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orest service

Search Result 92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Namhan River, Chungju-si (충주시 남한강의 관속식물상 분포)

  • You, Ju-Han;Ahn, Young-Sup;Lee, Cheol-Hee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5 no.2
    • /
    • pp.209-224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vascular plants of Namhan River located in Chungju-si, and the period of survey was from June, 2010 to June, 2011.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Neungam, Mokgye and Jangcheon around Namhan river were summarized as 225 taxa including 52 families, 164 genera, 200 species, 23 varieties and 2 forms. The rare plant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as $Aristolochia$ $contorta$ Bunge, and the endemic plant was identified as $Salix$ $koriyanagi$ Kimura.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7 taxa including $Salix$ $chaenomeloides$ Kimura, $Aristolochia$ $contorta$ Bunge, $Actinostemma$ $lobatum$ Maxim., $Artemisia$ $selengensis$ Turcz., $Cirsium$ $pendulum$ Fisch., $Alisma$ $plantago-aquatic$ var. $orientale$ Samuels. and $Carex$ $versicaria$ L..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7 taxa including $Fallopia$ $dumetorum$ (L.) Holub., $Chenopoidum$ $album$ L., $Silene$ $armeria$ L., $Brassica$ $juncea$ (L.) Czern., $Melilotus$ $alba$ Medicus, $Trifolium$ $pratense$ L., $Oenothera$ $erythrosepala$ Borb$\acute{a}$s, $Ipomoea$ $hederacea$ var. $integriuscula$ A.Gray, $Bidens$ $frondosa$ L., $Matricaria$ $inodora$ L., $Xanthium$ $canadense$ Mill.,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and so forth. In life forms, megaphanerophytes (M) were 13 taxa, 13 taxa in nanophanerophytes (N), 14 taxa inchamaiphytes (Ch), 40 taxa in hemicryptophytes (H), 20 taxa in geophytes (G), 103 taxa in therophytes (Th) and 22 taxa in hydrophytes (HH). The ratios of the naturalized index (NI), the urbanized index (UI) and the disturbed index (DI) were 20.9%, 14.6% and 18.2% in all sites.

Flora of Mt. Cheonma (Gyeonggi-do Prov.) (천마산(경기도)의 식물상)

  • Ha, Young-Ho;Yoon, Chang-Young;Kim, Sang-Chul;Kim, Joo-Hwa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9 no.1
    • /
    • pp.90-109
    • /
    • 2016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Cheonma (Namyangju-si, Gyeonggi-do, Korea), including Korean endemic, rare and endangered plants. To support the biodiversity and usefulness of this investigation, we checked the red list plants,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climate change adaptation target plants and naturalized plants, and compared composition of plant species in Mt. Cheonma with nearby mountains. Totally, we performed 22 field investigations from April 2012 to October 2014.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in this region is 433 taxa and comprised of 94 families, 266 genera, 378 species, 2 subspecies, 46 varieties, and 7 forms. Among them, there are 13 endemic plants designated by Korean Forest Service, whereas only 10 taxa are endemic species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KME). According to the IUCN criteria, there are 12 rare and endangered plants composed of 9 Least Concerned (LC), 2 Vulnerable species (VU), and one Endangered species (EN) found by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Meanwhile, 8 taxa including 7 Least Concerned (LC) were found in Red List of KME.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designated by KME were 49 taxa. In addition, there are 14 taxa in The Adaptable to Climate Change Plant List designated by KNA, while only 19 taxa are naturalized plants. Generally, there are 190 common taxa in Gwangju Mountains area, and only 51 taxa are distributed in Mt. Cheonma.

Optimal Cultural Conditions for Prothallus Propagation and Sporophyte Formation of Cornopteris crenulatoserrulata (Makino) Nakai (응달고사리 전엽체 증식 및 포자체 형성을 위한 최적의 배양조건)

  • Yeon, Soo Ho;Jang, Bo Kook;Lee, Ki Cheol;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24-24
    • /
    • 2018
  • 본 연구는 응달고사리[Cornopteris crenulatoserrulata (Makino) Nakai]의 전엽체 대량증식 및 포자체 형성을 위한 배지구성물질 및 배양토의 최적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재료는 기내에서 포자발아를 통해 획득한 전엽체를 계대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배지구성물질이 전엽체의 증식 및 형태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배지구성물질의 농도를 1/4, 1/2, 1배로 조절한 MS배지와 Knop배지를 조성하였다. 기내 배양된 전엽체 300mg을 메스로 다진 후 상기 5종의 배지에 배양하였다. 실험의 결과, 전엽체의 생체중은 Knop배지에서 3.93g으로 가장 많이 증가되었으며,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기관형성도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 선행연구에서 선발된 Knop배지를 기준으로 sucrose(0, 0.5, 1.0, 2.0 및 3.0%) 및 활성탄(0, 0.1, 0.2 및 0.4%)의 농도를 달리 첨가하여 전엽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0.5%의 sucrose를 첨가한 배지에서 생체중이 5.90g으로 증가하였으며, 활성탄은 첨가하지 않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포자체 형성을 위한 최적의 토양조건을 구명하고자, 원예상토와 피트모스, 펄라이트, 마사토 등 인공토양의 비율을 달리하여 8종류의 토양을 사각분에 충진하였으며, 기내에서 배양된 전엽체를 10초간 분쇄한 후 사각분에 1g씩 균일하게 분주하여 16주간 배양하였다. 배양결과, 원예상토를 단용으로 처리한 실험구에서 포자체가 171.5개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원예상토와 마사토를 2:1(v:v)로 혼합한 토양에서 125.0개, 원예상토, 피트모스, 마사토를 1:1:1(v:v:v)로 혼합한 토양에서 113.3개 순으로 포자체가 발생하였다. 포자체의 생육은 포자체의 형성이 가장 많았던 원예상토를 단용한 토양에 비해 원예상토와 마사토를 2:1(v:v)로 혼합한 토양에서 생체중, 엽장, 엽폭, 근장 등이 우수하였다. 한편 피트모스가 혼합된 토양에서는 전엽체와 포자체 형성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위 결과로 보아 응달고사리의 전엽체 기내배양에는 sucrose 0.5%가 첨가된 Knop배지가 적합하며, 포자체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원예상토를 단용한 토양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되었다.

  • PDF

Propagation Method for Sporophyte Formation of Woodsia ilvensis (L.) R.Br. (두메우드풀 포자체 형성을 위한 번식방법)

  • Jang, Bo Kook;Lee, Ki Cheol;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21-21
    • /
    • 2018
  • 본 연구는 북방계 식물에 속하는 두메우드풀[Woodsia ilvensis (L.) R.Br.]의 전엽체 증식 및 포자체 형성을 위한 적정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식물재료는 경상북도 의성군 일대에서 채취한 후 청주의 일반하우스에 이식하여 재배하였다. 포자 성숙기인 8월에 채종하여 발아시켰으며, 포자로부터 획득한 전엽체를 8주간 계대하면서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전엽체 300mg을 메스로 다진 후 배지농도 및 종류(Knop, 1/4, 1/2, 1 및 2MS)를 달리하여 8주간 배양하였다. 배양실의 온도는 $25{\pm}1.0^{\circ}C$, 광도는 $30{\pm}1.0{\mu}mol{\cdot}m^{-2}{\cdot}s^{-1}$(16/8h)로 조절되었다. 연구의 결과, 배지구성물질의 농도가 높았던 2MS배지에서 전엽체의 생체중이 12.4g으로 41배 증가하여 가장 높은 증식율을 나타냈다. 또한 배지구성물질의 농도가 적을수록 생체중의 증가폭도 함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포자체 형성에 적합한 토양조건을 확인하고자, 원예상토, 피트모스, 펄라이트 및 마사토의 비율을 달리한 5종류의 혼합토양을 조성하여 사각분($7.5{\times}7.5{\times}7.5cm$)에 충진하였다. 다음으로 전엽체 1g을 핸드블랜더로 10초간 분쇄 후 충진된 사각분 위에 고르게 분주하여 14주간 재배하였다. 재배환경은 온도 $25{\pm}1.0^{\circ}C$, 광도 $43{\pm}2.0{\mu}mol{\cdot}m^{-2}{\cdot}s^{-1}$(16/8h) 및 습도 $72{\pm}2.0%$로 조절되었다. 지베렐린 수용액이 포자체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선행연구에서 선발된 토양조건을 기준으로 침지농도(0, 50, 100, $200mg{\cdot}L^{-1}$)를 조절하여 1시간 침지 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재배하였다. 연구의 결과, 원예상토와 펄라이트 또는 마사토를 2:1(v:v)로 혼용한 토양에서 사각분 당 109.5, 128.8개의 포자체가 형성되었다. 한편, 피트모스가 첨가된 처리는 포자체의 형성이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지베렐린 50과 $100mg{\cdot}L^{-1}$ 수용액에 침지한 처리에서 무처리에 비해 많은 사각분 당 각 177.0, 181.7개의 포자체가 형성되었으며, 생육도 양호하였다.

  • PDF

Cultural Conditions Affecting Gametophyte Propagation and Sporophyte Formation of Lygodium japonicum (Thunb.) Sw. (실고사리의 전엽체 증식 및 포자체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조건)

  • Jang, Bo Kook;Lee, Ki Cheol;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22-22
    • /
    • 2018
  • 실고사리[Lygodium japonicum (Thunb.) Sw.]는 국내 자생하는 덩굴성 양치식물로 유인재배가 용이하여 실내 외 조경 및 관상소재로 활용이 가능하다. 한방에서는 전초를 해금사초, 포자를 해금사, 뿌리와 지하경을 해금사근이라 약재로 사용한다. 본 연구는 관상 및 약재로 이용이 가능한 실고사리의 대량생산을 위한 기내 외 번식방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식물재료는 경상북도 의성군 일대에서 성체를 수집하여 청주의 일반하우스에 식재하여 성숙한 포자를 채취하였다. 포자를 기내 발아시켜 전엽체를 획득한 다음 8주 간격으로 계대하면서 연구의 재료를 확보하였다. 전엽체의 증식과 생육에 적합한 배지를 비교 하고자, 1/4, 1/2, 1, 2MS배지와 Knop배지를 조성하여 배양하였다. 배양방법은 전엽체 300mg을 메스로 균일하게 다져서 배양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배양환경은 온도($25{\pm}1.0^{\circ}C$), 광도($30{\pm}1.0{\mu}mol{\cdot}m^{-2}{\cdot}s^{-1}$), 광주기(16/8h light/dark)로 조절되었다. 연구결과, 모든 처리구의 생체중은 초기접종량 보다 11배 이상 증가하였고, 그 중 1MS배지에서는 전엽체의 생체중이 7.3g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형태형성도 우수하여 모두 정상적인 전엽체의 형태인 하트형으로 발달이 유도되었다. 전엽체로부터 포자체 형성을 유도하고자, 원예상토, 피트모스, 펄라이트 및 마사토의 혼합비율을 5종류로 달리하여 사각분($7.5{\times}7.5{\times}7.5cm$)에 혼합토양을 충진하였다. 전엽체 1g과 증류수 25mL를 핸드블랜더로 10초간 분쇄하여 사각분의 토양표면에 균일하게 분주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후 온도($25{\pm}1.0^{\circ}C$), 광도($43{\pm}2.0{\mu}mol{\cdot}m^{-2}{\cdot}s^{-1}$), 광주기(16/8h light/dark), 습도($72{\pm}2.0%$)를 유지하면서 10주간 재배되었다. 연구결과, 원예상토 단용, 원예상토와 펄라이트 및 마사토가 2:1(v:v)로 혼합된 토양에서 각 498.0, 402.5, 482.5개의 포자체가 형성되어 사각분 면적대비 7.16개($cm^2$)가 생산되었다. 한편 포자체의 생육은 원예상토와 펄라이트가 2:1(v:v)로 혼합된 토양에서 생체중, 엽장, 엽폭, 근장 및 SPAD value 등이 우수하였다.

  • PDF

Propagation Condition for Sporophyte Mass Production of Woodsia intermedia Tagawa (좀우드풀 포자체 대량생산을 위한 번식조건)

  • Jang, Bo Kook;Lee, Ki Cheol;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23-23
    • /
    • 2018
  • 본 연구는 참우드풀과 우드풀의 중간형으로 알려진 좀우드풀(Woodsia intermedia Tagawa)의 전엽체 증식 및 포자체 형성을 위한 기내 외 번식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재료는 포자를 발아시켜 획득한 전엽체를 8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면서 확보하였다. 전엽체 증식에 적합한 배양조건을 탐색하고자, 전엽체 300mg을 다진 후 배지종류(Knop, 1/4, 1/2 및 1MS)와 배지구성물질(sucrose와 활성탄)의 농도를 달리하여 8주간 배양하였다. 배양실은 온도 $25{\pm}1.0^{\circ}C$와 광도 $30{\pm}1.0{\mu}mol{\cdot}m^{-2}{\cdot}s^{-1}$(16/8h)로 조절되었다. 연구결과, Knop배지에서 생체중이 2.4g으로 전엽체의 증식이 가장 왕성하였다. 한편 MS계열 배지는 농도에 관계없이 매우 저조한 증식을 보였다. Sucrose는 0.5%를 첨가한 배지에서 생체중의 증가량이 가장 컸으며, 활성탄은 첨가농도에 관계없이 유사한 증식수준을 나타냈다. 포자체 형성에 적합한 토양조건을 확인하고자, 인공토양(원예상토, 피트모스, 펄라이트 및 마사토)의 비율을 달리하여 5종류의 혼합토양을 조성하였다. 혼합토양을 사각분($7.5{\times}7.5{\times}7.5cm$)에 충진하고, 준비된 전엽체 1g을 10초간 분쇄한 다음 토양표면에 분주하여 11주간 재배하였다. 재배환경은 온도 $25{\pm}1.0^{\circ}C$, 광도 $43{\pm}2.0{\mu}mol{\cdot}m^{-2}{\cdot}s^{-1}$(16/8h) 및 습도 $72{\pm}2.0%$로 조절되었다. 연구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포자체의 형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원예상토와 마사토를 2:1(v:v)로 혼합한 토양에서 포트당 421.0개의 많은 포자체가 형성되었다. 다음으로 원예상토와 펄라이트를 2:1(v:v)로 혼용한 토양, 원예상토, 피트모스, 마사토를 1:1:1(v:v:v)로 혼합한 토양, 원예상토 단용, 원예상토, 피트모스, 펄라이트를 1:1:1(v:v:v)로 혼합한 토양 순으로 각 228.0, 203.3, 126.8, 91.5개 형성되었다. 따라서 좀우드풀의 포자체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원예상토와 마사토를 2:1(v:v)로 혼용한 토양에 전엽체를 분주하여 재배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loristic Study of Mt. Deoktaesan, Jinan, Jeonbuk (덕태산(전북 진안)의 관속식물상)

  • Na, Nu-Ree;Kim, Yoon-Young;Lee, Ga-ram;Song, Hye-In;Park, Jeong-Mi;Jang, Changgee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0 no.4
    • /
    • pp.378-398
    • /
    • 2017
  • Mt. Deoktaesan(1,113 m) is located in Jinan-gun Baekun-myon and Jangsu-gun Chunchun-myon. Investigated area was decided to include Mt. Deoktaesan, Mt. Seongaksan and its neighbor area,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October, 2015 in 12 days. Based on the voucher, vascular plants in Mt. Deoktaesan were 108 families 341 genera 525 species 4 subspecies 64 varieties 14 forms, totally 607 taxa, which is 12.4% of total Korean flora. Korean endemic plants were 15 species. Among these species, Populus tomentiglandulosa T.B.Lee, Campanula takesimana Nakai and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are verified as planted species. Rare and endangered plants of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10 taxa, such as Peucedanum hakuunense Nakai,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Koelreuteria paniculata Laxmann, Eranthis stellata Maxim., Eranthis stellata Maxim., Viola albida Palib.,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Campanula takesimana Nakai, Tricyrtis macropoda Miq. and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respectively. Phytogeographical special plants were totally 41 taxa, which were grade 17 taxa of garde I, 12 taxa of grade II, 12 taxa of grade III, 8 taxa of grade IV, and 1 taxon of grade V.

Floristic Study of Mt. Seounsan in Korea (서운산 일대의 관속식물상)

  • Jang, Hyun-Do;Oh, Ami;Sim, Sunhee;Leem, Hyosun;Han, Seahee;Yang, Sun-Gyu;Oh, Byoung-U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0 no.4
    • /
    • pp.435-449
    • /
    • 2017
  • A floristic study on the vascular plants from Mt. Seounsan region, which ranges from Seoun-myeon, Anseong-si, Gyeonggi-do to Baekgok-myeon, Jincheon-gun, Chungcheongbuk-do, was conducted 9 times in total, from April 2014 to October 2015. Based on the voucher specimens, it was revealed that the vascular plants in this region comprised 501 taxa: 97 families, 306 genera, 439 species, 5 subspecies, 51 varieties, and 6 forma. Among these plants, 185 taxa we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region. 8 Korean endemic species including Asarum patens (K.Yamaki) B.U.Oh, Scutellaria insignis Nakai, and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were found in this region. 5 taxa of rare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including Iris ruthenica KerGawl., Leontopodium leontopodioides (Willd.) Beauverd, and Tricyrtis macropoda Miq., were also found. 11 taxa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in the $3^{rd}$ to the $5^{th}$ degree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46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recorded, and 2 taxa of ecosystem disturbance plants, which were Ambrosia trifida L. and Aster pilosus Willd., also found.

Vegetation Structures of Stewartia koreana Forest in Mt. Jirisan (지리산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림의 식생구조)

  • Kwon, Hye-Jin;Gwon, Jae-Hwan;Jeong, Hye-Ran;Lee, Ji-Hye;Song, Ho-Ky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5 no.5
    • /
    • pp.725-735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vegetation properties, soil characteristics, and ordination of Stewartia koreana community of Mt. Jirisan in Korea. The S. koreana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S. koreana-Quercus mongolica serrata community, S. koreana-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Typical community. In specific, S. koreana-Q. serrata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two subgroups such as Carpinus laxiflora subcommunity and typical subcommunity. The S. koreana community was found out to be located at an elevation of 409m to 1,604m. The Results of importance value on the S. koreana community consisted of the following in order: 75.47% of S. koreana, the highest, 21.83% of Q. serrata, 18.65% of Q. mongolica, 18.19% of Acer pseudosieboldianum, 10.56% of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10.36% of Styrax japonicus. In the targeted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ate, exchangeable potassium, soil moisture and soil pH were 3.15~39.1%, 0.37~11.7%, 0.9~45.4mg/kg, $0.09{\sim}1.48cmol^+/kg$, 19.28~55.47% and 4.08~5.6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ommunities and soil conditions of S. koreana community by DCCA ordination method are as follows: S. koreana-Q. serrata community was found in the highest elevation and followed in order S. koreana typical community, S. koreana-Q. serrata typical subcommunity, and C. laxiflora subcommunity.

The Study for the Flora of 6 Islands Area in the Western Sea of Chungnam Province (충남 서해지역 6개 도서 지역의 식물상 연구)

  • Moon, Ae-Ra;Kim, Hyun-Jun;Park, Jeong-Mi;Kang, Shin-Ho;Jang, Chang-Gee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5 no.1
    • /
    • pp.105-122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lluminate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of islands at Chungnam.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November, 2010. Based on the voucher, vascular plants of in investigated islands were 105 families 326 genera 454 species 4 subspecies 45 varieties 9 forms, totally 512 taxa. Korean endemic plants were 6 species such as Aster koraiensis, Salix koriyanagi, Indigofera koreana, Hemerocallis taeanensis, Hepatica insularis, Philadelphus schrenckii, rare and endangered plants of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4 taxa, such as Magnolia kobus (planted), Koelreuteria paniculata, Berchemia racemosa var. magna, Glehnia littoralis respectively. Phytogeographical special plants were totally 69 taxa, which were grade I of 50 taxa, grade II of 1 axon, grade III of 11 taxa, grade IV of 4 taxa, and grade V of 3 taxa. 14 southern plants and 4 northern plant by criterion from climate change study were found in this area. Naturalized plants were 17 families 46 taxa, that was 9.1% of total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Even naturalized plants has not influence on the islands vegetation. However, regular passenger ferry between islands and increasing of visiter will be affecting vege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