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age quality.

검색결과 724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Ruminal Digestibility of a Total Mixed Ration

  • Suyeon Kim;Tabita Dameria Marbun;Kihwan Lee;Jaeyong Song;Jungsun Kang;Chanho Lee;Duhak Yoon;Chan Ho Kwon;Eun Joong Kim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76-285
    • /
    • 2022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LAB, a mixture of Enterococcus faecium and Lactobacillus plantarum) supplementation, the storage temperature, and storage period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ruminal digestibility of a total mixed ration (TMR). The TMR was prepared into two groups, namely, CON (control TMR without the LAB) and ML (supplementing a mixture of E. faecium and L. plantarum in the ratio of 1% and 2% (v/w), respectively). Both groups were divided and stored at 4℃ or 25℃ for 3, 7, and 14 d fermentation periods. Supplementing LAB to the TMR did not affec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MR except for the lactate and acetate concentration. Storage temperatures affected (p<0.05)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TMR, including pH, lactate, and acetate content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MR was also affected (p<0.05) by the storage period. During in vitro rumen fermentation study, the ML treatment showed lower (p<0.05) dry matter digestibility at 24 h incubation with a higher pH compared to the C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of TMR between the CON and ML treatment however, at 24 h, ML treatment showed lower (p<0.05) IVDMD with a higher pH compared to the CON. The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on IVDMD were not apparent at 24 h incubation. In an in vivo study using Holstein steers, supplementing LAB to the basal TMR for 60 d did not differ in the final body weight and average daily gain. Likewise, the fecal microbiota did not differ between CON and ML. However, the TMR used for the present study did include a commercial yeast in CON, whereas ML did not; therefore, results were, to some extent, compromised in examining the effect of LAB. In conclusion,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significantly affected the TMR quality, increasing acetate and lactate concentration. However, the actual effects of LAB supplementation were equivocal.

Evaluation of Growth and Yield on Transplanting time and Plant Density in ItalianRyegrass

  • Yun-Ho Lee;Hyeon-Soo Jang;Jeong-Won Kim;Bo-kyeong Kim;Deauk-Kim;Jong-Tak Yo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1-101
    • /
    • 2022
  • In recent years, due to climate change, the livestock industry has become more interested in the production of forage crops. In Korea, more than 74% of forage crops are cultivated in winter rice fields. In particular, Italian ryegrass (IRG) is depends on imports for more than 70% of its seeds. In generally, the IRG rapeseed cultivation method involves sowing from early October to mid-October by drill sowing seeding or spot seedling. However, the sowing period is delayed due to frequent rainfall during. And, same period require a lot of seeds. However, raising seedlings and transplanted IRG will overcome weather conditions and reduce the amount of seeds. This study was intended to be applied to the domestic IRG seed industry in the future through growth and quantity evaluation according to transplant time and planting density for the production of good quality IRG seeds in rice paddy fields. In this study, transplanting time (October 20, October 30, November 10) and planting density (50, 70, and 80) were cultivated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in 2021. The amount of fertilizer applied was adjusted to (N-P2O5-K2O) 4.5-12-12 (kg/10a), and then 2.2(kg/10a) of nitrogen was added each year. For the growth survey, leaf area, canopy coverage, plant length, and seed yield were investigated. Along with the transplanting time, the plant length was higher on October 20 than on October 30 and November 10. On the other hand, leaf area index changes differed depending on the transplanting time and planting density, and were particularly high on October 20, 80 density and 70 density, but similar on October 30 and November 10. 1000 seed weight showed no difference with transplanting time and planting density. On the other hand, the seed yield was 215(kg/10a) for 80 density on October 20, 211(kg/10a) for 70 density, 118(kg/10a) for 50 density, and 80 density for October 30 and November 10. and 70 density did not differ. On the other hand, the 50 density on October 30 and November 10 were 164(kg/10a) and 147(kg/10a) respectively. As can be seen from this study, the earlier the transplant, the higher the seed yield. However, the 50 density was reduced in yield compared to the 70 density and 80 density.

  • PDF

Effects of Italian ryegrass silage-based total mixed ration on rumen fermentation,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bacterial communities of growing Hanwoo heifers

  • Min-Jung Ku;Michelle A. Miguel;Seon-Ho Kim;Chang-Dae Jeong;Sonny C. Ramos;A-Rang Son;Yong-Il Cho;Sung-Sill Lee;Sang-Suk Le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5호
    • /
    • pp.951-970
    • /
    • 2023
  • This study utilized Italian ryegrass silage (IRGS) - based total mixed ration (TMR) as feedstuff and evaluated its effects on rumen fermentation, growth performance, blood parameters, and bacterial community in growing Hanwoo heifers. Twenty-seven Hanwoo heifers (body weight [BW], 225.11 ± 10.57 kg)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ree experimental diets. Heifers were fed 1 of 3 treatments as follows: TMR with oat, timothy, and alfalfa hay (CON), TMR with 19% of IRGS (L-IRGS), and TMR with 36% of IRGS (H-IRGS). Feeding high levels of IRGS (H-IRGS) and CON TMR to heifers resulted in a greater molar proportion of propionate in the rumen. The impact of different TMR diets on the BW, average daily gain, dry matter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of Hanwoo heifers during the growing period did not differ (p > 0.05). Furthermore, the blood metabolites, total protein, albumin, aspartate aminotransferase, glucose, and total cholesterol of the heifers were not affected by the different TMR diets (p > 0.05). In terms of rumen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264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s) were observed across the three TMR diets with 240, 239, and 220 OTUs in CON, L-IRGS, and H-IRGS, respectively. IRGS-based diets increased the relative abundances of genera belonging to phylum Bacteroidetes but decreased the abundances of genus belonging to phylum Firmicutes compared with the control. Data showed that Bacteroidetes was the most dominant phylum, while Prevotella ruminicola was the dominant species across the three TMR groups. The relative abundance of Ruminococcus bromii in the rumen increased in heifers fed with high inclusion of IRGS in the TMR (H-IRGS TMR). The relative abundance of R. bromii in the rumen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heifers were fed H-IRGS TMR while P. ruminicola increased in both L-IRGS and H-IRGS TMR groups.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 that the inclusion of IRGS in the TMR is comparable with the TMR containing high-quality forage (CON). Thus, a high level of IRGS can be used as a replacement forage ingredient in TMR feeding and had a beneficial effect of possibly modulating the rumen bacterial community toward mainly propionate-producing microorganisms.

Effect on quanti-quality milk and mozzarella cheese characteristics with further increasing the level of dried stoned olive pomace in diet for lactating buffalo

  • Taticchi, A.;Bartocci, S.;Servili, M.;Di Giovanni, S.;Pauselli, M.;Mourvaki, E.;Zilio, D. Meo;Terramoccia,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1호
    • /
    • pp.1605-1611
    • /
    • 2017
  • Objective: Following a previous repor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creasing level of dried stoned olives pomaces (DSOP) in the diet of lactating buffaloes on milk and mozzarella cheese yield and characteristics. Methods: Sixteen pluriparous buffaloes distributed into two groups were fed an isoenergetic (0.9 milk forage unit/kg) and isoprotein (149 g/kg dry matter [DM] of crude protein) diet, with or without DSOP. Each animal received 17 kg DM/d. Samples of forages and concentrates were weekly collected and used for duplicate chemical analyses. Individual milk samples from each control were analyzed for chemical and coagulating parameters and daily production of mozzarella cheese was estimated. At the end of the trial, bulk milk of each group was processed to produce mozzarella cheese and chemical (fat, protein, ash, pH) composition, fatty acids composition, carotenoids and tocopherols content were determined. A sensory test was also performed. The oxidative stability was measured on mozzarella cheese and on governing liquid.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neither for milk yield and body condition score, nor for milk characteristics. The fat was higher (p<0.05) in mozzarella of DSOP fed group but, saturated fatty acids were lower and unsaturated higher (p<0.01). Furthermore, lower atherogenic (p<0.01), and thrombogenic (p<0.05) indices were found in mozzarella cheese of DSOP fed group. In addition, the administration of DSOP did not affect the mozzarella cheese oxidative stability and no negative effect was found in the sensory properties. Conclusion: No contraindications appeared for the inclusion of DSOP in the diet of lactating buffaloes. Besides, important effects on mozzarella cheese quality were obtained, such as a modification of fat content and attributes with an increment in the mono-unsaturated. Additionally, a lower saturated/unsaturated ratio and atherogenic and thrombogenic indices suggest an improvement of dietetic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mozzarella cheese.

지엽류 급여가 흑염소의 발육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Browses on Growth and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Goats)

  • 최순호;박범영;조영무;최창용;권응기;김영근;허삼남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819-824
    • /
    • 2003
  • 지엽류 급여가 흑염소의 발육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체중 13kg 내외의 4개월령 흑염소 수컷 28두를 공시하여 처리구별로 각각 7두씩 배치하여 농후사료와 함께 지엽류를 급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당증체량은 참나무지엽구가 45.3g으로 다소 높은 경향이었고 소나무지엽구와 발효지엽구는 비슷하였다. 일일 조사료 섭취량은 참나무지엽구가 건물 197g이었고 발효지엽구가 74g이었다. 증체 g당 사료요구율은 참나무지엽구가 11.0g이었고 소나무지엽구는 15.1g이었다. 지엽류를 급여한 흑염소의 혈청 화학치는 영양장애나 체내대사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체율은 45.1~46.2%이었고 정육율은 55.2~55.9%로 처리구간에 비슷하였으며 고기의 일반조성분인 조단백질과 조회분은 처리구간에 비슷하였고 조지방은 소나무지엽구와 발효지엽구가 볏짚구보다 낮았으나(p〈.05) 참나무지엽구와는 비슷하였다. 육질의 물리적 특성인 전단력, 가열감량은 소나무지엽구와 발효지엽구가 볏짚구보다 낮았으며(p〈.05) 지엽류 간에는 비슷하였다. 다즙성, 연도 그리고 향미는 소나무지엽구가 볏짚구보다 우수하였으며(p〈.05)지엽류 급여구간에는 비슷하였다.

林間草地 開發에 關한 硏究 Ⅷ. 遮光程度가 主要 牧草의 品質, 消化率 및 窒酸態窒素含量에 미치는 影響 (Studies on the Grassland Development in the Forest Ⅷ. Effect of shading degrees on the quality, digestibility and nitrate nitrogen concentration of main grasses)

  • 박문수;서성;한영춘;이종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5-91
    • /
    • 1988
  • 本 실험은 林間草地의 改良과 管理 및 利用에 관한 基鍵資料를 얻고자 趣光程度를 0%區(無週光區), 25%, 50%, 75%로 인위적으로 조절하고. orchard grass, timothy, perennial ryegrass, ladino clover를 供試하여, 일반成分, 세포벽構成物質(CWC),,消化率, 可溶性탄수化物 (WSC) 함량 및 실산유실요 (NO, - N) 含量등을 分析하였으며 1985년도 축산시험장 草地시험포에서 수행되었다. 1. 一般成分과 CWC含量 및 消化率을 고려해 볼 때 ladino clover가 화본과목장에 비해 품질이 좋았으며, 未本科목장중에서는 perennial ryegrass의 品質이 좋았다. 2.粗蛋白質, 조회분 및 消化率은 草種에 관계없이 차광을 많이 할수록 增加하였으며, 粗織維系 統은 차광을 많이 할수록 未本科救草에서는 減少하였으나 ladino clover에서는 오히려 曾加하였다. 3.利用時期에 따른 목초의 消化率은 봄철에 자란 목초는 여름철 고온조건하에서 자란 옥초에 비해 良好하였다. 4.草種別 WSC 含量은 perennial ryegrass>ladino clover$\geq$orchardgrass$\geq$timothy 順이었으며 차광을 많이 할수록 WSC含量은 減少하여 (P< 0.05) 無遮光區$\geq$25%週光區$\leq$50%차광구$\geq$75%차광구 순 이었다. 5.草種別 NO,-N 含量은 perennial ryegrass orchardgrass ladino clover timothy 順이었으며, 차광을 많이 할수록 $NO_3$-N含量은 급격히 增加하 여 (P< 0.05) 75%차광구>50%차광구 25%차광구 無차광구 순이었다. 차광정도와 $NO_3$-N 함량과의 회귀식에서($r^2$=0.90**,$r^2$=0.95**) 43~44% 이상의 차광은 실산중독 위험수준 이상이었다. 6. 以上의 결과로서 임간초지개랑시에는 가축에게 실효중독을 야기시키지 않고 목초의 품질과 수량등을 고려한 한계 차광정도는 40%정도(자연광량의 60% 以上 受光條件)로 생각된다.

  • PDF

개미산의 첨가가 건물함량이 다른 호밀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mic Acid on the Quality of Rye Silage at Different Dry Matter Levels)

  • 신정남;배동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13
    • /
    • 1986
  • 본시험(本試驗)은 호밀 사일리지 제조시(製造時)의 재료(材料)의 건물함량(乾物含量)(19.2, 28.6, 32.2%)별(別) 개미산의 첨가수준(添加水準)을 달리 했을 때 사일리지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고자 실시(實施)하였다. 호밀은 초장(草長)이 약(約) 40cm의 영양생장기인 11월(月) 29일(日) 예취(刈取)하여 즉시 또는 예건후(豫乾後) 포리에틸렌필림 봉지에 1,000g씩 채우고 실온에 보관하였다. 분석(分析)의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달관평가(達觀評價)에서 재료(材料)의 건물함량(乾物含量)이 낮은 사일리지(예취직후(刈取直後))에서는 개미산을 첨가(添加)하므로 무첨가(無添加)에 비하여 사일리지 색깔이 선명한 황록색을 띠고 냄새가 더 향긋하고 산유(酸臾)는 약(弱)하였으나 예건(豫乾)사일리지에서는 뚜렷한 차이(差異)가 없었다. 2. 사일리지의 pH는 재료(材料)의 건물함량(乾物含量)이 증가(增加)됨에 따라 상승하였으며, 건물함량(乾物含量)이 19.2%와 28.6%인 구(區)에서는 개미산의 첨가수준(添加水準)이 증가(增加)할수록 유의(有意)하게(P<0.01)감소(減少)하였으나 재료(材料)의 건물함량(乾物含量)이 32.2%인 구(區)에서는 첨가수준(添加水準)에 따른 차이(差異)는 없었다. 3. 사일리지중의 총산(總酸)의 생성(生成)은 재료(材料)의 건물함량(乾物含量) 증가(增加)로 감소(減少)하였으며 개미산 첨가수준(添加水準) 증가(增加)로도 현저히 감소(減少)하였다(P<0.01). 4. 사일리지의 수용성탄수화물함량(水溶性炭水化物含量)은 건물함량(乾物含量)이 증가(增加)됨에 따라 증가(增加)되었으며 개미산의 첨가수준(添加水準)이 높아짐에 따라 역시 뚜렷한 증가(增加)(P<0.01)를 보였다. 5. 사일리지중의 암모니아태질소의 비율은 건물함량의 증가로 감소(減少)되었고 개미산의 첨가수준(添加水準)이 증가(增加)됨에 따라 역시 감소(減少)되었다(P<0.01). 6. 사일리지의 in vitro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은 재료(材料)으의 건물함량(乾物含量)에 다른 차이(差異)는 없었으나 예취직후(刈取直後) 개미산을 0.71% 첨가(添加)한 사일리지가 첨가수준(添加水準)(0.00%와 0.24%)이 낮은 것에 비하여 유의(有意)하게(P<0.05)높았다.

  • PDF

총체맥류 주요품종의 봄 파종에 따른 생육, 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Comparisons of Growth, Yield and Feed Quality at Spring Sowing among Five Winter Cereals for Whole-crop Silage Use)

  • 주정일;이동희;성열규;한옥규;송태화;이광원;김창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05-216
    • /
    • 2010
  • 본 시험은 청보리, 밀, 호밀, 트리티케일, 귀리 등 총체맥류 주요 품종에 대하여 봄 파종시 출수 여부, 생육, 수량 및 사료가치 등을 적기 파종과 비교하고자 2008/2009년에 충남농업기술원(예산) 밭 사료포에서 수행되었다. 시험초종 및 품종은 청보리(영양, 파성 I), 밀(금강, 파성 II), 호밀(곡우, 파성 III 추정), 트리티케일(신영, 파성 III 추정), 귀리(삼한, 파성 II 추정)이었고, 파종기는 가을 적기파종(10월 18일)과 봄 파종(2월 23일, 3월 10일)을 두었다. 출수기는 봄 파종시 가을 적기 파종에 비하여 청보리, 밀, 호밀, 트리티케일 등은 약 16~20 일, 귀리는 약 9일 늦었다. 봄 파종시 수확시기는 영양 보리(황숙기) 6월 8일, 곡우 호밀(출수 후 10일) 5월 25일, 금강 밀(황숙기), 신영 트리티케일(유숙기) 및 삼한 귀리(유숙기)는 6월 17일경 이었다. 봄 파종은 가을 파종에 비하여 출현기부터 출수기까지의 적산온도의 감소가 컸고, 파종기~출현기, 출수기부터 성숙기까지의 적산온도는 큰 차이가 없었다. 전체 경수에서 출수된 이삭수의 비율은 영양 보리, 금강 밀, 신영 트리티케일, 삼한 귀리 등은 62.0~73.1% 로서 정상적으로 출수되었고, 곡우호밀은 56.0%로서 출수되지 않는 분얼이 많았다. 봄 파종시 건물수량은 삼한 귀리> 신영 트리티 케일> 영양 보리> 금강 밀> 곡우 호밀 순으로 많았고, 가을파종에 비하여 영양 보리 71.7%, 금강 밀 60.6%, 곡우 호밀 46.2%, 신영 트리티케일 70.2%, 삼한 귀리 110.9% 수준이었다. 총체맥류를 봄에 파종하면 가을 파종에 비하여 ADF 함량, NDF 함량 및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소화건물함량과 상대사료가치는 낮아졌다. 봄 파종시 평균 가소화 건물수량은 삼한 귀리> 신영 트리티케일> 영양 보리> 금강 밀> 곡우 호밀 순으로 높았고, 가을에 파종한 것에 비하여 영양 보리, 금강 밀, 곡우 호밀, 신영 트리티케일은 모두 감수되었고, 삼한 귀리는 증수되었다. 따라서 예취시기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봄 파종은 귀리가 가장 알맞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은 신영 트리티케일, 영양 보리 순이었으며, 곡우 호밀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총체 맥류의 봄 파종 및 재배는 파성을 소거할 필요가 있으므로 2월 말(경칩 전) 얼음이 풀리는 대로 가능하면 빨리 파종하여 낮은 지온으로 종자 상태에서 춘화처리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TMR 사료의 물리적 유효 NDF 함량이 한우 거세비육우의 생산성과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ally Effective Neutral Detergent Fiber Content of TMR Feed on the Productivit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anwoo (Bos taurus coreanae) Steers)

  • 전병태;박재현;조원모;김상우;장세영;문상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16
    • /
    • 2015
  • 본 시험은 TMR 사료의 물리적유효섬유소(peNDF) 함량의 차이가 한우 비육거세우의 생산성과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TMR 사료내 적정 조사료가치 평가를 위해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26개월령의 한우 거세우 12마리이고, 물리적유효 NDF (peNDF) 함량이 높은 처리구(High군)과 낮은 처리구(Low군)의 2개 군을 이용하여 출하시까지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비육후기용 TMR 사료는 물리성 처리를 위해 배합시간을 3분(High)과, 25분(Low)으로 처리하였다. 실험동물은 출하한 후 축산물 품질평가원에서 도체평가를 하였다. 실험기간 중 체중증가(P<0.05) 및 일당증체량은 High 구에서 높았으며,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도체중 역시 High 구가 $414.60{\pm}34.28kg$으로 Low 구의 $377.80{\pm}11.97kg$ 보다 높게 나타났다. 육질등급은 High 구가 평균 $1^+$ 등급이었던 것에 비해 Low구는 평균 $1^{++}$ 등급으로 오히려 육질 등급은 Low 구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igh 구는 채식량과 체내 이용성에 영향을 미쳐 체중 증가와 일당 증체량 및 도체중의 증가를 가져와 생산성은 증가되었으나 등지방두께의 증가 및 육질 등급에서는 다소 저하를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한우 거세 비육우에 있어서도 사료 내의 물리적 유효 섬유 함량은 가축생산성과 도체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적정 함량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청보리 사일리지의 비닐겹수 및 저장기간에 따른 발효품질 (Effect of Film Layers and Storing Period on the Fermentation Quality of Whole Crop Barley Silage)

  • 송태화;박태일;박형호;윤창;김양길;박종철;강천식;손재한;김경호;정영근;오영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11
    • /
    • 2015
  • 이 연구는 비닐겹수 및 저장기간 따른 청보리 사일리지의 사료가치 및 사일리지 품질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저장기간 모두 사일리지 제조 전에 비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약간 높은 값을 보였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비닐겹수에 따라서는 6겹 처리한 처리구가 4겹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NDF와 ADF 함량은 저장기간 모두 사일리지 제조 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p<0.05),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비닐 겹수에 따라서는 6겹 처리한 처리구가 4겹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TDN 함량은 저장기간 모두 사일리지 제조 전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고,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비슷한 값을 보였다. 비닐겹수에 따라서는 6겹에서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비닐겹수에 따라서는 6겹에서 4겹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유기산 함량에서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젖산함량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초산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낙산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비닐겹수에 따라서는 6겹에서 4겹보다 높은 젖산함량과 낮은 낙산함량을 보였다(p<0.05). 따라서 청보리 사일리지는 장기저장을 할 경우에는 6겹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고, 4겹으로 처리했을 경우 6개월 안에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