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carbon offset program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산림탄소상쇄제도의 사업참여자 인식 및 현황 분석 (Investigation of Korean Forest Carbon Offset Program : Current Status and Cognition of Program Participants)

  • 사예진;우희성;김준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1호
    • /
    • pp.165-176
    • /
    • 2022
  • 국제사회가 산림을 이용한 탄소 흡수에 주목함에 따라 국내에서는 2013년부터 산림탄소상쇄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사업 등록 건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인증을 위해 수행되어야 하는 모니터링 실적은 부진한 실정으로, 지속적인 운영에 한계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탄소상쇄제도 운영체계 파악과 심층면접 및 설문조사를 통해 사업의 장애요인을 파악 및 분석하였으며, 운영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 문항 및 장애요인을 선정하기 위해 문헌조사, 면담,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심층면접은 반구조화로 실시하였으며, Irving Seidman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인식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모니터링 이행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거래시장 시스템 부족으로 인한 거래 가능성 우려', '사업계획서 작성 및 인증 절차의 복잡성', '능력을 갖춘 전문인력(운영기관, 컨설팅업체) 부족' 등 6가지 장애요인이 확인되었으며, '사업자의 전문지식 부족'이 모니터링 이행 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산림탄소상쇄제도의 운영 개선 방향으로 주기적인 실무담당자 파악을 통한 해당 사업 정보 안내, 통합 거래정보 시스템 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국내 산림탄소상쇄 운영표준 및 VCS 방법론에 따른 산림경영 사업의 산림탄소흡수량 차이 분석 - 벌기령 연장 사업 방법론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Forest Carbon Offset Credits from Forest Management Project based on to the Korean Forest Carbon Offset Standard and the VCS Methodology - Case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Forest Management through Extension of Rotation Age -)

  • 김영환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69-375
    • /
    • 2017
  •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compare the two methodologies for forest management project through extension of rotation age: Korean Forest Carbon Offset Standard (KFOS) and Verified Carbon Standard (VCS). The amount of carbon removals and offset credits based on the two methodologies and their trend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two methodologies were found at the process of estimation of baseline carbon removals. For instance, average carbon stock during the project period was used for estimation of baseline carbon removals in KFOS, while average carbon stock change during the 100 years was used in VCS. Due to the different approach for estimation of baseline carbon removal, the estimated offset credits were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two methodologies. In this study, 15 project scenarios were considered for comparison of two methodologies : 5 major coniferous stands in Korea (Pinus densiflora in Gangwon region, Pinus densiflora in Central region,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pis, Chamaecyparis obtusa) with 3 project periods (30, 35, 40 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estimated carbon offset credits based on the KFOS methodology were higher for all 15 scenarios compared to those based on the VCS methodology. The KFOS showed a steep decline in the annual offset credit as project period gets longer, thus it is not desirable for projects with longer period. VCS is more acceptable for longer projects with a smal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oject period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Pinus densiflora in Gangwon, Pinus koraiensis, and Larix leptolepis are more desirable species for forest management project through the extension of ration age.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산림탄소사업의 이행 가능 요건에 관한 연구: 사유림 벌기령 연장형 산림경영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ditions for Facilitating Forest Carbon Project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A Forest Management Project Case with E xtended Rotation Age in Private Forests)

  • 박민영;윤여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3호
    • /
    • pp.440-452
    • /
    • 2021
  • 본 연구는 산림탄소상쇄사업에 참여한 사유림 산주가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조건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산주가 벌채 시기를 연장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늦추는 벌기령 연장형 산림탄소상쇄사업을 지속할 가능성은 산림탄소상쇄권에 대한 보상가격이 높을수록, 산림의 경제적 가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공익적 가치를 더 생각하는 산주일수록, 그리고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탄소상쇄권에 대한 수용가능 보상가격(Willingness To Accept, WTA)을 다중양분형 조건부가치평가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바, 벌기령을 60년까지 연장할 경우 17,039원/tCO2이었으며, 벌기령을 100년으로 연장할 경우 23,070원/tCO2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라 사유림의 산림탄소상쇄사업 참여와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산림탄소상쇄사업을 통해 공편익을 제공하는 사유림 산주가 부담할 수 있는 기회비용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숲의 공익가치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제도 초기에 진입한 산주들이 WTA에 대한 수용 및 참여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에, 초기 진입 산주의 지속적 참여를 이끄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Investigating the value optimized forest carbon offset projects based on forest management scenarios in South Korea

  • Woo, Heesung;Park, Joowon;Park, Soo-Kyoo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4호
    • /
    • pp.951-962
    • /
    • 2020
  • One hundred ninety-five countries reached agreement on a new climate treaty in Paris, France to reduce the carbon emissions. South Korea has been selected as a target country for reducing greenhouse gas (GHG) obligations since 2020. In this context, the Korean government developed several GHG emissions reduction programs using forests called the "Forest carbon offset scheme (FCOS)." The forest management method is one of the tools to implement FCOS. Most of the participants registered forest management as the preferred methodology to participate in the FCOS. For a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FCOS,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optimal methods by considering the cost-effective aspect of conducting the forest management as a tool to increase carbon absorp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lue optimized FCOS projects based on the forest management methodology in South Korea. Three forest management scenarios, 1) extending the final age of maturity of Pinus densiflora stands (S1), 2) extending the final age of maturity of Quercus acutissima stands (S2), and 3) reforestation with new species (Pinus densiflora to Quercus acutissima) (S3), were examined and evaluated to identify the optimal carbon absorption and value optimized economic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e scenario-based modelling indicated that S3 showed value optimized from an economical perspective, and S2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absorb carbon among the scenario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by presenting innovative approaches as a value optimized FCOS implementing tool in a GHG reduction program in South Korea.

산림을 이용한 탄소상쇄 프로그램의 해외 사례 고찰 (Study on Forestry-Based Carbon Offset Programs)

  • 이승은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7-107
    • /
    • 2010
  • 산림의 조성 및 경영, 목제품 활용, 전용방지 등을 통한 이산화탄소의 고정 사업은 대기 중의 온실가스 농도를 감소시킬 뿐 아니라, 다양한 생태적, 경제적인 부가 편익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산림 관련 활동을 통하여 획득된 이산화탄소의 순흡수량에 대하여 배출권을 발행하고 거래하는 산림 탄소상쇄 프로그램이 전 세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산림 탄소상쇄 프로그램은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이나 자발적 배출량 감축, 배출규제의 준수 등에 활용되고 있고, 국내에도 그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산림 탄소상쇄 프로그램의 주요 특성들을 비교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와 기준, 방안 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해외의 산림 탄소상쇄 프로그램의 대상 사업 및 기준, 추가성 분석 방법, 배출권의 발행 형태, 이산화탄소 흡수량의 산정 및 모니터링, 비영속성 관리 방법, 부가 편익에 대한 요구사항 등은 프로그램의 목적과 운영기관, 가치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해외의 선진사례들을 참조로 국내 산림 탄소상쇄 사업의 활성화에 기여하면서도 국제적 수준의 품질을 가지는 배출권을 생산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고, 이를 위한 방향성과 기본 조건 등을 파악하였다.

Effect of Urban Parks on Carbon and PM2.5 Reduction in Gangneung

  • Choi, Seong-Gyeong;Jo, Hyun-Ki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1호
    • /
    • pp.64-73
    • /
    • 2022
  • Increasing carbon and PM2.5 concentrations have been emerging as serious environmental issues worldw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fy carbon and PM2.5 reduction by urban parks in Gangneung, Korea. A total of 35 parks were sampled by applying a random sampling method to survey tree planting structures and the areal distribution of land cover types of urban parks. These survey data and the Green Evaluation Technique (GET) computer program were used to estimate carbon and PM2.5 reduction by trees. Mean tree density and cover in the study parks were 3.5±0.2 tree/100 m2 and 44.5±3.0%, respectively. Annual carbon uptake and PM2.5 deposition per unit area by trees averaged 2.8±0.2 t/ha/yr and 30.2±2.8 kg/ha/yr. Gangneung's urban parks annually offset the carbon emissions by 3.4% and the PM2.5 emissions by 3.5%. Thus, urban park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ducing atmospheric carbon and PM2.5 concentrations. Total annual carbon uptake and PM2.5 deposition of urban parks in Gangneung were about 1,338.2 t/yr and 14,433.2 kg/yr.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aising awareness of the role and importance of urban parks regarding carbon and PM2.5 re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