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community

검색결과 1,317건 처리시간 0.027초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 식생구조 특성 및 식물상 (Subalpine Vegetation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Flora of Mt. Seoraksan National Park)

  • 이상철;강현미;김동효;김영선;김정호;김지석;박범진;박석곤;엄정희;오현경;이수동;이호영;최윤호;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8-138
    • /
    • 2022
  • 본 연구는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에서 출현하는 주요 식생의 지역별, 해발고별 식생구조를 파악하고, 식물상 목록을 작성하고자 수행되었다. 기존 아고산대 연구결과를 고찰하고, 사전조사를 통해 아고산대 식생이 처음 출현하는 지점을 남측을 기준으로 800m로 결정하고 그곳에서부터 해발고도 50m 간격으로 북측 백담사~마등령 탐방로(BD) 12개소, 서측 한계령~끝청 탐방로(HG) 13개소, 동측 신흥사~소청봉 탐방로(SA) 13개소, 남측 오색~끝청, 오색~대청봉 탐방로(OS) 39개소에 각각 조사구를 설치하여 총 77개소에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아고산대 주요 식물인 신갈나무, 사스래나무, 분비나무 등의 출현 여부에 따른 종조성과 지역 및 해발고도에 의해 신갈나무-전나무-당단풍나무군락, 신갈나무-피나무군락, 신갈나무-잣나무군락, 신갈나무-당단풍나무군락, 사스래나무-분비나무군락, 잣나무-분비나무군락, 낙엽활엽혼효군락의 총 7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조사구(100m2)당 10.68±2.98종이 출현하였고, 110.87±63.89개체가 확인되었다. 종다양성지수 분석결과,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 식생군락은 다양한 수종이 중요종으로 출현하는 혼효림으로 판단되었다. 지역별로 아고산대 주요 식물이 출현하는 최초 해발고도는 차이가 있었지만, 1,100~1,300m 구간에서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관속식물은 총 83과 193속 289종 4아종 28변종 1품종 322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법정보호종은 기생꽃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19종이 확인되었으며, 아고산식물은 5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정원내 가시연꽃(Euryale ferox Salisbury)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 식물상과 식생을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Euryale ferox Salisbury for Introduction in Garden Pond - Focusing on the Flora and Vegetation -)

  • 이석우;노재현;오현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3-96
    • /
    • 2016
  • 본 연구는 가시연꽃(Euryale ferox Salisbury)을 구성종으로 하는 연못의 식재기반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 획득을 목적으로, 전라북도 내의 가시연꽃 자생지 14곳에 대한 문헌 및 현장조사를 통해 자생지 식물상과 식생환경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시연꽃 생육지 14곳의 전체 식물상은 79과 211속 298종 2아종 30변종 6품종으로 총 33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정수성 수생식물은 17분류군, 부엽성은 가시연꽃을 포함하여 7분류군, 부유성은 5분류군 그리고 침수성 수생식물은 2분류군으로 분류되었다. 수생식물만을 대상으로 한 유사도분석 결과, 가장 유사도가 높은 정읍 한성지와 고창 석남저수지에서는 가시연꽃 이외에 부엽성식물로 연꽃과 마름이 동일하게 서식하고 있다. 따라서 가시연꽃을 주소재로 한 연못 조성시 연과 마름은 동반식물로서 생태적 지위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2. 생육형별 수생식물의 출현빈도를 살펴보면, 가시연꽃 이외에 정수성식물인 뚜껑덩굴과 갈대가 각각 11회 출현하여 78.6%의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부엽성 수생식물인 마름이 10회(71.4%), 줄이 8회(57.1%) 출현하였다. 이밖에 고마리, 겨풀, 마름, 개구리자리, 물피, 매자기, 연꽃, 어리연꽃의 순으로 출현율이 높았다. 3.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조사대상 가시연꽃 생육지에서 발견된 희귀식물은 가시연꽃과 함께 취약종(VU)인 통발, 이외에 약관심종(LC)인 새박, 자라풀, 물질경이 등 3분류군으로 도합 5분류군이 확인되어 가시연꽃 활용 연못시 도입이 가능한 희귀식물로 분류되었다. 4. 가시연꽃 자생지의 군락유형은 대부분 가시연꽃군락이었으며 군산의 대위저수지는 마름+가시연꽃+어리연꽃군락으로 정의하였다. 자생지별 가시연꽃의 녹피율은 0.03에서 36.50으로 상당히 큰 편차를 보였으며 평균 녹피율은 9.8로 계상됨에 따라 연못 조성시 가시연꽃의 녹피율을 10% 이하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판단된다. 5. 조사대상지별 가시연꽃 자생지와 인접한 식생군락으로는 나도겨풀군락 3개소, 마름군락과 줄군락이 각각 2개소, 연꽃군락, 어리연꽃+부들군락, 마름+연꽃군락, 자라풀군락, 나도겨풀+털물참새피군락 1개소 그리고 가시연꽃+마름군락 1개소 등으로 각 저수지마다 입지조건 등에 따라 다소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가시연꽃을 주요 구성종으로 하는 연못의 식재설계시 동반 부엽식물의 선정 및 식피율 배분에 반영해야 할 지침으로 제안한다.

경주국립공원 내 암곡습지 유역권 식생분포 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of 'Amgok' Wetland,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 김지석;최송현;홍석환;강현미;배중남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81-395
    • /
    • 2013
  •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 총 6회에 걸쳐 경주국립공원 토함산지구 내 암곡습지 유역권의 현존식생 및 출현식물을 조사하였다. 출현식생 분석결과 습지를 제외한 유역권 대부분이 과거 식생에 대한 인위적 훼손이 일어났던 지역이었다. 그럼에도 습지:배후의 비율이 약 1:10으로 습지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출현 식물종 조사결과 65과 163속 184종 1아종 39변종 8품종으로 총 23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출현식생 특성상 중간습원의 형태를 띠고 있었으며 귀화식물은 총 17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습지지역에서는 2종만이 출현하였다. 본 대상지는 유역권에 비해 습지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고 유역권의 인위적 교란에도 불구하고 습지가 건강하게 유지되고 있는 지역이었다. 단습지주변에 일부 버드나무와 신나무 등 목본식물의 유입이 일어나고 있어 지속적 관심이 요구되었다.

Secondary human impacts on the forest understory of Ulleung Island, South Korea, a temperate island

  • Andersen, Desire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2호
    • /
    • pp.202-211
    • /
    • 2019
  • Oceanic islands are biologically important for their unique assemblages of species and high levels of endemism and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hange because of their isolation and small species source pools. Habitat destruction caused by human landscape development is generally accepted as the main cause of extinction on islands, with exotic species invasion a secondary cause of extinction, especially on tropical islands. However, secondary impacts of human development (e.g., general degradation through resource use and exotic species introduction) are understudied on temperate islands. To determine secondary impacts of human development on the understory vegetation community, 90 field sites on Ulleung Island, South Korea, were sampled during the summer of 2016. Understory vegetation was chosen as it is a proxy for ecosystem health. Diversity and percent cover of introduced, native, and endemic species were tested against proximity to developed areas and trail usage using a model selection approach. Diversity was also tested against percent cover of three naturalized species commonly found in survey plots. The main finding was that distance to development, distance to town, and trail usage have limited negative impacts on the understory vegetation community within best-supported models predicting native and introduced cover and diversity. However, endemic species cover was significantly lower on high usage trails. While there are no apparent locally invasive plant species on the island at the time of this study, percent cover of Robinia pseudoacacia, a naturalized tree specie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lot diversit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orests on Ulleung Island are not experiencing a noticeable invasion of understory vegetation, and conservation efforts can be best spent preventing future invasions.

열대 홍수림 주변 해역 환경 전이대의 식물플랑크톤 및 박테리아의 분포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and Bacteria in the Environmental Transitional Zone of Tropical Mangrove Area)

  • 최동한;노재훈;안성민;이미진;김동선;김경태;권문상;박흥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415-425
    • /
    • 2013
  • In order to understand phytoplankton and bacterial distribution in tropical coral reef ecosystems in relation to the mangrove community, their biomass and activities were measured in the sea waters of the Chuuk and the Kosrae lagoons located in Micronesia. Chlorophyll a and bacterial abundance showed maximal values in the seawater near the mangrove forests, and then steeply decreased as the distance increased from the mangrove forests, indicating that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se microorganisms changed greatly in lagoon waters. Together with chlorophyll a, abundance of Synechococcus and phototrophic picoeukaryotes and a variety of indicator pigments for dinoflagellates, diatoms, green algae and cryptophytes also showed similar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suggesting that phytoplankton assemblages respond to the environmental gradient by changing community compositions. In addition, primary production and bacterial production were also highest in the bay surrounded by mangrove forest and lowest outside of the lago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ngrove wat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energy production and nutrient cycling in tropical coasts, undoubtedly receiving large inputs of organic matter from shore vegetation such as mangroves. However, the steep decrease of biomass and production of phytoplankton and heterotrophic bacteria within a short distance from the bay to the level of oligotrophic waters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mangrove waters does not extend far away.

조재년도가 다른 잣나무조림지 토중 톡톡이군집의 계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easonal Changes of Collembolan Community in the Plantations of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Which is Planted in Different Year)

  • 김향훈;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01-209
    • /
    • 1989
  • 본 실험은 나이가 다른 잣나무조림지에서의 토중 톡톡이 군집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조림후 1~2년된 지역에서 11~12년된 지역을 1986년 7월부터 1987년 6월까지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적인 톡톡이군집?조는 각종에 따라 심한 집중분포현상을 나타내고 있고, 동일종도 지역에 따라 다른 분포양식을 나타낸다. 조림연도별 군집구조는 조림연도가 오랠수록 종다양도가 높아지고, 밀도와 종자도 안정되어 있었다. 조림후 2년이 지난 1985년조림지에서는 동경사면인 I구가 서면사면인 II구보다 종다양도가 높았다. 계절적 군집구조는 온도가 높은 8월과 유기물함량이 가장 많은 10월에 밀도와 종류가 높은데 이는 톡톡이군의 활동이 온도, 습도, 유기물량에 형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농촌중심지 마을만들기를 위한 계획수립과 모니터링 개선 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lanning and Monitoring for the Rural Center Village Development Project)

  • 강신길;최영완;김근호;김영주
    • 농촌계획
    • /
    • 제24권3호
    • /
    • pp.117-125
    • /
    • 2018
  • After it was reorganized as the rural center revitalization project recently, there is an opinion that the nature of the project was changed to solve long-time aspired projects of some districts unlike various projects according to the previous project purpos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revitalization project plans and operation monitoring to make rural center villages, establishes pla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rural center village revitalization project and suggests the improvement plans for monitoring. With the necessity of connectivity with centrality analysis for long-term and sustainable growth of the rural center revitalization project, the analysis on the 8 districts' centrality analysis and the function of the master plan were compared and analyzed, but there is not enough interrelation. Regarding the consulting methods for weak districts to activate facility operation after the project is implemented, the field consulting performed by the collaboration of Gyeongsangnam-do government, Gyeongnam Rural Revitalization Support Center and Gyeongnam branch of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shows 87.6% of satisfaction level, which indicates it is the most effective.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methods on resident demand survey, dimension and the reflection process of the project when preliminary plans are established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rural center village revitalization project. It is also necessary to revise relevant standards not to change preliminary plans excessively during the master plan establishment process, and to oblige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experts. The joint monitoring and consulting systems of experts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pplied from the establishment stage of the master plan, so that it can be sustainable rural center village revitalization project.

동해안 중북부 대진 해역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Daejin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 김영대;공용근;전창영;송홍인;박미선;이채성;유현일;김영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32-539
    • /
    • 2010
  • Seaweed biomass was estimated in the rocky subtidal zone of Daejin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using a destructive sampling method from February to November 2007. Monthly sampling was conducted at depths of 5, 10 and 15 m using 50 $\times$ 50 cm quadrats. A total of 73 species, including 5 chlorophytes, 25 phaeophytes, 43 rhodophytes and one seagrass were identified. Average seaweed biomass was 2,852.3 g wet wt. $m^{-2}$ and biomass values varied monthly from 1,189.8 g to 7,523.7 g. The species dominant in biomass were Laminaria japonica (481.7 g), Sargassum confusum (470.85 g), Undaria pinnatifida (422.57 g), Costaria costata (282.16 g), Odonthalia corymbifera (174.46 g), S. sagamianum (163.22 g) and S. horneri (122.18 g).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algae was characterized by S. confusum and U. pinnatifida at 5 m, L. japonica and U. pinnatifida at 10 m, and O. corymbifera and L. japonica at 15 m depth. The C/P, R/P and (R+C)/P values were 0.20, 1.72 and 1.92, respectively.

쪽방지역 주거기간과 우울증상 경험과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period of living alone in a shabby one-room and depression experience)

  • 김진성;차선화;김창수;박희정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7-51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s to substantiate a correlation between the period of living alone in a shabby one-room and a depression experience.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data from the Korea Homeless Survey carried out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2016. In the study, the data included 485 survey participants who resided in a single room. The period of single-room occupancy being divided into three groups: less than 1 year, 1 to 4 years, and more than 5 years was considered a primary independent variable. The outcome variable which represented a depression experience was measured by CESD-11(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We carried out a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o evaluate the association. Results: The rate of depression experienced in this population was 77.5%. Almost 83.9% of the participants were reported as being unable to receive the mental health counselling in the last 12 months.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subjects who were living in a single room occupancy for 1-5 years(OR=3.89; 95% CI=1.43-10.56) and more than 5 years(OR=2.71; 95% CI= 1.05-6.95)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living alone in a shabby one-room had a high correlation with experiencing depression. We propose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strategy for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poor, vulnerable and deprived population.

소나무(Pinus densiflora) 생육토양의 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납과 CO2의 영향 (Effects of Pb and CO2 on Soil Microbial Community Associated with Pinus densiflora-Lab)

  • 홍선화;김성현;강호정;류희욱;이상돈;이인숙;조경숙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6호
    • /
    • pp.551-558
    • /
    • 2006
  • 우리나라 산림의 대표적 인 침엽수인 소나무(Pinus densiflora) 생육 토양의 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CO_2$와 납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군집 수준 기질 이용도를 평가하는 CLPP (community level rhysiological profiles) 방법과 165 rDNA PCR-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방법을 활용하여 토양 미생물군집 특성을 조사하였다. 납 오염 토양(500 mg/kg-soil)과 비오염 토양에 2년생 소나무를 식재한 후, $CO_2$ 농도를 380 ppmv 혹은 760 ppmv으로 조절한 배양기에서 3개월간 생육시킨 후 6종류의 토앙 시료의 미생물 군집을 비교 분석하였다. 3개월 후 비오염 토양(CA-3M vs EA-3M)의 기질 이용도는 $CO_2$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납오염 토양(OB-3M vs EB-3M)의 경우에는 $CO_2$를 760 ppmv로 높인 토양 시료(EB-3M)의 기질 이용도가 높았다. 각 시료간의 기질 이용도를 이용하여 PCA를 수행한 결과, 각 토양시료의 미생물 군집은 납의 존재 유무에 따라 그룹화 되었다. 비오염 토양(CA-3M vs EA-3M))사이의 DGGE fingerprint 유사성은 56.3%, 납 오염 토양(CB-3M vs EB-3M) 사이의 DGGE fingerprint 유사성은 71.4%였다. 동일 $CO_2$ 농도 시료인 CA-3M과 CB-3M사이의 유사성은 53.3%, EA-3M과 EB-3M사이의 유사성은 35.8%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나무를 식재한 토양의 세균 군집 구조는 $CO_2$ 농도보다는 납 오염 여부에 의해 더 민감하게 특성화됨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