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working system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2초

산림작업에 따른 임분의 시각선호도 평가 (Visual Preference Evaluation of Forest Stands toward Forest Working Systems)

  • 송형섭;오도교
    • 농업과학연구
    • /
    • 제30권2호
    • /
    • pp.139-147
    • /
    • 2003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forest scenic beauty management informations toward forest working systems in pinus densiflora forest stands, etc. To get these information, visual preference and spatial image analysis methods are used. 25 different alternatives were simulated to visualize on basis of actual forest working methods with taken photos from May to July, 2003. The options were illustrated as photos produced by computer software. Respondents' ratings for 25 landscape scenes were obtained by interview survey method. Each alternatives were evaluated by forest major student group with total 103 respondents after reliability test. Visual preference evaluation was used 10 point rating scale. Spatial images of 12 alternatives were measured by 12 semantic differential scale. In general, the respondents preferred refreshing and ordering forest stand after forest working to natural forest stand before forest working. High visual preference for forest density produces 400-600 trees/ha in small diameter class forest stands. Regarding visual preference according to pavement type of trail, soil trail is ranked high. Visual preference for cutting area ranks mature forest stand and visual preference for trail slope cover type ranks shrub with grass as relatively high on the preference scale. Through the factor analysis, spatial images of 12 coniferous forest stands are classified as 'ordered opened' and 'beautiful healthy'. Results indicate how to conduct forest working systems for forest scenic beauty management.

  • PDF

산림풍치자원관리(山林風致資源管理)를 위한 산림시업특성별(山林施業特性別) 시각선호도(視覺選好度) 평가(評價) (Visual Preference Evaluation on Forest Working Systems' Characteristics for Forest Scenic Beauty Management)

  • 송형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3호
    • /
    • pp.309-319
    • /
    • 1999
  • 본 연구는 산림 시업에 따른 풍치 관리 정보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대상 임분은 현재 산림무육작업 요구도가 높은 낙엽송 인공림을 대상으로 하였다. 촬영된 임분 사진의 모의조작을 통하여 산림작업별로 구분된 35매의 임분 경관이 이용되었다. 각 경관은 신뢰성 검정을 통해 얻은 3개 집단, 전체 593명의 평가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각 선호도 평가는 1 - 10 point 평점값을 이용하였다. 이들 평점값의 보정은 RMRATE의 SBE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되었다. 시각 선호도와 이미지 척도와의 관련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13매의 간벌 임분을 대상으로 어의 구별척을 이용하여 공간 이미지를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무육 전의 자연 임분 보다는 작업 후의 쾌적하고 질서 정연한 임분을 높게 선호하고 있었다. 시각 선호도는 나지 면적과 폐잔재 면적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임목 밀도, 지하고, 지피식생과 높은 관련이 있었다. 소규모 개별지의 벌구 모양은 곡선보다는 직선 모양을 선호하고 있었다. 시각 선호도는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변수에 따라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들은 산림풍치관리를 위한 시업 수행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숲길 조성공사 작업자의 작업자세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working posture of forest trail construction)

  • 이명교;박범진;이준우;최성민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2호
    • /
    • pp.117-124
    • /
    • 2015
  • In forest work, working conditions are very hard to improve. The good posture is believed to bring about direct improvements such as accident prevention. Therefore, this research carried on analysis of working posture in forest work (construct in stepping-stone) using OWAS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provided by OWAS, the ratio of category III (Work posture has a distinctly harmful effect on the musculoskeletal system) has shawn that worker 2 was 32.2%, worker 1 was 25.2% and worker 3 was 15.5%. Furthermore, the ratio of category IV (Work posture with an extremely harmful effect on the musculoskeletal system) has shown that worker 2 was 9.8%, worker 3 was 1.4% and worker 1 was 1.2%. According to the OWAS method, percentage of OWAS action categories III and IV in the worker 2 was higher than another workers.

돌수로공의 작업시간 및 작업자세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work times and postures occurring relating to stone channel work in forest engineering)

  • 염인환;최윤호;김명준;권형근;이준우;김재수;박범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1호
    • /
    • pp.101-108
    • /
    • 2011
  • In forest work, working conditions are very hard to improve. The proper distribution of work time and good posture is believed to bring about direct improvements such as accident prevention. On this, this study has analyzed forest workers' posture and their working hours in order to improve their working conditions in stone channel work. Authors has chosen several core elements of stone channel work to focus on, which include stone masonry, excavation of bed, moving stone, directing work, choosing stone, and breaking stone. The ratio of real working time over total working time was shown as 84.6%. As for the time ratio of each elemental work over the real working time, the stone masonry was 60.4%, the directing work was 15.1%, moving stone was 12.1%, choosing stone was 7.1%, breaking stone was 3.3%, and excavation of bed was 2.0%.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provided by OWAS, the ratio of category III (Work posture has a distinctly harmful effect on the musculoskeletal system) has shown that moving stone turned out 65.2%, choosing stone was 61.5%, stone masonry was 46.1%, breaking stone was 14.3%, excavation of bed was 12.5% and directing work was 6.8%. Furthermore, the ratio of category IV (Work posture with an extremely harmful effect on the musculoskeletal system) has shown that excavation of bed turned out 37.5%, breaking stone was 28.6%, stone masonry was 27.3%, choosing stone was 7.7%, moving stone was 6.1% and directing working was 4.5%.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for the improvement with respect to both working methods in the stone channel work and the workers' working posture.

숲가꾸기를 위한 풀베기와 칡덩굴제거작업의 근골격계 부담 분석 (Postural Risk Assessment of Weed and Kudzu Removal Operations)

  • 이은재;백승안;조구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2호
    • /
    • pp.195-201
    • /
    • 2020
  • 산림작업은 비정형화된 작업 환경(날씨, 지형)에서 신체의 반복적인 동작 등으로 인하여 근골격계 질환에 취약하다. 특히, 조림목의 원활한 생장을 위해 실행하는 풀베기와 칡덩굴제거 작업은 여전히 많은 인력이 투입되고 있으며, 이 작업자세에 대한 인간공학적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WAS (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예초기를 이용한 풀베기 작업과 낫·손톱을 이용한 칡덩굴제거 작업의 신체부담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작업자세 위험도 지수(Postural risk index: PRI)를 통하여 산림작업의 위험 정도를 분석하였다. 풀베기와 칡덩굴제거 작업원에 대한 작업자세를 분석한 결과, 칡덩굴제거작업의 작업자세 위험성이 풀베기작업에 비해 통계적으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칡덩굴을 제거하는 작업 과정 중에서 다리에서는 두 다리를 구부리는 자세와 무릎 꿇는 자세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근골격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결과는 풀베기와 칡덩굴제거 작업원의 작업부하 및 근골격계 질환을 저감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유림(國有林) 관리(管理) 영림계획(營林計劃) 운영(運營)을 위(爲)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의 개발(開發) (Development of a Database Program for Management Planning in National Forests)

  • 박은식;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1호
    • /
    • pp.63-72
    • /
    • 1999
  • 이 연구에서는 산림계획에 관계되는 자료관리는 물론 국유림에 적용되는 영림계획의 운영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체계로 개발하였다. 이 데이터베이스체계에서는 영림계획 업무에서 요구되는 여러 가지 기능들을 메뉴체계에 반영하였으며, 산림조사, 영림계획, 연차계획 및 임반연혁 자료들을 유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모델은 한글 윈도우 95 환경에서 구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프로그램은 Visual Basic 5.0을 사용하여 작성하였고 데이터베이스 기본 엔진으로 Microsoft사의 ACCESS를 이용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영림계획업무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작성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설계내역, 모델구조 및 응용체계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상에서 설명한 데이터베이스의 응용체계를 실제 화면모드 출력창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 PDF

벌도 및 가지제거작업에서 세 가지 인간공학적 위험 평가기법의 비교분석 (Comparison of Three Ergonomic Risk Assessment Methods (OWAS, RULA, and REB A) in Felling and Delimbing Operations)

  • 조민재;정응진;오재헌;한상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2호
    • /
    • pp.210-216
    • /
    • 2021
  • 우리나라 모든 산업에서 근골격계질환은 작업자들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산림작업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근골격계 부담작업으로 분류된다. 특히 벌도 및 가지제거작업은 주로 인력작업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작업원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작업자세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인톱을 이용한 벌도 및 가지제거작업의 작업자를 대상으로 세가지 인간공학적 분석 도구(OWAS, RULA, REBA)를 이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평가기법별 작업자세에 대한 영향인자를 분석하였다. 벌도와 가지제거작업자세의 위험도는 RULA, OWAS, REBA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대부분 2-3단계로 작업자세의 즉각 변경조치는 요구되지 않았다. 하지만 벌도작업에서 허리와 다리를 굽힌자세와 가지제거작업에서 벌도목 위에서 작업하는 자세는 위험도가 매우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벌도작업의 경우 산지경사, 가지제거작업의 경우는 지상에서부터 벌도목 높이가 작업위험도 평가에 영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산림작업에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작업부하가 낮은 자세(벌도작업: 쪼그리는 자세, 가지제거작업: 허리와 다리가 곧은 자세)로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벌채작업(伐採作業)에서의 작업강도(作業强度) 측정연구(測定硏究) -침엽수(針葉樹) 간벌림에(間伐林)서- (Studies on Working Intensity in Felling Operation of the Thinning Forest -In Thinning of Some Conifer Species-)

  • 박수규;강건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396-408
    • /
    • 199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간벌림 벌채작업에서 작업강도를 구명하여 산림작업을 성력화하며, 아울러 작업방법의 개선과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침엽수 간벌림에서 벌채작업을 요소작업으로 구분하여 순수작업시간과 맥박수를 측정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맥박수 측정 분석에서 전체 순수작업시간에서의 1분당 평균맥박수는 작업원 A의 경우 108로 나타났으며, 작업원 B의 경우 130, 작업원 C는 119, 그리고 작업원 D는 125로 나타났다. 2. 요소작업 구분별로 맥박수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1분당 맥박수가 가장 높을 때는 작업원 A의 경우 주위정리에서 115였고, 작업원 B는 이동에서 131, 작업원 C는 지타작업에서 122, 작업원 D는 현목처리에서 128로 나타났다. 3. 작업원별로 기준맥박을 100%로 보았을 때 작업강도는 작업원 A(기본맥박 61=100%)가 전체 작업강도 160%, 요소작업 구분중에서는 주위정리가 18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작업원 B(기본맥박 57=100%)의 전체 작업강도는 220%, 요소작업중에서는 이동이 229%로 가장 높았으며, 작업원 C(기본맥박 73=100%)의 경우에는 전체 강도는 159%, 요소작업중에서는 지타작업이 168%로 가장 높았고, 작업원 D(기본맥박 70=100%)는 전체 작업강도 156%, 요소작업중에서는 현목처리가 1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전체 작업강도를 나다내는 작업원에 따른 노동이행능력 한계점에서의 1분당 초과맥박수는 작업원 A의 경우 30, 작업원 B의 경우 207, 작업원 C는 14이며, 작업원 D는 67로 작업원 B가 가장 작업강도가 높아 신체적인 부담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 조림지 관리를 위한 어린나무가꾸기의 작업 자세 위험도 분석 (Postural Risk Assessment of Young Tree Tending Operations in for Managing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Plantations)

  • 이은재;이상태;한상균;조구현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271-281
    • /
    • 2021
  •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forests not only extended the plantation management area but also cultivated to the sustainable wood supply chain during the last 5-years. These prescriptions are primarily done by manual operation activities, particularly in young tree tending. Two types of tending activities, brashing by brush cutter(BB) and pruning by pruning shear and saw(PP), were selected for the investigat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level and postural risks using 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 (OWAS). The postural risk indexes (BB and PP) ranged from 115 to 125 and 102 to 105, respectivel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pecies. The young tree tending operations had low postural risks. The results may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technical guideline for safe young trees.

임업기능인 임금조사를 통한 직종별 기준임금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Standard Wage System for Forestry Workers in Korea)

  • 한상균;한한섭;우희성;최병구;조민재;차두송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632-639
    • /
    • 2015
  • 산림작업은 험준한 산악지에서 주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임업노동자에게 높은 위험수준을 부담하는 노동형태를 띠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중노동에도 불구하고 건설공사 품셈을 바탕으로 하는 비현실적인 임금체계의 적용으로 인하여 효율적인 작업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임업기능인의 노동생산성도 점차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 사유림 임업기능인 영림단을 대상으로 현행 임금체계의 문제점과 합리적인 임금체계 수립을 위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내용을 바탕으로 임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새로운 직종별 적정 임금체계를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는 총 19문항으로, 총 659명에게 우편을 통하여 실시하였고, 이 중 28.5%의 회신율을 보였다. 조사된 영림단의 평균 적정임금은 지역별로 다소차이를 보였으나, 보통인부가 97,680원/일, 특별인부 127,559원/일, 벌목부는 152,403원/일로 나타났다. 이는 건설협회의 노임단가와 비교했을 때, 적정한 수준이라 판단된다. 또한 현재 분류되고 있는 3개 직종(보통인부, 특별인부, 벌목부)구분 보다는 좀 더 산림작업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5개 직종(산림환경작업부, 초급산림작업인, 중급산림작업인, 고급산림작업인, 산림장비운전사)으로 구분한다면 임업기능인을 위한 현실적이고 안정된 임금체계를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