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age oat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5초

품종 , 수확시기 및 건조제처리가 춘계수확 연맥건초의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ivar , Harvest Date and Drying Method on the Quality of Spring Harvest Oat Hay)

  • 한건준;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1-168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cultivar, harvest date and drying method on the changes of moisture content and quality of spring harvest oat(Avena sativa L.) hay. Disign of the experiment was a spilt-split-plot arrangement with early and late cultivars as main plots, early and late harvest dates as sub-plots, and drying agent and tedding as sub-subplots in three replications. Moisture content of early harvest oat was higher than that of late harvest oat by 127.1% dry weight(DW) in 'Swan' and 39.8%DW in 'Foothill'. Moisture content difference between 'Foothill' and 'Swan' was 117.6%DW at early and 204.9%DW at late harvest dates, respectively. Cultivar effect on moisture content of cut oat was higher at late harvest date, but drying method effect was higher at early harvest. Total nitrogen content of early harvest was higher than that of late harvest by 0.70% and that of 'Foothill' was higher than that of 'Swon' by 0.86%. But no difference in total nitrogen content was found between the drying method. ADF and NDF contents were increased at late harvest by 29% and 1 I%, respectively(P<0.05). ADF and NDF contents of 'Swan' were higher than those of 'Foothill' by 2.8% and 4.5%, respectively. No difference in ADF and NDF contents was obtained by drying methods. RFV of early harvest oat hay was 95.1 and 103.8 for 'Swan' and 'Foothill' but late harvest 'Swan' and 'Foothill' showed 74.8 and 85.0, respectively.

  • PDF

제주지역 말 방목체계에서 동계사료작물의 말 기호성 및 생산성 (Palatability and Yield of Winter Annual Forage Crops under Horse Grazing System in Jeju)

  • 박남건;우제훈;유지현;신상민;박형수;황원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06-110
    • /
    • 2020
  • 본 연구는 일년생 사료작물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귀리, 호밀을 파종하여 말방목 체계하에서 생육특성, 생산성 및 방목지에서의 말의 기호성 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일년생 사료 작물은 10월 30일에 파종하였으며 말 방목은 이듬해 3월 17일에 시작하였다. 1차 예취시 건물수량은 호밀이 4,600kg/ha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귀리에 비해 높은 수량을 나타내었다(p<0.05). 2차와 3차 예취시 건물수량은 사료작물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 않았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수량이 높아져 총 건물수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10,941kg/ha으로 호밀 12,593kg/ha와 귀리 9,424kg/ha와 비슷하였다. 사료작물별 채식시간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귀리와 호밀에 비해서 월등히 높았다(p<0.05). 1차 방목과 2차 방목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채식시간은 각각 853.2초, 989.4초였으며, 귀리는 147.6초 73.0초 그리고 호밀은 89.4초, 33.18초였다. 각 사료작물별 채식률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귀리와 호밀에 비해 1차와 2차 방목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채식률은 1차에서 60.0%, 2차에서 82.8%였으며, 평균 채식률은 71.4%를 보였다. 일년생 사료작물의 1번초의 수량은 호밀이 가장 높았지만, 작물의 재생능력과 총 생산성, 말의 기호성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월등히 우수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제주지역에서 말을 방목하기 위한 동계사료작물의 재배 이용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국내 육성 사료작물의 생산성 및 사일리지 품질 평가 (Evaluation of Productivity and Silage Quality for Domestically Developed Forage Crops in Korea)

  • 김종근;박형수;이상훈;정종성;이기원;고한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5-151
    • /
    • 2015
  • 본 시험은 국내에서 육성된 신품종 사료작물의 생산성 및 사일리지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호밀(곡우), 귀리(삼한), 3품종의 이탈리안라이그라스(코그린, 코스피드, 코위너리) 및 2품종의 청보리(영양, 유연)에 대하여 생산성 시험을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건물수량에 있어서는 곡우가 가장 높았고 삼한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단백질(CP) 함량은 귀리(삼한)외 이탈리안라이그라스 품종들에서 높았다. 가소화영양소총량(TDN)은 호밀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귀리(삼한) 사일리지의 pH는 비교된 사료작물중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코그린과 삼한 품종에서 젖산균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Flieg 점수에 따른 사일리지 품질등급은 호밀을 제외하고는 모두 1등급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국내에서 육성된 사료작물 품종은 생산성과 품질면에서 높은 능력을 보여 한국에서의 조사료 생산에 적극 권장된다고 하겠다.

맥종간 혼파재배시 생육, 조사료 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Seed Blending Effect on Growth, Yield and Feed Value among Four Winter Cereals for Whole Crop Silage)

  • 주정일;이승수;유지홍;이정준;박기훈;이희봉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03-214
    • /
    • 2008
  • 조사료 생산에 유망한 동계작물 중 보리, 밀, 귀리(월동 가능), 트리티케일(라이밀) 등 4종의 총체맥류에 대하여 보리를 주품종으로 한 혼파재배시 조사료 생산 증대 효과를 요약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리 식물체의 건물중과 이삭크기 등으로 볼 때 혼파재배시 보리의 생육이 저하되는 작물은 트리티케일이 가장 심하였고, 다음은 밀이었으며, 귀리는 생육차이가 없었다. 보리를 주품종으로 하고 밀, 트리티케일, 귀리 등과의 혼파재배시 이삭수 증가 또는 보조작물의 생체량 증가 등에 의하여 총 생체수량은 증수되었으나 보조작물의 건물율이 낮아 건물수량은 증수되지 않았다. 청보리와 밀, 트리티케일, 귀리 등과의 혼파재배시 NDF 함량과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되었으나 ADF 함량과 DDM 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상대적 사료가치는 보리와 밀의 혼파재배에서 높아졌으나, 보리와 트리티케일, 보리와 귀리와의 혼파재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중부지방에서 보리와 혼파재배시 조사료 생산 증대 가능성이 높은 작물로는 밀이나 트리티케일에 비하여 분얼력이 왕성하고 출수기의 차이에 의한 생육단계의 상이한 진행 등의 장점과 풍엽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귀리가 유망하였다.

Effect of Cattle-Manure Application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Crop Yields in Rice-Forage Cropping System

  • Lee, Yejin;Yun, Hong-Bae;Sung, Jwa-Kyung;Ha, Sang-Keun;Song, Yo-Sung;Sonn, Yeon-Kyu;Lee, Deog-Ba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553-557
    • /
    • 2014
  • The steady increase in livestock industry has greatly required the stable production of food and forage crops. As an alternative, rice-forage cropping system has been attempted in several southern area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whether an application of cattle-manure compost affects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crop productivity in rice-forage cropping system, rice ${\rightarrow}$ summer oat ${\rightarrow}$ rye, in Jangheong county, south Jeolla province from 2013 to 2014. Treatments was composed of control (no compost), CM1 (compost application before rice transplanting), and CM2 (two-times compost application, before rice transplanting and after rice harvest), and inorganic fertilizers (N, P, and K) were equally dressed in all plots. Yields of ri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however, oat production was 1.25-fold higher in CM1 and CM2. Nutrient uptake amounts of rye were higher in CM2 than CM1 and control. Total nitrogen in soil was maintained stable level during crop cultivation. And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in all treatments were increased by crop residue. Available P_2O_5$ and exchangeable K were increased by cattle manure application. Therefore, it suggested that the amount of nutrient by forage crop residue should be considered in rice-forage multiple cultivation.

수확시기와 품종이 춘파연맥의 생육특성 ,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Harvesting Date and Cultivar Effect on the Growth Charateristics , Forage Yield and Quality of Spring Sown Oats)

  • 김종근;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47-256
    • /
    • 1994
  • 본 시험은 수확시기 및 품종이 춘파연맥(Avena sativea L.)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3년 3월 22일부터 6월 20일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실험목장의 사초시험포장에서 실시되었으며, 수확시기로서 조기(5월 24일), 중기(6월 8일)및 만기(6월 20일)를 주구로 하고, 품종(Speed oat, Cayuse, Foothill, Sv841034, Magnum)을 세구로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품종에 따른 출수시작일은 조생품종의 경우 파종후 50일, 중, 만생품종은 평균 82일후에 출수가 시작되었다. 2. 연맥의 건물함량은 Speed oat가 조기, 중기 및 만기 수확시 13.6, 18.1 및 19.9%로 높았던 반면 중, 만생품종은 만기 tnghkrtlRK지 14.1~15.6%로 낮았다. 3. CP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생육이 진행된에 따라 평균 19.7%에서 10.0%로 감소되었으며 조기 수확기에서만 중, 만생품종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4. 연맥의 ADF, NDF함량은 중, 만생품종에서 수확이 지연됨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으나 조생품종에서는 만기 수확기에서 오히려 감소하였다. 5. In vitro건물소화율도 중, 만생품종에서 수확이 지연됨에 따라 계속 감소하였으나 조생품종은 만기수확기에서 증가하였다. 6. 매 수확시기별 ha당 평균 건물수량은 4,020kg에서 8,851kg으로 나타나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으며 품종간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7. 평균 조단백질 수량은 모든 수확시기에서 중, 만생품종이 더 높게 나타났다. 조기 및 만기는 수확시는 Sv841034가 838 및 945kg으로 중기 수확시는 Cayuse가 996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8. IVDDM 수량은 수확시기가 지연됨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으며 중, 만생품종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확시기간의 유의성만 인정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조생 연맥품종은 건초 제조 적기인 5월 하순~6월 상순에 사초의 건물함량이 중생 및 만생 연맥품종보다 높기 때문에 건초생산이 전제가 되는 곳에서는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 PDF

내한 조숙 다수 추파 조사료용 귀리 신품종 "풍한" (A New Early-Heading and High-Yielding Forage Winter Oat Cultivar, "Punghan")

  • 한옥규;박형호;허화영;박태일;서재환;박기훈;김정곤;주정일;홍윤기;정재현;박남건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68-172
    • /
    • 2009
  • '풍한'은 조숙 다수 월동가능 조사료용 귀리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1999년에 조숙인 '식용귀리'와 대립종인 'PA202-210'을 교배한 $F_1$잡종에 내한성 계통인 'Beltsville 61-150'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집단 및 계통육종법에 의해 계통을 선발한 후 2004년부터 생산력검정시험 및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08년에 육성된 품종으로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풍한'은 잎폭이 중 정도이며, 이삭형은 산수형이고, 종자색은 황백색이다. 2. '풍한'은 적응지역에서 출수기가 평균 5월 7일이며, 출수 후 20일에 평가한 생초수량이 ha당 평균 50.1 톤, 건물수량이 평균 14.5 톤으로서 기존 품종인 '삼한'보다 출수기가 2일 빠르고 조사료 수량도 높다. 3. '풍한'의 조사료 품질은 조단백질 함량이 6.7%, TDN이 60.3%로 표준품종인 '삼한귀리'와 대등하다.

Backgrounding steers on temperate grasses mixed with vetch and/or using energy supplementation

  • de Oliveira Lazzarotto, Eduardo Felipe Colerauz;de Menezes, Luis Fernando Glasenapp;Paris, Wagner;Molinete, Marcos Luis;Schmitz, Gean Rodrigo;Baraviera, Jose Henrique Ignacio;Farenzena, Roberta;de Paula, Adalberto Luiz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6호
    • /
    • pp.800-807
    • /
    • 2019
  • Objective: The aim was to evaluate backgrounding beef steers on oat + ryegrass pastures mixed with vetch and/or using energy supplementation. Methods: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treatments and three replications was used. The treatments were: grass + supplement (oat + ryegrass + supplementation), legume + supplement (oat + ryegrass + vetch + supplementation) and grass + legume (oat + ryegrass + vetch). A continuous grazing system with a variable stocking rate was used. Twenty-seven intact crossbred steers (1/4 Marchigiana, 1/4 Aberdeen Angus and 2/4 Nellore) aged 7 months old and average weight of 190 kg were used. Steers were supplemented at 1% of the body weight of ground corn. The experiment lasted 84 days, between May and August 2014. Behavioral assessments were performed two times per experimental period, for 24 hours. Results: The forage mass was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being greater for steers fed without legume. The accumulation rate, forage allowance, and stocking rate did not differ between treatments due to the adequate adjustment of forage allowance. The final weight of animals, as well as the dry matter intake (kg/d), did not differ between treatments. However, forage intake was higher for non-supplemented animals in relation to supplemented steers. Supplement intake did not alter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 intake due to pasture quality. Animals fed grass + supplement had higher live weight gain per area than those fed grass + legume. Animals without supplementation spent more time in grazing. Conclusion: Feeding behavior was not altered by mixing with vetch or supplementation. Non-supplemented animals started the grazing peak earlier and spent more time in grazing than those supplemented; however, the average daily gain was similar between treatments. The live weight gain per hectare was 47% higher in pastures in which the animals received supplementation compared with those mixed with vetch, a consequence of the substitutive effect.

경북지역에서 옥수수 후작 수단그라스간 교잡종 및 귀리의 파종시기가 생육특성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Seeding Dates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Sudangrass hybrid and Oat in Cropping After Corn for Silage in Kyeongbuk)

  • 신정남;고기환;김종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1-86
    • /
    • 2014
  • 본 시험은 2012년부터 2013년까지 경북 성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후작 수단그라스간 교잡종 및 귀리의 파종기가 생육특성, 품질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로 수단그라스는 파종기를 처리로 한 5처리 3반복 귀리는 파종기를 처리로 한 3처리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수단그라스의 파종기는 2012년과 2013년에 7월 31일부터 9월 1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귀리는 2013년 8월 20일부터 9월 1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조파하였다. 수확은 2012년 10월 26일과 2013년 11월 2일에 하였다. 수단그라스의 출수는 3차 파종기까지만 되었고 귀리는 2차 파종기의 것만 출수 되었다. 초장과 건물함량은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감소되었다. 수단그라스의 DM 및 DDM 수량은 1차 파종기의 것이 다른 4파종기의 것보다 높았으며(P<0.05) 파종기 간에는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감소되었다(P<0.05). 귀리의 DM 및 DDM 수량은 1차 및 2차 파종기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3차 파종기의 것이 낮았다(P<0.05). 수단그라스와 귀리의 CP 함량은 파종기 간에 다소 차이는 있지만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증가된 반면 ADF와 NDF의 함량은 감소되어 DDM 함량은 증가되었다.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가을재배 수단그라스의 파종시기는 8월 20일 이전 귀리의 파종시기는 8월 30일 이전까지 파종해야 수량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가을철에 숙기가 다른 연맥과 유채 품종의 혼파가 사초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ture of Different Maturity Groups on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Oat and Rape in the Fall)

  • 이성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5-360
    • /
    • 1998
  • 본 연구는 가을철에 숙기가 다른 연맥과 유채품종의 혼파가 사초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1998년 우석대학교 초지시험포에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맥은 Foothill 조합군이 Swan 군보다 초장이 약간 길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유채의 초장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Foothill 조합은 Ember나 Akela가, Swan 조합은 Ramon이 길었다. 2. 연맥에서 Swan의 건물수량이 Foothill 보다 약간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유채는 Foothill과 Swan과 조합한 처리구에서 모두 Akela의 건물수량이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3. 조단백질 함량과 조단백질 생산량은 연맥 Foothill 조합이 Swan 조합보다 높았으며, 연맥 Foothill과 Swan 조합과는 모두 유채 Akela 조합이 Ramon이나 Ember 조합보다 높았다. 4 연맥 Swan의 ADF와 NDF 함량은 Foothill 보다 약간 높았으며, 유채는 Foothill에서는 ADF는 Ramon과 NDF는 Akela와 조합이, Swan은 Ember와의 조합이 높아 사료가치는 감소하였다. 5. IVDMD 함량은 연맥 Foothill 조합이 84.5%로 Swan 조합보다 약간 높았으며, 연맥 Foothill과는 유채 Ember가, 연맥 Swan과는 유채 Akela 조합이 높았다. 또한 가소화 건물생산량은 연맥 Foothill 조합이 ha당 3,578kg로 Swan 조합보다 약간 높았으며, 또한 Foothill과 Swan 조합에 서 각각 유채 Akela 조합이 약간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으나 가을철 단경기에 연맥은 Foothill과 유채는 Akela를 같이 혼파하여 재배 이용하면 다른 품종에 비하여 사료가치도 약간 높으며 건물수량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