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management ratio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6초

영주지역 소나무림의 수관연료특성 및 수관연료량 추정 (Crown Fuel Characteristics and Allometric Equations of Pinus densiflora Stands in Youngju Region)

  • 김성용;이병두;서연옥;이영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2호
    • /
    • pp.266-272
    • /
    • 2011
  • 본 연구는 영주지역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수관층 연료특성을 분석하고, 각 부위별 연료량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영주시 장수면 일대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표준지를 선정하였으며, 매목 조사를 실시한 후, 10본의 표본목을 벌채하였다. 벌채한 소나무는 수간, 잎, 가지 순으로 분류하였고, 가지는 다시 굵기 별로 분류하여 무게를 측정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생엽의 수분함량은 119%, 수관층 수분함량은 105.3%로 나타났다. 전체 연료량에 대한 수관층 연료량 비율은 30%로 나타났으며, 수관화 확산시 이용 가능한 연료량(잎-1 cm 가지) 비율은 50.3%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수관층 연료 추정식에 대한 조정결정계수($R^{2}_{adj}$)의 범위는 0.6846-0.9246으로 나타났으며, 수관층 체적 추정식에 대한 조정결정계수($R^{2}_{adj}$)는 0.8308로 나타났다.

도시녹지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 도시 가로수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Function and Effect of Urban Openspace - Focusing on Urban Roadside Trees -)

  • 성현찬;민수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8-57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verify whether the functions and effect of roadside trees generally hewn in theory are actually realized in urban roads and how well they are performed if the function and effect are realize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3 functions and effects including roadside tree's urban landscape improvement function (green area visibility ratio), effect of introducing green area within a city, and urban green network building function. The major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green area visibility ratio of 41 study areas is currently about 25.90%. The green area visibility ratio of commercial area within downtown was lowest among 5 road types. It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raise the average green area visibility ratio up to 32.49% through roadside tree management and additional plantation. Second, in a section between Paldal Mountain and Suwon City Hall where there is no forest fragments and parks at all, a green area of 4,826 roadside trees represented 2.4% of total area and served as the only linear green area. Third, an analysis of 15 cities in Kyonggi province showed that urban forests are concentrated in outskirts. The suey showed that because forest fragments and parks exist in a form of points in urban areas, roadside trees are the only green areas that link each other and build a network.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보존·관리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for Natural Monument(No.374) Pyeongdae-ri Torreya nucifera forest of Jeju)

  • 이원호;김동현;김재웅;오해성;최병기;이종성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3-106
    • /
    • 2014
  •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입지환경, 식생자원과 이용 및 관리현황을 조사하고, 현재 적용되는 관리구역에 대한 등급을 설정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은 토지이용형태가 농업지역으로 변화하면서 대상지 주변지역으로의 개발압력에 의한 영향이 우려되며, 비자나무 숲 내 곶자왈지대는 종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요소로 원형보존의 관리계획 설정 및 지형의 변화를 야기하는 개발행위는 배제되어야 한다. 둘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소산식물상은 총 91과 263속 353종 41변종 8품종의 40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이 중 환경부 지정 법정 멸종위기식물종 중 멸종위기식물 I II급에 해당하는 식물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나 현재의 서식처 변화 및 종의 병해, 불법 남획 등에 따른 개체 소실에 의해 비자나무 숲 내 종의 절멸 위험도 존재하므로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관리방안 설정 시 우선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대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비자나무가 상관을 대표하는 식생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나, 노거수 위주의 영속적 관리와 보존전략은 빈약한 연령구조를 야기하였으며, 일부 구역의 인위적 관리에 의한 숲의 건조화, 자연적 천이에 의한 비자나무의 입지 감소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수목밀도의 조절 및 후계목 증식 등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이용에 따른 탐방로의 훼손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화산송이길의 훼손 및 분담율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화산송이의 단순한 보충보다는 현행 탐방로 외에 추가적인 관광루트 개발을 통한 분담율 완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섯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관광요소 중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는 식물적 요소는 이용에 관한 압력이 민감하게 작용하고, 비영속적인 특성상 지속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추가적 관광요소 개발과 동시에 현재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는 요소를 적극 활용하는 등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보호강도별 중요도에 따라 I등급 지역은 존속개체군의 유지와 서식처의 훼손을 방지하고, II등급 지역은 연차별 숲의 재생을 위주로 관리방향을 설정하며, III등급 지역은 비자나무 시범림이나 후계목 증식을 위한 지역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IV등급 지역은 고유 식생의 교란이 많이 발생하는 곳으로 부분별 휴식년제의 도입이 필요하다. V등급 지역은 비자나무 숲의 관광활용을 위한 서비스 공간 적지에 속한다. 상이한 등급의 지역 인접에 따른 가장자리효과에 대한 방안으로는 상대적으로 등급이 낮은 곳에 환경간섭을 피하기 위한 버퍼존의 설치와 주기적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Physiological Response of Tetrapleura tetraptera (Schum. and Thonn.) Taub. to Soil Textural Class, Moisture and Light Intensity

  • Akinyele, Adejoke O.;Wakawa, Lucky Dartsa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2호
    • /
    • pp.97-104
    • /
    • 2017
  •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on response of Tetrapleura tetraptera (Schum. and Thonn.) to soil, water and light with the view of its domestication and introduction to different ecological regions.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a factorial experiment of $3{\times}3{\times}3$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RD) with three replicates. The factors were: soil textural class (Loamy sand, Sand and Sandy clay loam), watering regime (daily, twice a week and once a week) and light intensity (100%, 75% and 50%). Soil textural class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llar diameter, stem height, number of leaflets, root/shoot ratio and relative growth rate of Tetrapleura seedlings. Seedlings grown on loamy sand recorded the highest mean value- 2.28 mm for collar diameter, stem height- 12.9 cm, number of leaflets- 19.9, chlorophyll b- $0.34mg\;mL^{-1}$, leaf relative water content- 27.4% and relative growth rate- $0.037mg\;g^{-1}\;day^{-1}$. Watering regim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llar diameter of Tetrapleura. Seedlings watered daily recorded the highest mean value- 2.25 mm for collar diameter. Light intensity significantly influenced collar diameter and root/shoot ratio. Seedlings exposed to 100% light intensity recorded higher mean value for collar diameter- 2.28 mm and root/shoot ratio- 1.481 cm. The interaction between soil textural class and light intensity significantly affected collar diameter, stem height and number of leaflets. Higher mean value for collar diameter (2.47 mm) stem height (13.25 cm) and number of leaflets (21.16) were recorded while the interaction between soil textural class, light intensity and watering regime was significant for only number of leaflets. Tetrapleura exhibited some level of tolerance to different soil texture, drought and light intensity. Therefore, Tetrapleura has the potentials to be raised in different ecological zones characterized by difference in soil, rainfall and amount of sunshine.

저토심 옥상녹화시스템에 따른 토양수분의 변화 (Change Soil Water and Evaluation with Respect to Shallow-Extensive Green Roof System)

  • 박준석;박지혜;주진희;윤용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843-848
    • /
    • 2010
  •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soil water with respect to soil thickness and soil mixture ratio, in order to effectively carry out an afforestation system for a roof with a low level of management and a light weight. Soil hardness tended to increase as sand particle was increase regardless soil thickness and soil porosity had more higher artificial soil than natural soil mixture. In case of soil pH, natural soil mixture had between 6.7 and 7.4, and artificial soil mixture had 6.0~6.8. Organic matter, electrical conductance and exchangeable content were highest in $L_{10}$, which it had the highest leafmold ratio. Soil moisture tension(kPa) in 15cm soil thickness was observed natural soil mixture had a considerable change but artificial soil mixture had a gradual change when non-rainfall kept on. In the experimental $L_{10}$, $S_{10}$, $S_7L_3$ and $S_5L_5$ object, the amount of moisture tended to rapidly decrease. However, in the experimental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and $P_4P_4L_2$ objects, which contained pearlite and peat moss, the amount of moisture tended to gradually decrease. As a result, the use of a artificial soil mixture soil seems to be required for the afforestation of a roof for a low level of management.

강원지역 백두대간 천연림의 군집분류 및 천이경향 -향로봉, 오대산, 석병산, 두타산, 덕항산, 함백산 등을 중심으로-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Successional Trends in the Natural Forest of Baekdudaegan in Gangwon Province -Focused on Hyangrobong, Odaesan, Seokbyeongsan, Dutasan, Deokhangsan and Hambaeksan-)

  • 황광모;이정민;김지홍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41-55
    • /
    • 2012
  • 본 연구는 강원지역 백두대간 천연림의 군집분류와 천이경향을 추정하기 위해 점표본법을 이용하여 향로봉, 오대산, 석병산, 두타산, 덕항산, 함백산 등 총 6개 지역에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식생자료를 바탕으로 Cluster 분석을 이용하여 6개 지역 총 28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으며 군집의 속성을 밝히기 위해 수종구성과 종다양성을 분석하였다. 분류된 28개 군집의 상층 수종구성을 바탕으로 군집의 이름을 명명하였고, 이들 군집을 중생혼합림, 기타활엽수림,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림, 소나무-신갈나무군집, 소나무림, 거제수나무군집, 신갈나무-잣나무군집등 총 8개의 산림유형으로 집약하였다. 종다양성지수가 낮은 소나무림, 소나무-신갈나무군집 등은 석병산, 두타산, 덕항산 등과 같이 해발고도 1,000 m 내외의 낮은 지형의 백두대간에 위치하였다. 종다양성지수가 높게 나타난 중생혼합림, 기타활엽수림 등은 향로봉, 오대산, 함백산 등과 같이 해발고도 1,400 m 내외의 비교적 높은 백두대간에 위치하였다. 천연활엽수림 내 신갈나무의 구성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종다양성지수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림의 송이발생지와 능이발생지의 토양환경 비교 (Comparison to Soil Environment of Tricholoma matsutake and Sarcodon aspratus at Uljin Sokwang-ri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Forest)

  • 허태철;주성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0권
    • /
    • pp.77-82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produce useful material for the forest multiple use and forest protection by physico-chemical soil analysis of studied area in Sokwang-ri Forest Genetic Resource Protection Forest which was divided into in standard plots include Tricholoma matsutake and Sarcodon aspratus production forest. The result of physico-chemical soil analysis represented as following. The soil type of T. matsutake production forest was Dry brown forest soil(B1), while on the other hand the soil type of S. aspratus production forest was Moderately moist brown forest soil(B3). Between T. matsutake and S. aspratus production forest did not result in significant changes in soil pH(5.22-5.60) and soil depth(47cm), but available phosphorus,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were different results. CN ratio of the fairy ring of T. matsutake was quite lower than that in S. aspratus production forests, which indicated that T. matsutake production forest was built up in the relatively immature soils which contain little organic matter. Generally, it was predicted that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succeeded to deciduous tree forest in stable soil environments. To conserve these T. matsutake and S. aspratus production forest, the contents of available phosphorous and exchangeable cation should be increased by continuous soil environment management and it should be established the secondary growth forests of old age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trees as soon as possible.

  • PDF

공간보간법 적용을 통한 산림 종다양성지수의 공간적 추정 - 제1차 산림의 건강·활력도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Spatial Estimation of Forest Species Diversity Index by Applying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 Based on 1st Forest Health Management data-)

  • 이준희;류지은;최유영;정혜인;전성우;임종환;최형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14
    • /
    • 2019
  • The 1st Forest Health Management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health of the forests in Korea.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health of the forests, which account for 63.7% of the total land area in South Korea,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spatialize the results of the survey beyond the sampling points. In this regard, out of the sample points of the 1st Forest Health Management survey in Gyeongbuk area, 78 spots were selected. For these spots, the species diversity index was selected from the survey sections, and the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was applied. Inverse distance weighted (IDW), Ordinary Kriging and Ordinary Cokriging were applied as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Ordinary Cokriging was performed by selecting vegetation indices which are highly correlated with species diversity index as a secondary variable. The vegetation indices - Normalized Differential Vegetation Index(NDVI), Leaf Area Index(LAI), Sample Ratio(SR) and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SAVI) - were extracted from Landsat 8 OLI. Verification was performed by the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with Mean Error(ME) and Root Mean Square Error(RMSE). As a result, Ordinary Cokriging using SR showed the most accurate result with ME value of 0.0000218 and RMSE value of 0.63983. Ordinary Cokriging using SR was proven to be more accurate than Ordinary Kriging, IDW, using one variable. This indicates that the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using the vegetation indices is more suitable for spatialization of the biodiversity index sample points of 1st Forest Health Management survey.

다변량 통계 분석법의 연속 적용에 의한 서부 지리산 천연림의 산림 피복형 분류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Cover Types by Consecutive Application of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in the Natural Forest of Western Mt. Jiri)

  • 정상훈;김지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3호
    • /
    • pp.407-414
    • /
    • 2013
  • 본 연구는 다변량 통계 분석법을 이용하여 지리산 서부 천연림을 대상으로 산림 피복형을 분류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점표본법에 의한 식생자료를 바탕으로, 수종-표본점 곡선, 계층적 군집분석, 지표종분석, 다중판별분석 등의 다변량 통계 분석법을 이용하여 식생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종-표본점 곡선에서는 산림 피복형 분류에서 전혀 영향력이 없는 수종들을 예외값으로 제거하였다. 예외값을 제외한 산림식생정보를 바탕으로 계층적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지를 2~10개의 클러스터로 분류하였으며, 지표종분석을 통해 연구대상지의 적정 클러스터 수는 7개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다중판별분석을 실시하였고, 91.3%가 정확하게 분류되어, 연구대상지 산림 피복형의 개수는 7개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클러스터 상층의 우점수종 비율에 따라 신갈나무순림, 중생혼합림, 신갈나무-졸참나무림, 구상나무-신갈나무림, 들메나무림, 졸참나무림, 서어나무림으로 산림 피복형을 명명하였다.

1926년부터 1936년까지의 일제(日帝)의 한국(韓國) 국유림정책(國有林政策)에 관한 연구(硏究) - 조선임정계획서(朝鮮林政計劃書)(1926)중 요존국유림(要存國有林) 관련계획(關聯計劃)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Korean National Forest Policy from 1926 to 1936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Indispensable National Forest in [Choson Forestry Policy Plan] -)

  • 배재수;윤여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381-395
    • /
    • 1996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임정에 큰 영향을 끼친 "조선임정계획(朝鮮林政計劃)"의 요존국유림 관련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1926년부터 1936년까지의 일제의 한국 국유림정책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시기 국유림정책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던 조선임정계획(朝鮮林政計劃)의 계획과 실적을 비교하여 그 성격을 도출하였다. 조선임정계획은 1)제1차 세계대전 이후 목재수요의 급증에 대비하기 위해 2)분산된 국유림관리조직의 통합을 위해 3)일본에서의 영림국서제도(營林局署制度)의 설치에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 1)수입의 보속만을 추구한 사업안 2)10년만에 두배로 늘어난 벌채량 3)벌채적지의 13%만의 인공조림 4)산림축적의 감소가 대부분 국유림에서 이루어졌다는 점 5)영림서의 계속적인 축소 통폐합 6)국유림에서의 막대한 이득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이러한 임정계획 및 실적을 통해, 1926년부터 1936년까지의 기간은 '보속적인 산림경영'을 추구했다기보다는 증벌을 통한 제국주의의 초과이윤을 실현한 '국유림 수탈정책'의 실현에 그 목적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