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operations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6초

임도 시설에 대한 관리자 집단의 의식성향 분석(I) - 임도 활용의 문제점 및 개선방법을 중심으로 - (Preference analysis of administrator group for public forest road use (I) - Problems of forest road use and standards and suggestions for future improvement -)

  • 지병윤;황진성;정도현;권형근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341-346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tendency of the government employees who manage forest roads about problems of forest road use and how to improve them in the future using surveys. The results show there are more silvicultural operations than harvesting operations using forest roads. The main purpose of using forest roads is to transport workers; however, the road will be used more for harvesting operations in the future. The respondents wanted to be accessibility for forest operations within 200 m from road in both present and future. For silvicultural operations 1-ton vehicle is used at present, and 5-ton vehicles are expected to be used in the future. For harvesting operations 5-ton vehicle is used at present, and 10-ton vehicles are will be used in the future. The roadway width is 3 - 4 m at present, but should be 4 - 4.5 m in the future. The longitudinal gradient of roads is 7 - 10% at present, and will be below 10% in the future. The minimum curve radius of roads is 12 - 15 m at present, and will be 15 - 20 m in the future. The results provide basic data for making future forest road policies.

임도 시설에 따른 접근성 개선 및 산림작업비용 절감효과(I) - 조림 및 숲가꾸기 작업을 중심으로 - (Effect of Forest Road Network on Accessibility and Cost Reduction for Forest Operations (I) - Silvicultural Operations -)

  • 황진성;지병윤;정도현;조민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615-621
    • /
    • 2015
  • 본 연구는 산림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5개 지방청 8개 경영계획구를 대상으로 조림 및 숲가꾸기 작업에서 임도시설 전 후의 접근성과 산림작업비용의 절감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임도 및 공도로부터 500 m 이내의 사업실행 면적이 임도 시설 전 평균 28.5%에서 임도 시설 후 평균 90.3%로 약 3.2배 증가하였으며, 임도 시설에 따른 조림 및 숲가꾸기 작업에서의 산림작업비용 절감효과는 평균 576천원/km/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도시설이 원활한 산림작업을 위한 접근성 개선 및 작업비용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도의 시설효과 분석을 통해 임도 확충 정책의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임도 시설에 따른 접근성 개선 및 산림작업비용 절감효과(II) - 목재수확작업을 중심으로 - (Effect of Forest Road Network on Accessibility and Cost Reduction for Forest Operations (II) - Harvesting Operations -)

  • 황진성;지병윤;권형근;정도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4호
    • /
    • pp.456-462
    • /
    • 2016
  • 본 연구는 임도의 목재수확작업에서의 활용효과에 대한 실증적 구명을 위해 5개 지방산림청 8개 경영계획구의 실행자료를 토대로 목재수확작업에서의 임도시설 전 후의 접근성 변화와 비용절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임도 및 공도로부터 500 m 이내 목재수확 작업의 사업실행 면적은 임도 시설 전 평균 25.2%에서 시설 후 평균 88.3%로 약 3.5배 증가하였으며, 임도 시설에 따른 목재수확작업 비용 절감효과는 평균 308천원/km/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임도시설이 목재수확작업을 위한 접근성 개선 및 작업비용 절감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도 시설확충을 위한 지속적 정책추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Characteristics of Residual Stand Damages Caused by Skyline Thinning Operations in Mixed Conifer Stands in South Korea

  • Han, Sang-Kyun;Cho, Min-Jae;Baek, Seung-An;Yun, Ju-Ung;Cha, Du-So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3호
    • /
    • pp.197-204
    • /
    • 2019
  • A tree-length harvesting system using the HAM300, which is mounted on a farm tractor prototype machine, have been recently introduced in South Korea for thinning old (>30 years) forests. However, no research has previously been conducted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idual stand damage associated with cable yarding systems on thinning treatment stands in South Korea. Therefore, there were assessed on the degree and quantity of residual stand damage caused by felling and yarding process to broaden the knowledge of residual stand damage on semi-mechanized skyline thinning opera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scar size, direction, area, shape type and their distribution on the residual stand damage caused by felling and yarding operations. Damage to residual trees was generated for 7.4% and 6.9% of residual trees in felling and yarding operations, respectively. Damaged direction of scars was located in front-side (38.9%) and up-side (34.7%) for felling operations while the highest scar damage was found on down-side (44.6%) for yarding operations. Scar heights of felling damage were higher than those of yarding damage. In yarding operation, the most of the scars was located within l0m from the center of the skyline corridor. These results should be useful information for forest managers and landowners to reduce residual stand damages and retain valuable timber volume from thinning treatments.

숲가꾸기를 위한 풀베기와 칡덩굴제거작업의 근골격계 부담 분석 (Postural Risk Assessment of Weed and Kudzu Removal Operations)

  • 이은재;백승안;조구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2호
    • /
    • pp.195-201
    • /
    • 2020
  • 산림작업은 비정형화된 작업 환경(날씨, 지형)에서 신체의 반복적인 동작 등으로 인하여 근골격계 질환에 취약하다. 특히, 조림목의 원활한 생장을 위해 실행하는 풀베기와 칡덩굴제거 작업은 여전히 많은 인력이 투입되고 있으며, 이 작업자세에 대한 인간공학적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WAS (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예초기를 이용한 풀베기 작업과 낫·손톱을 이용한 칡덩굴제거 작업의 신체부담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작업자세 위험도 지수(Postural risk index: PRI)를 통하여 산림작업의 위험 정도를 분석하였다. 풀베기와 칡덩굴제거 작업원에 대한 작업자세를 분석한 결과, 칡덩굴제거작업의 작업자세 위험성이 풀베기작업에 비해 통계적으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칡덩굴을 제거하는 작업 과정 중에서 다리에서는 두 다리를 구부리는 자세와 무릎 꿇는 자세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근골격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결과는 풀베기와 칡덩굴제거 작업원의 작업부하 및 근골격계 질환을 저감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벌도 및 가지제거작업에서 세 가지 인간공학적 위험 평가기법의 비교분석 (Comparison of Three Ergonomic Risk Assessment Methods (OWAS, RULA, and REB A) in Felling and Delimbing Operations)

  • 조민재;정응진;오재헌;한상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2호
    • /
    • pp.210-216
    • /
    • 2021
  • 우리나라 모든 산업에서 근골격계질환은 작업자들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산림작업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근골격계 부담작업으로 분류된다. 특히 벌도 및 가지제거작업은 주로 인력작업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작업원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작업자세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인톱을 이용한 벌도 및 가지제거작업의 작업자를 대상으로 세가지 인간공학적 분석 도구(OWAS, RULA, REBA)를 이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평가기법별 작업자세에 대한 영향인자를 분석하였다. 벌도와 가지제거작업자세의 위험도는 RULA, OWAS, REBA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대부분 2-3단계로 작업자세의 즉각 변경조치는 요구되지 않았다. 하지만 벌도작업에서 허리와 다리를 굽힌자세와 가지제거작업에서 벌도목 위에서 작업하는 자세는 위험도가 매우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벌도작업의 경우 산지경사, 가지제거작업의 경우는 지상에서부터 벌도목 높이가 작업위험도 평가에 영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산림작업에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작업부하가 낮은 자세(벌도작업: 쪼그리는 자세, 가지제거작업: 허리와 다리가 곧은 자세)로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임업기능인 임금조사를 통한 직종별 기준임금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Standard Wage System for Forestry Workers in Korea)

  • 한상균;한한섭;우희성;최병구;조민재;차두송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632-639
    • /
    • 2015
  • 산림작업은 험준한 산악지에서 주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임업노동자에게 높은 위험수준을 부담하는 노동형태를 띠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중노동에도 불구하고 건설공사 품셈을 바탕으로 하는 비현실적인 임금체계의 적용으로 인하여 효율적인 작업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임업기능인의 노동생산성도 점차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 사유림 임업기능인 영림단을 대상으로 현행 임금체계의 문제점과 합리적인 임금체계 수립을 위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내용을 바탕으로 임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새로운 직종별 적정 임금체계를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는 총 19문항으로, 총 659명에게 우편을 통하여 실시하였고, 이 중 28.5%의 회신율을 보였다. 조사된 영림단의 평균 적정임금은 지역별로 다소차이를 보였으나, 보통인부가 97,680원/일, 특별인부 127,559원/일, 벌목부는 152,403원/일로 나타났다. 이는 건설협회의 노임단가와 비교했을 때, 적정한 수준이라 판단된다. 또한 현재 분류되고 있는 3개 직종(보통인부, 특별인부, 벌목부)구분 보다는 좀 더 산림작업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5개 직종(산림환경작업부, 초급산림작업인, 중급산림작업인, 고급산림작업인, 산림장비운전사)으로 구분한다면 임업기능인을 위한 현실적이고 안정된 임금체계를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나무 임분에서의 트랙터윈치를 이용한 집재작업 생산성 및 비용분석 (The Productivity and Cost of Yarding Operations Using a Tractor-attached Winch in Pinus densiflora Stands)

  • 정응진;조민재;박정묵;조구현;유영민;차두송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574-581
    • /
    • 2019
  • 본 연구는 임목수확작업에 사용되는 트랙터윈치의 작업효율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강원도 양양군지역의 소나무 간벌지를 대상으로 트랙터윈치를 이용한 전목 집재작업에서의 작업생산성 및 작업비용을 분석하였다. 평균집재거리는 29m, 평균 임목재적은 0.15㎥으로 총 95회 집재작업 중 상향집재가 51%, 하향집재가 49%로 작업이 실행되었다. 집재작업 생산성은 하향집재 2.28㎥/hr, 상향집재 1.89㎥/hr으로 운용적 작업지연시간을 최소화하여 기계이용률을 80%로 높일 경우, 약 0.5㎥/hr 생산성이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집재작업비용은 하향집재 작업비용(44,116원/㎥)이 집재본수(본/cycle)의 차이로 인하여 상향집재작업비용(53,369원/㎥) 보다 낮게 산출되었다. 또한 상·하향 집재작업시간 예측모델식을 개발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재거리(m), 집재본수(본/cycle), 집재경사(%) 순으로 집재작업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집재방향에 따른 정확한 예측모델식을 개발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급경사지 산림작업을 위한 차량의 역학분석에 관한 연구 -차륜형 집재작업 트랙터를 중심으로- (A Study on Ground Vehicle Mechanics for Steep Slope Forest Operations - Rubber-Tired Log Skidding Tractor Operations -)

  • 정주상;정우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218-225
    • /
    • 1995
  • 이 논문에서는 임업용 트랙터의 집재작업 분석에 요구되는 역학분석모델을 제시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역학분석모델은 크게 견인목의 역학구조해석모델, 차량하중분석모델 및 주행중인 차량의 구동력과 저항력 분석모델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례분석에서는 가상적인 집재작업 시나리오를 만들어 역학적으로 중요하거나 혹은 집재생산성에 중요한 인자들에 대한 영향력분석을 통해 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사례분석은 1) 당김줄을 견인목에 묶는 방법이 견인력에 미치는 영향, 2)주행속도 및 견인목 하중이 차륜의 동력요구에 미치는 영향, 3) 2륜구동과 4륜구동 트랙터의 견인작업 수행 성능 비교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 PDF

농업용 트랙터 기반 소형 타워야더의 견인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Traction Performance Improvement Study on a Small-scale Tower Yarder Attached to a Farm Tractor)

  • 백승호;최윤성;조민재;문호성;한상균;김대현;오재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562-573
    • /
    • 2019
  • 국내 임목수확작업에 사용되고 있는 트랙터 기반 소형 타워야더는 소경재 생산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중대경재 수확 체제로 변화함에 따라 견인 성능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동력 전달방식을 기존의 기계식에서 기계 유압식으로 개선하여 타워야더의 최대 견인력을 비교·분석하였으며, 트랙터 엔진속도, 유압식 동력 전달 기구의 압력을 변수로 두고 견인 성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수준은 트랙터 엔진속도(1,200, 1,400, 1,600, 1,800, 2,000, 2,200 rpm) 6수준, 동력 전달 기구의 압력(4.9, 6.9, 8.8 MPa) 3수준으로 선정하였다. 기존의 경우 최대 견인력은 엔진 회전속도 757 rpm에서 15,146.6 N의 최대견인력을 발휘하였으나 개선된 타워야더는 엔진 회전속도 1,575 rpm에서 36,140 N의 최대 견인력이 나타나, 최대 견인력이 2.4배 증가되었다. 이에 따라 중대경재 위주의 목재수확 현장에서 작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존 장비를 재활용하여 성능 개선함으로써 견인력이 큰 집재장비의 신규 도입 및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