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thinning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초

대관령 지역 경제림에 대한 내풍 안정성 분석 및 임업적 적용 (Wind Stability of Commercially Important Tree Species and Silvicultural Implications, Daegwallyeong Korea)

  • 마니 람 목탄;권진오;임주훈;신문현;박찬우;배상원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8-68
    • /
    • 2015
  • 본 연구는 대관령 특수조림지에 식재된 주요 경제수종인 잣나무, 전나무, 일본잎갈나무의 내풍 안정성을 비교 분석하여 조림지의 풍해관리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이고자 수행되었다. 각 수종별로 5개씩 총 15개의 임시 방형구($20m{\times}20m$)를 설치하였으며, 흉고직경 10cm 이상의 수목에 대하여 수고 및 흉고직경을 측정하였다. 수종별 수고/흉고직경 비율(h/d 비율)을 분석한 결과 잣나무와 전나무가 일본잎갈나무에 비해 비교적 낮은 h/d 비율을 나타내어 내풍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인다. 약 9%의 일본잎갈나무가 내풍 임계치(80) 이상의 h/d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들 수목들은 풍해에 매우 취약하여 다음 간벌 기간 동안 제거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분산분석 결과 수종별 h/d 비율과 흉고직경의 지니계수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종별 흉고직경의 지니계수는 전나무 16.4%, 잣나무 14%, 일본잎갈나무 14%로 나타났다. 낮은 h/d 비율은 수종별 형태학적 차이와 간벌 시업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목의 내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h/d 비율이 80 이상인 수목에 대한 하층간벌이 초기 혹은 임분 분화기(stand distinction phase)에 집중되어야 한다. 산림관리자와 시업자는 수목의 h/d 비율을 측정하고 임분 밀도를 관리하여 비율을 내풍 임계치인 80 이하 수준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동령림에서 수목의 흉고직경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h/d 비율이 높은 수목에 대한 택벌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낙엽송(落葉松), 리기다소나무 간벌재(間伐材)의 1, 2및 3면(面) 제재이용(製材利用) 시험(試驗)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Utilization of the Sawed Products by 1, 2 and 3-Sided Sawing Methods from Thinning of Japanese Larch and Pitch Pine)

  • 이춘택;강대헌;정두진;이용대;조재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41-48
    • /
    • 1985
  • In near future about 500,000 hectares of Japanese larch and pitch pine need thinning to improve crop-tree spacing and reasonable species composition in Korea. Although thinned trees show very little high quality wood, in fact, all the sawed products are suitable for construction and farming materials.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thinned small-diameter trees have been implemented in order to increase lumber yield and display the skeleton of farm building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Korean Conifers Log Grading System, log grade 3 was 87.4 percent in Japanese larch bolts and 95.8 percent in pitch pine bolts from thinned trees. The ability to identify defects was essential for grading logs. 2. Cutting diagrams of sawing were developed for 1-sided sawing, 2-sided sawing and 3-sided sawing by small end diameter class of bolt and cutting sizes also were found to use effectively lumber with wane. 3. Lumber recovery of Pitch pine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Japanese larch. The maximum lumber yields of pitch pine by sawing patterns were 87.2 percent for 1-sided sawing, 80.8 percent for 2-sided sawing an 64.1 percent for 3-sided sawing, up yield compared with 58.1 percent for 4-sided sawing. The lumber yield of 1, 2 and 3-sided sawing significantly was higher value than that of 4-sided sawing. 4. Lumber was inspected and graded. Lumber quality of diameter class 12cm was a little better than that of diameter class 8cm, but 90 percent of lumber in diameter c1ass 16cm fell into grade 3. The lumber grade was classified by Korean standard grades of confiers lumber. 5. Lumber from 1, 2 and 3-sided sawing was used to build the skeleton of a farm house ($53m^2$) and greenhouse ($60m^2$) in order to display more efficient use of small diameter trees from thinning 6. Total volume of timber for building a farm house was $8.1m^3$ of imported timber. Timber of $7m^3$, 70 percent of total volume would be substituted imported timber for domestic timber.

  • PDF

물순환(循環)모델에 의한 산지소유역(山地小流域)의 유출특성(流出特性) 분석(分析) - 팔공산유역(八空山流域)을 대상(對象)으로 - (Analysis of Runoff Characteristics for a Small Forested Watershed Using HYCYMODEL - At a watershed in Mt. Palgong -)

  • 박재철;이헌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564-575
    • /
    • 2000
  • 본 연구는 팔공산 산지소유역을 대상으로 기존의 물순환모델을 적용하여 산지 소유역에서의 장기유출특성을 구명하고자 설시하였다. 시험유역에서 1998년도와 1999년도의 5월에서 9월까지의 실측 강우량과 유출량의 수문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의 적합도 및 장기유출특성을 분석한 결과, 시험유역에서의 수위-유량 관계식 $Q=11.148H^{2.5867}$ ($R^2=0.9956$)를 산출하였고. 1998년 5월~9월의 유출율은 57.7%, 1999년 5월~9월의 유출율은 87.1%로 나타나 강우강도의 차이와 98년도 가을에 실시한 간벌의 영향으로 유출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물순환모델을 적용하여 15개의 매개변수값을 결정하였으며, 이들 매개변수로 장기수문곡선을 재현한 결과, 모델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순환모델로 계산한 간별 전후의 유출성분의 분석에 의하면 간벌 후에 직접유출 성분과 기저유출 성분이 각각 4%, 7% 정도 증가하고, 증발산량은 약 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물순환모델의 직접유출에 관계하는 매개변수인 $D_{50}$$K_h$, 기저유출에 관계하는 매개변수인 $K_u$를 이용하여 간벌의 영향과 모암의 풍화 정도 등 산림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잣나무림에서 천공성 딱정벌레 군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ty of Xylophagous Beetles in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Forests)

  • 최원일;김경민;고상현;남영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41-49
    • /
    • 2017
  • 2007년에 잣나무림에서 하늘소과, 바구미과, 나무좀아과에 속하는 천공성 딱정벌레 군집을 말레이즈 트랩을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하늘소류 15종 184 개체, 바구미류 17종 185개체, 6종 1,246개체의 총 1,615개체 천공성 딱정벌레가 채집되었고 우점종은 왕녹나무좀이었다. 개체수에 따라 순위를 매겼을 때, 잣나무림에서 천공성 해충과 나무좀류 군집은 나무좀아과의 한 종에 의해 우점되어 생물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잣나무림에서 간벌은 나무좀과 암브로시아좀류의 풍부도에 영향을 미쳐 특정 임분에서의 개체군들은 간벌 1년 후 밀도가 증가했으나 그 후 감소하였다.

간벌이 한국산 잣나무의 용재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inning on the Timber Quality of Pinus koraiensis Grown in Korea)

  • 정성호;정두진;박병수;전수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16-23
    • /
    • 2003
  • 간벌이 국산 잣나무 조림목의 용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잣나무 인공조림목의 양질재 생산과 효율적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강도의 간벌을 실시한 곳에서는 원목의 단위 m당 표면옹이 출현수가 감소하였고, 죽은 옹이의 비율도 감소하였으나 옹이의 크기는 커졌으며, 옹이의 상향각은 죽은옹이가 산옹이보다 컸다. 굽은 원목은 간벌을 하지 않은 곳보다 강도간벌을 실시한 곳에서 적게 출현하였고, 원주형질률은 강도간벌을 실시한 곳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지상고 3.2 m 이하 부위의 원목에서 더욱 향상되었다. 무결점재면률은 무간벌구에 비해 강도간벌구에서 향상되었으며, 원목품등은 간벌을 강하게 실시한 경우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활엽수(闊葉樹) 천연림(天然林) 지역(地域)에서 서식지(棲息地) 구조(構造)에 따른 소형(小型) 포유류(哺乳類) 개체군(個體群)의 차이(差異) (Differences in Small Mammal Populations Due to Different Habitat Structure in Natural Deciduous Forest)

  • 임신재;이우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179-184
    • /
    • 1999
  • 이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 내 국유림의 활엽수 천연림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산림 작업에 의해 변화된 서식지 구조에 따른 소형 포유류 개체군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1996년 5월에서 11월까지의 기간 동안 조사를 실시하였다. 소형포유류를 4주 간격으로 생체포획용 덫을 사용하여 7회에 걸쳐 포획-재포획 법을 통해 포획을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에서는 흰넓적다리붉은쥐(45.1%, n=64)와 대륙밭쥐(54.9%, n=78)의 2종이 포획되었는데, 흰넓적다리붉은쥐는 벌채지와 비벌채지에서, 대륙밭쥐는 간벌지와 비벌채지에서 각각 포획되었다. 월별 포획된 소형 포유류의 개체수를 비교한 결과 비벌채지에서 가장 높았으며, 벌채지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별 포획된 지역별 개체군의 동태 역시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사지역별로 성숙 개체들의 체중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흰넓적다리붉은쥐의 경우 벌채지보다 비벌채지에서, 대륙밭쥐의 경우 간벌지보다 비벌채지에서 포획된 개체들의 체중이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지 구조에 따라 소형 포유류 개체군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서식지의 산림환경구조가 소형 포유류의 종 구성 및 서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일본 북해도 낙엽활엽수림의 산림한경구조와 번식 조류 군집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Breeding Bird Community and Forest Structure at a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Hokkaido, Japan)

  • Lee, Woo-Shi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4호
    • /
    • pp.253-261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ird community and forest structure from early May to mid June, 1988 in two sites which had different forest structures due to silvicultural practice, located in the Tomakomai Experimental Forest of Hokkaido University, Hokkaido, Japan. Quantitative ahbitat analysis was applied to elucidat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tudy sites, and territory mapping method and guild analysis were used for assessment of the bird community. Dominant tree species were Quercus mongolica, Magnolia obovata, Prunus sargentii, Acer mono and Tilia japonica. Unithinned site had more foliage coverage in upper and middle layers, but in lower layer had less coverage than thinned site. Thirty four species of birds were recorded and of them only 21 species occupied territories within the study area. Dominant species were Ficedula narcissina, Phylloscopus occipitalis, Parus major, Passer rutilans, Sitta europaea and Parus palustris in the study area. The unmber of breeding species of the two sites were equal, but the species composition of breeding bird communities was different between the sites. The number of species and pairs on hole-nesting guild were greater in the unthinned site, but those on ground-nesting guild were greater in the thinned site. Canopy-nesting guil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tes. Silvicultural practice such as proper thinning appeared to be not inadequate to all of the forest birds, probably good to bush and ground nesting guild, and to tree & bush and ground foraging guild. The silvicultural practice also did not considerably affect the hole and canopy-nesting guild.

  • PDF

목재산업진흥 종합계획에 따른 목재공급 전망 (Outlook of the timber supply to the wood industry buildup master plan)

  • 이상민;김경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715-1724
    • /
    • 2015
  • 이 연구는 정부의 목재산업진흥 종합계획에 기초하여 장기적인 산림의 영급구조 변화와 국내재 공급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목재는 주벌과 수종갱신, 피해지 벌채, 솎아베기 등을 통하여서만 공급된다고 가정하였다. 영급별 면적의 동태적인 변화를 추정하기 위하여 코호트 관계식을 이용하였다. 2010년 전체 시업지의 7.7%에 불과하던 6영급 면적이 크게 증가하여 2100년에는 약 73% 정도를 차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다른 영급의 면적은 5.3~5.6%의 분포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목재공급에 있어서는 주벌에 의한 생산이 93~9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2영급과 3영급의 면적에 좌우되는 솎아베기 생산량은 면적의 감소와 함께 점진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재 예상 공급을 선행연구 결과로 제시된 국내재 예상 수요와 비교하여 자급률을 계산한 결과 2050년에 83% 정도 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체에너지원으로서 국내 산림바이오매스 자원의 잠재력과 이용가능성 (Energy potential and feasibility of utilization for domestic forest biomass as an alternative resource)

  • 차두송;오재헌;우종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110-13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대체에너지로서의 바이오매스에너지원의 정의와 특성 등을 살펴보고, 국내에서의 바이오매스 에너지원의 잠재력과 이용가능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특히 임지잔재, 간벌재 등의 목질바이오매스는 자원량이 풍부하고, 임업 임산업의 활성화와 인공림의 간벌작업을 촉진하여 산림의 공익적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에너지 자원으로서, 앞으로 지속적인 산림관리를 위한 새로운 임업의 과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정수계획법을 이용한 산림경영계획의 수립방안 연구 (A Forest Management Planning Method based on Integer Programming)

  • 원현규;김형호;정세경;우종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729-734
    • /
    • 2006
  • 이 연구는 정수계획법을 이용하여 산림경영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의사결정방법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강원대학교 연습림의 잣나무, 낙엽송, 참나무림으로 구성된 85개소의 임분으로 무육, 도태간벌, 상업적 간벌, 주벌의 최적기에 도달한 상태이다. 산림경영모델은 계획기간동안 수종별, 시업종류별로 각 임분에서 별채되는 재적을 최대화하는 1개의 목적함수와 시업횟수 시업대상지 최소수확량과 최대수확량 균등수확량 최대생산량 의사결정변수의 제한 등 7개의 제약조건으로 구성되었다. 계획기간은 10년으로 하였고 5개의 경영분기로 구분하였다. 정수계획법을 이용한 결과, 계획기간동안 85개 임분 중에서 68개 임분 (202.8ha)에 대해 산림시업을 실행하고 17개 임분(9.2ha)은 시업이 유보되며, 총 벌채재적은 $20,000m^3$으로 시업 및 벌채여부 판단과 같은 특정조건의 선택문제를 다룰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