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type

검색결과 1,682건 처리시간 0.03초

1:25,000 수치임상도 제작체계 표준화 연구 (Study on the Standard for 1:25,000 Scale Digital Forest Type Map Production in Korea)

  • 김경민;김철민;전은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43-151
    • /
    • 2009
  • 임상도는 산림자원이 어디에 어떻게 얼마나 분포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산림지도로 전국 산림에 대해 임상, 영급, 경급, 소밀도 등 다양한 산림정보를 제공하여 산림정책 수립의 주요한 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토지적성평가, 생태자연도 제작 등 다양한 분야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최초의 수치임상도는 1차 NGIS 사업을 통해 제작되었는데 당시 수치임상도제작 표준의 부재로 도엽 간 경계 및 속성 불일치 등 여러 가지 유형의 오류가 발생하였다. 또한 임상도의 제작시기, 항공사진 촬영시기, 속성 설명 등 임상도에 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알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치임상도 DB 설계부터 수치화, 메타데이터 입력, 품질관리 등의 수치임상도 전 제작과정을 3단계 33개 단위 공정으로 구조화하고 이를 최적화하여 표준화한 수치임상도 표준제작체계를 개발하였다. 본 수치임상도 표준제작체계를 토대로 전국 수치임상도를 일관된 품질로 제작하고 수치임상도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표준메타데이터를 통해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잣나무 만곡 복합집성재의 휨강도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Bending Strength of Curved Composite Glulams Made of Korean White Pine)

  • 송요진;정홍주;이인환;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463-46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곡선부재의 휨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Glass fiber 소재의 보강재와 낙엽송 층재로 보강한 만곡 복합집성재를 제작하였다. 잣나무 만곡집성재는 보강유무 및 보강방법에 의하여 다섯 종류로 제작되었다. 대조시험편인 Type-A는 잣나무 층재로만 제작된 시험편이며, Type-B는 최외층에 잣나무 대신 동일한 두께의 국내산 낙엽송층재로 제작한 시험편이다. Type-C는 직물형태의 glass fiber cloth가 매 층재 사이에 삽입된 시험편이다. Type-D는 glass fiber cloth가 최외층재들의 안쪽과 바깥쪽에 2장씩 보강된 시험편이다. Type-E는 sheet 타입의 GFRP를 Type-D와 동일한 위치에 1장씩 보강한 시험편이다. 휨 강도 시험 결과, Type-A의 파괴계수와 비교하여 Type-B는 29%, Type-C는 6%, Type-E는 48% 증가되었으며 Type-D는 오히려 2% 감소하였다. 파괴모드에서 Type-A와 Type-B 그리고 Type-C는 최대하중에 도달하는 순간 완전히 파단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Type-D와 Type-E는 보강재에 의해 파단이 억제되어 하중의 감소가 천천히 진행되었으며, 보강재 GFRP sheet(Type-E)는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에 대한 보강효과가 glass fiber cloth(Type-D)보다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리기다 소나무 정각재를 사용한 목재옹벽의 직결나사못 접합부 내력 성능 평가 (Strength Performance Evaluation of Threaded Nail Joints of Wooden Retaining Wall Using Pitch Pine (Pinus rigida Miller) Square Timber)

  • 송요진;김건호;이동흡;황원중;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1호
    • /
    • pp.53-59
    • /
    • 2011
  • 시험 시편은 1개의 횡목과 2개의 종목이 직결나사못 2개로 연결된 접합부(Type-A)와 2개의 횡목과 2개의 종목이 4개의 직결나사못으로 연결된 접합부(Type-B)를 제작하였다. Type-B를 보강하기 위하여 횡목간의 연결부를 끝면거리 5D로 반턱이음하여 2개의 직결나사를 사용한 접합부(Type-C), 끝면거리 10D로 반턱이음한 접합부(Type-C1)와 끝면거리 10D, 직결나사 3개를 사용한 접합부(Type-C2)를 제작하였다. 압축형 전단 내력 시험결과 Type-B의 내력을 기준으로 Type-B를 보완한 Type-C는 약 30% 감소하였고, Type-C에서 끝면거리를 증가시킨 Type-C1은 Type-B와 비슷한 내력을 보였으며, Type-C1에서 직결나사못의 개수를 3개로 증가시킨 Type-C2는 Type-C1과 비교하여 1.28배 내력을 나타냈다. 기존 정각재를 이용한 옹벽의 접합부 중 긴 횡목과 짧은 횡목이 2개의 종목과 연결되는 접합부는 내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Type-B를 Type-C2로 대체한다면 옹벽 시공시 직결나사못에 의한 목재의 할렬, 파단과 시공시간이 줄어들고 접합 내력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a New Thornless Castor aralia Cultivar, 'Cheongsong II'

  • Kim, Sea-Hyun;Jung, Hyun-Kwon;Jang, Yong-Seok
    • Plant Resources
    • /
    • 제7권2호
    • /
    • pp.123-126
    • /
    • 2004
  • New thornless cultivar of castor aralia(Kalopanax septemlobus Koidz.) was developed and selected in Cheongsong, Prov. of GyeongSangbuk-do during the period from 1994 to 1999 b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KFRI). The new thornless cultivar, "Cheongsong II" is characterized by a thinner outer-bark and soft, wider leaves, and is particularly characterized by thornless stems. This cultivar has a thinner outer-bark(8.82mm) when compared with thorned type trees(13.95mm). It also has a larger leaves than does thorned type trees. Consequently, the new thornless cultivar, "Cheongsong II" is defined to have thinner bark and longer and wider leaves than do other thorned type trees. thorned type trees.

  • PDF

새로운 기법(技法)을 적용(適用)한 자연도(自然度) 평가(評價) (Assessment of Naturalness by Application of new Technique)

  • 이영근;이돈구;이병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4호
    • /
    • pp.488-494
    • /
    • 2001
  • 본 연구는 독일과 오스트리아 산림 Biotope 조사방법에 기초하여 한국에 맞는 산림 Biotope조사 방법을 개발하여 경기도 광주 태화산에 적용하였다. 조사는 교목층의 종조성과 연령에 따라 임분형을 구분하고 임분별로 자연도, 다양도를 5등급으로, 희귀도 여부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세 요소를 더하여 종합평가를 하였다. 자연도는 해발 300m 이상의 신갈나무임분과 계곡임분이 4등급으로 구분되었고, 상수림나무임분과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혼합임분은 3등급으로 구분되었다. 사면하부의 조림지는 연령에 따라 1, 2등급으로 구분되었다. 다양도는 자연도와 비슷하였다. 그러나 일본잎깔나무 조림지의 경우 자연도는 1등급이었지만 다양도는 3등급이었다. 계곡부군락, 습지군락, 임연군락이 희귀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종합평가도는 자연도와 비슷하였다. 이 방법은 녹지자연도에 비해 발전된 방법이며 계속 발전시킨다면 한국의 산림내 생물다양성보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우리나라 해안별 해안방재림의 유형특성 비교 (A Comparison on the Forest Type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Forest Between the Coastal Areas in Korea)

  • 김찬범;박기형;이창우;윤호중;김경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564-573
    • /
    • 2014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서해안, 남해안, 동해안의 주요 해안방재림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각 해안별 해안방재림의 특징과 각 해안을 대표할 수 있는 해안방재림 선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해안방재림 방재효과에 영향을 주는 임분밀도와 수고, DBH, 해안방재림 폭을 기준으로 하여 각 군집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해안별 각각 2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서해안은 임분밀도가 높고 DBH가 작은 특징을 갖는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황촌리 구례포해수욕장 해안방재림과 수고가 높은 특징을 보이는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운산리 고사포해수욕장 해안방재림이 각 군집을 대표하는 해안방재림이었다. 남해안은 수고가 낮은 특징을 보이는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남양리 해안방재림과 DBH가 큰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동고리해수욕장 해안방재림으로 나타났다. 동해안은 임분밀도가 낮은 경상남도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해안방재림과 수고가 낮고 DBH가 작은 강원도 강릉시 견소동 안목해수욕장 해안방재림이 대표적이다. 이 연구는 앞으로 각 해안별 가장 적합한 해안방재림을 설정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숲 조성 및 관리를 위한 도시숲 유형화 및 적용방안 (Classification of Urban Forest Types and its Application Methods for Forests Creation and Management)

  • 이동근;김은영;송원경;박찬;최혜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101-109
    • /
    • 2009
  • There are increasing needs about creation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urban forest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recreational service for citizen. However, it is difficult for local governments to create or manage urban forest in recreational or conservational 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urban forest types by considering its geographical feature, biological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suggest a guide to local governments about effective creation or management of urban forest. In this study, we extracted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five indicators. Factors about urban forest are divided into two groups. Factors were nam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as 'Urban Forest Naturalness', and 'High Accessibility and Disturbed by Human.' In addition, we classified urban forests into four types in this study. The type I of urban forest is a large forest and has high naturalness such as Mt. Bukhan and Mt. Gwanak. The type II is fragmented to large forests by developmental projects. The type III is flat and has high accessibility such as forest behind Seonjeongneung. The type IV is located near residential area such as Mt. Ansan, Mt. Inwang and Mt. Bonghwa. It is possible to set up recreational area for citizens and ecological networks for species by the research of the urban forest type. The results of the study, classification of urban forest types and its application, contribute to provide a guide for local governments to create or manage urban forests effectively.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이용한 지상부 바이오매스의 공간규모 확장 (Spatial Upscaling of Aboveground Biomass Estimation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Forest Type Map)

  • 김은숙;김경민;이정빈;이승호;김종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455-465
    • /
    • 2011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산림의 탄소저장 능력을 정량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부바이오매스의 공간적 분포현황을 제공하기 위해 국가산림자원조사 표본점 단위로 계산된 지상부바이오매스를 임상도를 이용하여 공간규모를 확장(upscaling)하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세/준우세목 수고와 수관 밀도를 설명변수로 하는 지상부바이오매스 회귀모델과 영급을 설명변수로 하는 우세/준우세목 수고 회귀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회귀모델들과 임상도 속성정보(수종, 수관밀도, 영급)을 결합하여 지상부 바이오매스 공간분포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단양군 산림의 지상부바이오매스는 6,606,324 ton으로 추정되었고, 표본점 기반 통계에 의한 추정치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도를 활용하는 본 기법은 손쉽게 대면적에 대한 바이오매스를 추정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임상도의 주요 속성이 범주형이기 때문에 산림바이오매스 공간 변이의 세밀한 추정에는 한계가 있었다.

Taxonomic Review of L. makinoana Complex (Orchidaceae; Epidendroideae; Malaxidae) in Korea

  • Jungsim Lee;Heesoo Kim;Dong Chan Son;Sang-Kuk Han;Hyuk-Jin Kim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4-54
    • /
    • 2022
  • 한국에서 자생하고 있는 Liparis 속의 11분류군 중 Liparis koreana (Nakai) Nakai을 제외하고 대부분은 경기도와 강원도부터 제주도 및 도서지방을 포함한 전국에 분포하고 있다. 최근 국내 Liparis japonica(Miq.) Maxim. 로 알려진 개체군에 대해 학명이 잘못 적용된 결과가 보고되었고, 본 개체군을 포함하여 Liparis makinoana complex에 대한 국내 개체군에 대해 재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 L. makinoana complex은 제주 Type (Type 1)과 내륙의 2 Types (Type 2, 3)으로 3 Types가 확인되었다. Type 1-3은 형태학적으로 유사하지만, 종의 형태학적 형질과 개화기, 그리고 분포지역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Type 1은 꽃이 가장 크며, 순판은 넓은 난형이고, 개화기는 5-6월이며, 제주도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ype 2는 꽃이 중간크기이며, 순판이 난형이고, 개화기는 6월 중순-7월 중순이며, 중북부지방에 주로 분포한다. 반면에, Type 3는 꽃이 가장 작고, 순판이 좁은 난형이고, 개화기가 6월 초-7월 초이며, 백두대간을 따라 분포하는데, Type 3는 Type 1과 Type 2에 비해 화서가 길다.

  • PDF

수치임상도 제작을 위한 산림항공사진 영상판독시스템 개발(Version 1.0) (Development of FAPIS(Forest Aerial Photograph Interpretation System) for Digital Forest Cover Type Mapping(Version 1.0))

  • 유병오;김종찬;김성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8-137
    • /
    • 2011
  • 본 산림항공사진 영상판독시스템 개발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제작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제작 기반 기술 및 작업공정을 최적화하여 임상도 제작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수치임상도, 항공사진, 수치지형도 등의 DB 모델을 설계하고 검색 엔진, 화면제어, 입체 판독 모드 전환, 편집 도구, 출력 레이아웃 자동 설정 등의 기능과 연동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간결하게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서 각종 수치주제도를 제작하는데 응용 및 확장할 수 있으며, 의사 결정 활용 및 신속한 산림자원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