyde, imidazolidinyl urea, DMDM hydantoin and quaternium-15, but not bronopol. MICs of this strain to each preservation were 0.03% in formaldehyde, 1.0% in imidazolidinyl urea, 0.2% in DMDM hydantoin, 0.2% in quaternium-15 and 0.1% of EDTA-2Na. But the MICs were diminished about ten times when 0.01% of EDTA-2Na was added to the preservative systems. In actual challenge test, the eyeliner and the pack which contained paraben and imidazolidinyl urea were not able to be protected from this strain, but when 0.05% EDTA-2Na was added the products were sufficiently preserved.

  • PDF

저분자량 polyethylene과 urea-formaldehyde 수지를 이용한 microencapsulation에 의한 곤충 페로몬의 model 화합물들의 slow release (Slow release of microencapsulated model compounds of insect pheromone using low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and urea-formaldehyde resin)

  • 김정한;오원택;김용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10-116
    • /
    • 1991
  • Wall 물질로 저분자량 polyethylene(LMPE)과 urea-formaldehyde 수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인 저분자 페로몬과 유사한 특성과 구조를 갖는 모델 화합물로서 citral, n-octanol, 그리고 쌀바구미, 옥수수바구미의 집합 페로몬 활성을 갖는 $({\pm})-5-hydroxy-4-methyl-heptan-3-one$을 microencapsulation하였다. Microencapsulation된 형태는 작은 입자형태의 분말상이었으며, LMPE를 wall물질로 사용한 것 보다는 urea-formaldehyde수지를 사용한 경우가 더 우수한 형태의 polymer를 얻었다. 또한 core 물질의 slow release 효과를 용매 추출법과 headspace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n-octanol과 citral은 40일 이상 그리고 5-hydroxy-4-methyl-heptan-3-one은 15일 이상 지속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slow release되는 방식은 LMPE보다 urea-formal-dehyde 수지가 상대적으로 초기 감소 경향이 완만하며 core 물질을 일정양씩 더 지속적으로 휘발시켰다.

  • PDF

화장품 중 포름알데히드 함유량 조사 (Monitoring of Formaldehyde in Cosmetic Products)

  • 정보경;박원희;김동규;최은정;김연천;황인숙;채영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1-55
    • /
    • 2012
  • 포름알데히드는 그 자체가 보존제로 또는 다른 보존제로부터 유리된 형태로 화장품에 일반적으로 존재한다. 포름알데히드는 낮은 농도로도 민감한 피부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화장품에서 그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팩 및 마스크와 같은 화장품 114 품목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포름알데히드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검사 품목의 36%에서 $0.3{\sim}9.7{\mu}g/mL$ (ppm) 수준의 포름알데히드가 검출되었다. 포름알데히드 유리 보존제를 함유한다고 표시되어 있는 12개 제품의 포름알데히드 함량을 조사하였다. Imidazolidinyl urea를 사용한 화장품 10품목과 1,3-Dimethylol-5,5-dimethylhydantoin (DMDM hyantoin)을 사용한 화장품 2품목에서 평균 $1.7{\mu}g/mL$ (ppm)의 포름알데히드가 검출되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최대 허용 포름알데히드 농도 0.2 % (2,000 ppm)을 고려할 때, 이번 조사에서 분석한 화장품에서는 비교적 낮은 수준의 포름알데히드 함량을 보였다.

피톤치드를 혼입한 시멘트경화체의 강도 특성 (Strength Properties of Cement Matrix using Phytoncide)

  • 김현성;김선아;박선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3-24
    • /
    • 2018
  • Most finishing materials are vulnerable to durability, humidity resistance and fire. And those products used formaldehyde to protect,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lso most finishing materials used adhesives to construction process indoor. All of these elements are major causes of releasing formaldehyde. In this study, concrete used by phytoncide was examined to remove the formaldehyd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we found that compressive strength was increased and formaldehyde effectively removed by using mixture of cement matrix and phytoncide.

  • PDF

키토산 겔을 이용한 포름알데하이드 차폐 시트 개발 (Development of Formaldehyde-shielding Chitosan-gel Sheet)

  • 김소연;김미소;탁상민;이지환;심소연;주은희;김성배;김창준
    • KSBB Journal
    • /
    • 제29권3호
    • /
    • pp.183-187
    • /
    • 2014
  • Sick-building syndrome occurs when indoor air is polluted with harmful volatile organic compounds such as formaldehyde which are contained in furniture or new building materials. In this study, formaldehyde-shielding chitosangel sheet was developed and its performance was evaluated. Chitosan and agar were dissolved in acetic acid solution. The optimal concentrations of chitosan, acetic acid and agar were 3, 3, and 2.5 %(w/w). Formaldehyde was spreaded on gypsum board and then wall paper was attached on it by using glue. When chitosan-gel sheet was attached on this control board, the amount of formaldehyde released from the board was decreased by 63% than in control board. On the other hand, decrease in formaldehyde releasing was only 32% when liquid solution of chitosan was spreaded on the control board. This result clearly indicates that chitosan-gel sheet removes formaldehyde more effectively than liqud solution of chitosan. Furthermore, this type of sheet is more applicable to new building than spraying type.

Preparation and Drug-releasing Properties of Chitosan-based Thermosensitive Composite Hydrogel

  • Li, Heping;Yu, Tao;Li, Shan;Qin, Long;Ning, Jingheng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73-477
    • /
    • 2012
  • The novel chitosan-based thermosensitive hydrogels were prepared as control-releasing drug carriers. N-carboxyethyl chitosan (ACS) was synthesized by microwave heating for 1 h through Michael addition of CS to acrylic acid in a grafting yield of 52.97%, which was proved to be a faster and more efficient way than ordinary methods. 5-Fu was modified with formaldehyde to synthesize N,N'-Bis(hydroxymethyl)-5-fluorouracil (5-Fu-OH). Then an est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ACS and 5-Fu-OH to give 5-Fu-ACS. The new thermosensitive hydrogels were prepared by adding sodium glycerophosphate to the solution of compounds under a certain constant temperature. Simultaneously, the hydrogels' swelling rate, in vitro drug release rate and thermosensitive were studied, and found that the 5-Fu-ACS composite hydrogel had more excellent releasing effect, higher drug loading and better thermosensitive.

빨간 색소를 함유한 자가치료제 마이크로캡슐 (Microcapsules Containing Self-Healing Agent with Red Dye)

  • 양광;이종근
    • 폴리머
    • /
    • 제37권3호
    • /
    • pp.356-36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5-ethylidene-2-norbornene(ENB)과 가교제가 혼합된 ENB 자가치료제에 melamine-urea-formaldehyde로 둘러싸인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이때 자가치료제에는 빨간 색소를 첨가하여 관찰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마이크로캡슐의 열적 저항성과 캡슐의 크기 및 분포 그리고 형상을 관찰한 결과 우수한 캡슐이 제조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자가치료제에 빨간 색소의 첨가가 캡슐의 형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마이크로캡슐과 Grubbs 촉매를 에폭시 코팅 층에 분산시킨 다음 이에 손상을 가하여 크랙을 유발하고 그것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크랙에 의해 캡슐이 파손되어 자가치료제가 흘러나와 크랙 면을 채우고 촉매와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 경수로형 원자로 냉각재 중의 $^{14}C$ 거동 특성 평가 (Evaluation of $^{14}C$ Behavior Characteristic in Reactor Coolant from Korean PWR NPP's)

  • 강덕원;양양희;박경록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7
    • /
    • 2009
  • 본 논문은 국내에서 가동되고 있는 3개 로형의 원자로 냉각재로부터 유기 및 무기 $^{14}C$의 특성을 평가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주목적은 국내 원전 부지에서 환경으로 방출되는 $^{14}C$에 대한 신뢰할 만 한 특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14}C$는 방사성핵종 인벤토리 중 가장 중요한 핵종중의 하나로서 처분장에서의 방출 시나리오에서 가장 중요한 선량 기여 핵종중의 하나이다. $^{14}C$는 반감기가 5,730 년인 순수 베타방출체로써 환경으로의 이동성이 높을 뿐 아니라 생물학적인 유용성이 높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유기화합물 형태의 $^{14}C$는 환원환경 하에서 원자로 냉각재내에서 주종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그 외의 유기화합물인 formaldehyde, formic acid 및 acetate도 함께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지화학 처 리 기간인 산성 산화환경 하에서는 산화성 탄소형태로 바뀌면서 $^{14}CO_2$$H^{14}CO_3^-$형으로 바뀌어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발전소의 다양한 처리계통의 시료에 대해 유기 및 무기화학형의 $^{14}C$ 농도를 측정, 평가하였다 원자로 계통 내에서의 $^{14}C$ 인벤토리는 약 3.1 GBq/kg로 나타났으며 냉각재 계통 내에서는 주로 유기화학형 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으며 무기화학형은 10%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용액중의 $^{14}C$ 측정은 기상과 액상으로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정상 운전 중에는 유기화학형의 $^{14}C$가 주종을 이루고 있지만 발전소의 배기구를 통해 방출되는 $^{14}C$의 화학형은 온도, pH, 체적제어탱크의 방출 및 정지화학 처리에 따라 화학형이 달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