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fuel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37초

숲가꾸기 사업이 소나무림의 수관연료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est Tending Works on the Crown Fuel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S. et Z. Stands in Korea)

  • 김성용;이병두;서연옥;장미나;이영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359-36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숲가꾸기 사업이 소나무림의 수관연료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숲가꾸기 사업이 실시된 경북 영주지역 소나무림(Pinus densiflora)과 천연림 상태의 봉화지역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각 지역마다 10본의 표본목을 벌채하여 수관층 연료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영주지역의 수관층 수분함량은 103.6%, 봉화지역은 104.4%로 나타났으며, 총 수관층 연료에서 수관화 확산 시 연소될 수 있는 이용 가능한 연료의 비율은 영주지역 50.3%, 봉화지역 62.0%로 나타났다. 숲가꾸기 사업이 실시된 영주지역 소나무림의 수관연료밀도는 천연림 상태의 봉화지역 소나무림에 비해 평균 $0.11kg/m^3$ 낮았으며, 지하고는 평균 1.3 m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숲가꾸기 사업이 실시된 영주지역 소나무림이 천연림 상태인 봉화지역 소나무림에 비해 산불 발생 시 수관화로의 전이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n FOREST FIRE SPREADING ALGORITHM with CALCULATED WIND DISTRIBUTION

  • Song, J.H.;Kim, E.S.;Lim, H.J.;Kim, H.;Kim, H.S.;Lee, S.Y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 /
    • pp.305-310
    • /
    • 1997
  • There are many parameters in prediction of forest fire spread. The variables such as fuel moisture, fuel loading, wind velocity, wind direction, relative humidity, slope, and solar aspect have important effects on fire. Particularly, wind and slope factors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parameters in propagation of forest fire. Generally, slope effect cause different wind distribution in mountain area. However, this effect is disregarded in complex geometry. In this paper, wind is estimated by apply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o the forest geometry. Wind velocity data is obtained by using CFD code with Newtonian model and slope is calculated with geometrical data. These data are applied fer 2-dimentional forest fire spreading algorithm with Korean ROS(Rate Of Spread). Finally, the comparison between the simulation and the real forest fire is made. The algorithm spread of forest fire will help fire fighter to get the basic data far fire suppression and the prediction to behavior of forest fire.

  • PDF

영동지역 봄철 소나무림에서 강우후 지표연료 직경별 연료습도변화 예측모델 개발 및 검증 (The model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for surface branch wood fuels moisture prediction after precipitation during spring period at the east coast region)

  • 이시영;이명욱;권춘근;염찬호;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34-437
    • /
    • 2008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fuel moisture variation prediction model on each day after precipitation during a spring forest fire exhibition period. For this research, we selected plots in pine forest on Sam-Chuck si and Dong-hae si in Kangwon do according to a forest density(low, mediate, high) and classified a surface woody fuel by a diameter.(below 0.6cm, $0.6{\sim}3cm$, $3{\sim}6cm$, and above 6cm). A validity of this model was verified by applying a fuel moisture variation after precipitation in this spring. In the result, $R^2$ was $0.76{\sim}0.92$. This model will be a useful for improvement of a forest fire danger rate forcast through a prediction a fule moisture in forest.

  • PDF

숲 가꾸기 실행 및 미실행지의 임분특성에 따른 산불위험도 분석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the forest characteristic of thinning area and non-thinning area)

  • 이시영;이명욱;채희문;원명수;염찬호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217-222
    • /
    • 2007
  • Since 1973, we attain a successful achievement of nation-wide afforestation such as a thick forest and heaped-up leaves. However, the higher of the formation density in forest, the more dangerous to be a large-scale forest fire whenever fire occurs. According to the type of forest in the country, 42% of the forest is occupied by conifer forest that are highly flammable, and the distribution of forest age is in a transition period from immature forest to mature one. And the structure is too weak to the forest fire for the occurrence and spread because there are too many scrub and shrub trees in the forest. As a matter of course, it is on the increase of the thinning-forest that can shift the forest structure from a weak on forest fire to a strong one nowaday. In other words, thinning-forest has primary purposes such as the promotion of producing forest trees, production of excellent timbers, and build-up of public forest area. Furthermore, in some reports, the reduction of ladder fuel by eliminating the vertical/horizontal fuel in a forest and ensuring spaces in the forest can decrease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 and the risk of spread of burning as by-effect. Therefore, this study is designed to clarify the relation with the risk of forest fire by an on-spat-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composition on the thinning and the non-thinning area.

  • PDF

Fuel Properties of Woody Pellets in Domestic Markets of Korea

  • Oh, Jae-Heun;Hwang, Jin-Sung;Cha, Du-So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4호
    • /
    • pp.362-369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physical properties and combustion gas characteristics for 8 types of wood pellets (4 domestic and 4 imported products) distributed in the domestic market. Results showed that most pellet types were first-grade pellets in the wood pellet quality standards in Korea with the exception of 3 pellet types from K company (second-grade in mechanical durability), G company (off-grade in nitrogen content) and P company (second-grade in ash percentage). Mixed pellets which contained more lignin and sap content were higher in mechanical durability (%) than that of white pellets. From the combustion gas analysis results, NOx emitted from all pellets combustion was at acceptable levels for national emission standard of the Clean Air Conservation Act except for pellets from G company. In addition, CO levels from all types of wood pellets were acceptable except for pellets from D company and domestic pellets were higher CO levels than imported pellets. These results indicate the higher CO levels in domestic pellets due to the usage of forest thinning materials including logging debris which usually had the high content of bark.

산림 바이오매스의 에너지 활용을 위한 타당성 분석 (The feasibility analysis for energy utilization of forest biomass)

  • 강현구;박기철;김래현
    • 에너지공학
    • /
    • 제23권1호
    • /
    • pp.7-2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48만ha에 걸쳐 연료림으로 조성되어 있는 리기다소나무를 에너지연료로 활용하기 위해 최적의 생산시스템을 개발하고 이에 따른 공급가격과 전기 열 판매가격 및 이용률 등을 고려한 우드칩 연료한계가격을 산출하였으며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른 경제성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열 및 발전 전용시설에서의 경제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연료공급가격이다. 열 전용시설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든 생산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우드칩 연료의 활용이 가능하며 발전 전용시설에서는 생산비가 가장 높은 연료사용에는 일부 한계가 있으나 전기 판매가격이 현재의 SMP(pitch pine : 계통한계가격)보다 높아지거나 이용률이 80%이상으로 되는 경우 모두 활용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더욱이 RPS제도 시행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인증서(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편익과 온실가스 절감효과로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편익 등을 고려할 경우 충분히 활용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내 발전부문에서의 RPS 공급의무율 이행을 위해서 산림 바이오매스의 활용이 적극 권장된다.

잣나무림의 수관연료량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 개발 (Allometric Equations for Crown Fuel Biomass of Pinus koraiensis Stands in Korea)

  • 김성용;장미나;이병두;이영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104-11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35년생 잣나무림을 대상으로 수관층 연료량을 추정하기 위한 상대생장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가평군, 강원도 홍천군, 정선군 국유림 내 잣나무 조림지를 대상으로 총 24본의 표본목을 벌채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관연료량 추정을 위해 수간, 잎, 가지로 분류하여 중량을 측정하였으며, 가지는 고사여부와 직경 크기별로 세분화하여 구분하였다. 각 부위별 수관층 연료량을 보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부위는 잎(16.6 kg, 34.7%)으로 나타났으며, 2~4 cm 가지(9.0 kg, 18.9%), 1~2 cm 가지(6.6 kg, 13.8%), 0.5 cm 이하 가지(5.1 kg, 10.6%), 0.5~1 cm 가지(4.9 kg, 10.3%), 고사 가지(3.2 kg, 6.8%), 4 cm 이상 가지(2.4 kg, 4.9%)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수관 부위에서 $lnWt={\beta}_0+{\beta}_1lnD$ 식이 조정결정계수가 가장 높고($R^2_{adj}=0.6021{\sim}0.9742$) 표준추정오차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S.E.E. = 0.2018~0.7271). 한편, 수관화 확산 시 연소가능한 수관연료(잎과 직경 1 cm 이하 가지)의 비율은 총 수관에서 55.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수관화확산확률식의 개발 (Development of Crown Fire Propagation Probability Equation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 유계선;이병두;원명수;김경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2
    • /
    • 2014
  • 수관화는 대형산불의 주된 확산유형으로 빠른 확산속도와 높은 산불강도의 특성을 보이며 많은 피해를 입힌다. 이 연구에서는 수관화 피해를 사전에 예측하기 위해서 수관전소 피해를 입은 지역의 지형 임상 기상 특성을 분석하여 수관화확산확률식을 개발하였다. 영덕 울진 고령 예천에서 일어난 4개의 산불피해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8개의 공간 변수를 구축한 뒤 기타연소지에 대한 수관전소지의 비를 이용하여 각 변수별 구간 가중치를 구하고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변수와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수관화확산확률은 임상이 침엽수림일 때, 250m 이상에서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복이 심할수록, 사면향은 남서 또는 남동사면일 경우, 능선일수록, 일사량이 많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고도와 경사가 낮은 곳에서는 교란현상이 많이 나타나 일정한 패턴을 보이지 않았다. 이 확률식을 통해 수관화 위험지를 사전에 분석할 수 있고, 산불방지 숲가꾸기 지역 선정 및 진화 우선 지역 선정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