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ced hospitaliza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진폐환자 입원치료시 노력성 폐활량 및 1초 폐활량의 변화에 대한 연구 (Changes of Forced Vital Capacity and Fro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of hospitalized Pneumoconiosis Patients)

  • 천용희;정호근;문영한;정호용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9권2호
    • /
    • pp.314-321
    • /
    • 1986
  • Forced vital capacities (FVC's) and forced expiratory volumes in one second $(FEV_{1.0}'s)$ of 26 pneumoconiosis patients were checked at admission and were followed up for 10 months through hospitalization. FVC's and $FEV_{1.0}'s$ were slightly improved in 10 months after admission. The improvement of FVC'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group of large opacities in chest radiographs, FVC's and $FEV_{1.0}'s$ were lower than those values in small opacity group at admission but improved more progressively. Similar finding was noted in the group of emphysema; those values were lower at admission but improved more progressively than those of non-emphysema group.

  • PDF

Annual Change in Pulmonary Function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ombined Pulmonary Fibrosis and Emphysema and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Over a 3-Year Follow-up

  • Kim, Yu Jin;Shin, Seong Hyun;Park, Jeong-Woong;Kyung, Sun Young;Kang, Shin Myung;Lee, Sang-Pyo;Sung, Yon Mi;Kim, Yoon Kyung;Jeong, Sung Hwa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7권1호
    • /
    • pp.18-23
    • /
    • 2014
  • Background: Combined pulmonary fibrosis and emphysema (CPFE) have different pulmonary function tests (PFTs) and outcomes than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The intention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unknown differences between CPFE and IPF by a retrospective comparison of clinical data including baseline and annual changes in pulmonary function, comorbidities, laboratory finding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ause of hospitalization.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enrolled patients with CPFE and IPF who had undergone PFTs once or several times per year during a follow-up period of three years.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annual changes in the pulmonary function during the follow-up period were compared between 26 with CPFE and 42 patients with IPF. Results: The baseline ratio of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to forced vital capacity ($FEV_1$/FVC%) in patients with CPFE was lower than that in patients with IPF ($78.6{\pm}1.7$ vs. $82.9{\pm}1.1$, p=0.041). The annual decrease in $FEV_1$/FVC in the CPF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IPF. The annual decreases in diffusion capacity of carbon monoxide and FVC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symptom durations of cough and sputum were in the CPF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IPF. The serum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level at the acute st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IPF.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ospitalization rate and pneumonia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hospitalization in both study groups. Conclusion: The annual decrease of $FEV_1$/FVC was in patients with CPF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patients with IPF.

Interaction Between Bronchiolitis Diagnosed Before 2 Years of Age and Socio-Economic Status for Bronchial Hyperreactivity

  • Leem, Jong-Han;Kim, Hwan-Cheol;Lee, Ji-Young;Sohn, Jong-Ryeul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6권
    • /
    • pp.11.1-11.6
    • /
    • 2011
  • Objects: The prevalence of asthma has increased in recent decades globally.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lucidate whether hospitalization for bronchiolitis in infancy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interact for bronchial hyperreactivity during teenage years. Method: We studied 522 children age 13-14 years attending schools in rural and urban area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for bronchial hyperreactivity (BHR), defined as a provocation concentration of methacholine that causes a decrease of 20% ($PC_{20}$) in forced expiratory volume within 1 second. Clinical examination, skin prick test, spirometry, and methacholine challenge were performed on all study subjects, who provided written consent. We use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for BHR, and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hospitalization for bronchiolitis in infancy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Results: Forty-six (10.3%) positive BHR cases were identified. In the multivariate logistic analysis, as independent predictors of BHR, adjusted odds ratio of bronchiolitis diagnosed before 2 years of age in low income families was 13.7 (95% confidence interval, 1.4 to 135.0), compared to reference group, controlling for age, gender, parental allergy history, skin prick test, and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 exposure. Interaction was observed between bronchiolitis before 2 years old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on children's bronchial hyperreactivity (p-interaction=0.025).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bronchiolitis diagnosed before 2 years of age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interacted on children's bronchial hyperreactivity. Prevention of acute respiratory infection in early childhood in low socioeconomic status is important to prevent BHR as a precursor of asthma.

정신장애인의 인권과 지역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본 2016년 정신건강증진법의 평가와 과제 (The review of the 2016 amended Korean Mental Health promotion Act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ights and Inclusion of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 박인환
    • 의료법학
    • /
    • 제17권1호
    • /
    • pp.209-279
    • /
    • 2016
  • 최근 정신건강증진법의 전면 개정을 계기로 하여 정신장애인의 인권과 지역사회통합의 관점에서 개정 전 정신건강증진법의 문제점과 개정 정신건강증진법의 주요 개정 내용을 검토하고 평가하였다. 1995년 정신건강증진법의 제정과 다섯 차례의 개정은 정신장애인들을 사회로부터 분리 배제하는 과정이었으며 이를 정당화하고 제도적으로 뒷받침한 것이 정신보건법을 지배하는 의료적 관점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신장애인을 오직 치료의 대상으로만 접근하는 것은 정신장애인을 뚜렷한 효과 없는 치료를 명목으로 장기간 정신병원에 입원시키는 것을 정당화하고 그 속에 감추어져 있는 사회방위의 목적 또는 장신장애인의 부양의 목적을 은폐하는 역할을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한 것이 정신보건법상의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이다. 이러한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은 정신장애인의 입원 결정에 관여하는 부양의무를 가진 보호의무자와 정신의료기관 소속 전문의의 공공연한 이해충돌의 가능성 때문에 그 객관성과 공정성에 대하여 의심을 받아 왔을 뿐 아니라 강제입원이 신체의 자유를 구속하는 기본권제한에 요청되는 기본권 제한의 과잉금지 원칙이나 적법절차 원칙에 저촉되어 위헌적이라는 것이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정된 개정 정신건강증진법은 강제입원의 대상인 정신질환자의 범위를 축소하고,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에 있어서 정신과 전문의 2인의 진단과 입원적합성심사위원회의 심사를 추가하는 등 강제입원의 요건과 절차를 강화하였다. 이점에 있어서 입원적합성심사위원회는 강제입원을 규제하고 입원장기화를 축소하는 데에 부분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개정된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제도도 장애인의 자유와 안전에 관한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제14조 위반의 문제점을 극복하지는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로 복귀할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한 복지서비스의 지원은 다양한 항목 설정에도 불구하고 규범적으로 약화된 형태의 규정에 머물고 있는 반면, 적절한 복지서비스의 지원의 실현에 긴요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예산확보 방안 등에 있어서 불확실성이 크다. 향후 제도나 정책에 있어서 정신장애인의 인권과 사회통합을 위한 각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 PDF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Frequent Hospital Readmissions for Exacerbation of COPD

  • Kim, Mi-Hyun;Lee, Kwang-Ha;Kim, Ki-Uk;Park, Hye-Kyung;Jeon, Doo-Soo;Kim, Yun-Seong;Lee, Min-Ki;Park, Soon-Kew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9권4호
    • /
    • pp.243-249
    • /
    • 2010
  • Backgrou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isability and mortality worldwid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recurrent hospital admissions for exacerbation of COPD in Korea.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77 consecutive patients hospitalized for exacerbation of COPD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time period January 2005 to May 2008 was performed. The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the hospitalization period: clinical information, spirometric measures, and laboratory variables. In additio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co-morbidity, anxiety, and depression were reviewed. Frequent readmission was defined as 2 or more hospitalizations in the year following discharge. Results: During the 1-year period after discharge, 42 patients (54.6%) reported one hospital admission and 35 patients (45.4%) reported 2 or more hospital readmissions. Among the 35 frequent readmission patients, 4 had more than 10 readmissions.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a body mass index (BMI) <$18.5kg/m^2$, duration >36 months,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_1$) <50% predicted, arterial $CO_2$ partial pressure ($PaCO_2$) >40 mm Hg, and arterial oxygen saturation ($SaO_2$) <95% at discharge were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frequent readmissions. The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BMI <$18.5kg/m^2$, $PaCO_2$ >40 mm Hg at discharge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frequent readmissions for exacerbation of COPD. Conclusion: Frequent readmissions for exacerbation of COPD were associated with low BMI and hypercapnia at discharge.

USN을 이용한 산모 모니터링 시스템 모델 설계 (The Design of Maternity Monitoring System Using USN in Maternity Hospital)

  • 이서준;심현진;이아롬;이태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5호
    • /
    • pp.347-354
    • /
    • 2013
  •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요구하는 환자들은 증가하는 반면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전문 의료 인력은 한정되어 있어 그들에게 가해지는 업무 부담이 과중하게 부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을 이용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USN을 산부인과에 적용하여 간호사의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산모 모니터링 시스템 모델을 설계하였다. 효율성 평가는 서울소재 대학병원(S, K 병원) 두 곳을 모델로 설정하여 의사의 처방에 따른 측정 주기를 산출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간호사 1인이 12명의 환자(자연분만 6명, 자연분만 외 출산 6명)를 케어하는 경우 입원기간(5일 기준) 동안에 1,260분이 경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사의 기존 업무량과 모니터링 시스템 적용 후 업무량을 비교해 보았을 때 자연분만 산모의 경우 산모 수가 1명씩 증가함에 따라 하루에 50분씩, 자연분만 외 수술 산모의 경우 산모 수가 1명씩 증가함에 따라 하루에 130분씩 업무량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년후견제도와 정신보건법상 환자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 (Health Law and Adult Guardianship System)

  • 문상혁
    • 의료법학
    • /
    • 제16권1호
    • /
    • pp.221-254
    • /
    • 2015
  • 개정된 민법은 2013년 7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개정된 민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성년후견제도 이다. 100개 이상의 조문이 개정되었으며, 개정된 민법은 후견인이 필요한 사람들의 다양하고 복잡한 요구를 충족시카는 체계와 적법한 절차를 마련하였다. 새로운 성년후견제도는 피성년후견인의 보호를 위해 그들의 자율성을 지켜주고 공적인 개입을 최소화함으로써 피성년후견인의 존엄성과 인권을 존중하려고 했다. 새로운 성년후견제도는 세 가지 종류의 법정후견제도를 가지고 있다(성년후견제도, 한정후견제도, 특정후견제도). 정신질환자는 정신보건법에 의해 입원이 이루어지고 이때 정신질환자는 동의능력이 없는 것으로 대부분 여겨지지만 원칙적으로 정신질환자는 동의능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정신질환자와 후견인 사이에 이해상충이 발생할 경우 정신질환자의 동의가 우선된다. 정신질환자가 동의능력이 없는 경우에만 후견인의 동의에 의해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정신질환자가 동의능력이 없는 경우에는 후견인에 의해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후견감독인을 두어 후견인에 대한 감독을 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정신질환자라고 하여 입원에 대한 동의능력을 상실한 것은 아니며 우리는 정신질환자의 동의범위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해야 한다. 따라서 개정 민법에 따라 정신보건법 개정이 필요하다.

  • PDF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ronchiectasis Health Questionnaire

  • Kim, Hyun Kuk;Lee, Hyun;Kim, Sang-Heon;Choi, Hayoung;Lee, Jae Ha;Lee, Jae Seung;Lee, Sei Won;Oh, Yeon-Mo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3권3호
    • /
    • pp.228-233
    • /
    • 2020
  • Background: The Bronchiectasis Health Questionnaire (BHQ) is a simple and repeatable, self-reporting health status questionnaire for bronchiectasis. We have translated the original version of the BHQ into Korean using a standardized method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HQ (K-BHQ) with Korean patients. Methods: Stable state patients with bronchiectasis from two academic hospital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validity was assessed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BHQ scores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ssessment Test (K-CAT) scores. We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BHQ scores and other variables of the modified Medical Research Council's (mMRC) dyspnea scale, lung function, and exacerbations. Results: A total of 126 patients with bronchiectasis were enrolled. The mean age was 64.3 (standard deviation [SD], 9.7). Women comprised 53.2% of the patients. The mean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was 60% of the predicted value (SD, 18.9%); the mean K-CAT score was 17.6 (SD, 9.1). The K-BHQ scores correlated strongly with the K-CAT scores (r=-0.656, p<0.001).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K-BHQ scores and the mMRC dyspnea scale (ρ=-0.409, p<0.001), FEV1 (r=0.406, p<0.001), and number of exacerbations requiring hospitalization (ρ=-0.303, p=0.001). Conclusion: The K-BHQ is valid for assess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r health status of Korean bronchiectasis patients.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돌봄 경험 - 포토보이스방법론을 적용하여 (Caring of Family of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who uses the Psychiartric Rehabilitation Facility - Using the Photovoice Methodology)

  • 류세나;조현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47-559
    • /
    • 2022
  • 본 연구는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돌봄 경험은 어떠한지 탐색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분석결과, 정신장애인 가족의 삶은 6개의 주제에서 12개의 하위주제로 나타났다. 발병하기 이전의 삶의 모습은 전기난로처럼 따뜻하고 편안한 일상생활, 가족간 갈등으로 새장의 앵무새처럼 답답하고 힘든생활로 나타났다.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당사자를 바라보는 느낌은 앞이 잘 보이지 않는 두려움과 막막함, 삶을 꽃 피우기 전 질병에 갇힌 자녀에 대한 죄책감이었고, 강제 입원, 그리고 나의 느낌은 찢어지는 마음에 어찌할 바를 모름, 불투명한 회복과 미래의 삶에 대한 걱정으로 생각이 혼란해짐으로 나타났다. 질병이 장기간 지속되고 입·퇴원이 반복되면서 느낀 경험은 주변에 가족의 정신병이 알려질까 두려움, 반복되는 재발과 증상 악화에 대처하기 위해 안간힘을 씀으로 도출되었다.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면서 변화된 삶은 편안한 쉼터에서 마음의 위로를 받음, 미래에 대한 희망이 보이고 웃을 수 있는 여유가 생김으로 나타났고, 앞으로 기대하는 삶, 그리고 희망은 작은 변화를 보며 감사함을 느낌, 회복을 위한 따뜻한 울타리가 되길 다짐함으로 도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