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utensils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39초

단체급식소의 기구등의 살균소독제 사용실태 조사 (Survey on Practical use of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on Food Utensils in Institutional Foodservice)

  • 이유시;이성희;류경;김용수;김형일;최현철;전대훈;이영자;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38-345
    • /
    • 2007
  • 본 연구는 서울지역 학교(위탁, 직영)와 산업체의 단체급식소 125개소를 대상으로 살균소독제 사용자 인식도, 세척제 사용실태, 살균소독제의 사용실태 및 관리여부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 사용 문제점을 파악하고 올바른 사용방법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바람직한 단체급식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 사용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 한시적 인정제도 인식 여부는 학교(위탁) 75%, 학교(직영) 81.8%,산업체급식 50%으로 대부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척과 살균소독의 실시순서는 학교(위탁) 98.6%, 학교(직영) 84.4%, 산업체급식 90%가 세척 후 살균소독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살균소독제 선택 시 중요 요소로는 학교위탁, 학교직영, 산업체급식에서 살균력(38.6%, 28.6%, 38.9%)과 안전성(독성)(32.6%, 46.1%, 33.3%)이 가장 큰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살균소독지침서는 학교위탁 급식 64.8%, 학교직영급식 52%, 산업체급식 73.7%에서 다양하게 소지하고 있었다. 쉽고 실용적인 살균소독 지침서가 개발된다면 지침서대로 실행할 의사가 있는지 여부는 학교위탁급식 92.7%, 학교직영급식 80%, 산업체급식 68.4%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 사용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지만 살균소독제의 1일 평균 사용량이 50 L로 나타나 하루 사용량의 빈도수가 매우 낮았고, 수질(경우, 연수) 및 물의 온도를 고려하지 않은 채 사용하며 살균력이 낮은 알코올계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침서의 절차가 어렵고 복잡하며, 내용을 작업 환경에 적용하기 어려워 쉽고 실용적인 살균소독 지침서가 개발된다면 실행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바른 살균소독제 사용방법으로는 제품의 사용방법에 대해 정확히 숙지하여 사용해야 하고, 반드시 세척 후 살균소독을 하여 세척과 살균을 별도로 실시해야 하며, 사용 기구의 재질별, 식품별, 작업 종류별을 고려하여 살균소독제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살균소독제에 대한 특징 및 사용 방법 등의 살균소독법이 제시되어 있는 사용지침서를 개발하여 단체급식소에서 위생적이고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상주점의 위생상태에 관한 미생물학적 조사' ('Survey on Bacteriological Contamination of Moving Tavern in Seoul Area')

  • 유병태
    • 환경위생공학
    • /
    • 제1권1호
    • /
    • pp.59-67
    • /
    • 1986
  • This sanitary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acteriological contamination of cooking utensils and foods of moving tavern in eight sample sites of Seoul area. The results of survey were as follows: 1. The counts by means of total bacteria in cooking utensils and food samples by standard plate count method were as follow: $5.6\times10^5$ per gm in dishcloth, $3.1\times10^6$ per ml in dishwater. In food samples, $5.4\times10^5$ per gm in meat was higher than other samples. 2. The average counts total coliform and fecal coliform in samples by MPN method were as follow: $3.4\times10^4$ MPN per 100ml, and $1.3\times10^2$ MPN per 100ml in chopping board, $6.1\times10^4$MPN per gm and $1.0\times10^2$ MPN per gm in dishcloth, $1.8\times10^5$ MPN per 100ml and $6.1\times10^2$ MPN per 100ml in dishwater. In food samples, $3.1\times10^4$MPN per gm and $2.0\times10^2$ MPN per gm in meat was higher than other samples. 3. The counts by means of Pseudomonas in samples by MPN method were as follow: $2.8\times10^3$ MPN per 100ml in chopping board, $4.7\times10^3$ MPN per gm in dishcloth $5.6\times10^3$ MPN per 100ml in dishwater. In food samples, $2.4\times10^3$ MPN per gm in shellfish was higher than other samples. 4. Isolation cases of Food poisoning organisms from samples were as follow: Staphylococci was detected 9 cases $(17.6\%)$ in chopping board, 7 cases $(13.6\%)$ in dishcloth. In food samples, 9 cases $(25.7\%)$ in meat, 1 case $(4\%)$ in fish samples. Salmonella was detected 2 cases $(3.9\%)$ in dishwater, 1 case in meat samples.

  • PDF

편의점 판매용 김밥 도시락 생산 및 유통과정의 품질개선을 위한 연구 (The Improvement of the Sanitary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actices for Packaged Meals (Kim Pab) Marketed in Convenience Stores Using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 곽동경;김성희;박신정;조유선;최은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77-187
    • /
    • 1996
  • Time-temperature relationship and microbiological quality were assessed and critical control points were identified through hazard analysis during the phases of production in two different packaged meals (Dosirak) manufacturing establishments (A, B:Kim Pab). Microbiological tests on foods, equipments and utensils were done according to standard procedures and included total plate count, coliforms and fecal colifor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time-temperature control management was needed because time-temperature abuse more than 8 hours at dangerous temperature zone (5-6$0^{\circ}C$) was observed from pre-preperation to distribution phase; Poor sanitary practices of employees were observed in hand washing and using disposable gloves; Microbiological analysis results of equirpments and utensils showed possible cross-contamination risks when foods were contacted with them; Kim Pab needed thorough quality control because it included various mixed ingredients of cooked and uncooked and had many apportunities of cross-contamination either by equipments or hands through whole production processes.

  • PDF

김밥 조리조건에 따른 미생물 품질 평가와 중요관리점의 관찰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of Kimbap According to Preparation and Cooking Condition and Identification of Critical Control Points in the Processes)

  • 김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66-7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보통의 조리조건과 위생적 조리조건에서 김밥을 조리하였을 때에, 각 조리조건하에서의 식자재(원재료),조리자의 손, 조리환경(조리기구 및 조리실),그리고 완성된 김밥의 미생물 품질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김밥조리과정 중의 중요관리점(CCPs)을 관찰하였다. 김밥과 그 원재료,조리자의 손, 그리고 조리기구(칼, 도마 및 김발)의 표준평판균, 대장균군, 분변성대장균군,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등의 미생물을 식품공전에 준하여 측정하였으며 조리실의 미생물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모든 시료에서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및 살모넬라균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표준평판균, 대장균군 및 분변성대장균군은 보통의 조리조건에서보다 위생적 조건에서 현저하게 낮았다 김밥 원재료 중 비가열재료에서는 가열재료보다 표준평판균 및 대장균군수가 많이 검출되었다. 두 조건에서 조리실의 공중낙하균은 모두 양호한 수준이었다. 위생적 조리조건에서 만든 김밥은 보통의 조리조건에서 만든 김밥 에 비하여 표준평판균과 대장균군이 1/100수준이었으나 아직 분변성대장균군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비가열재료, 조리기구 및 조리자의 손의 미생물 오염, 그리고 조리 중의 교차오염이 김밥 미생물 오염의 주요 근원으로 지적되며, 비가열재료의 취급, 조리기구의 세척과 소독 및 조리자의 손씻기 단계가 CCPs로 제시된다.

부산지역 초등학교 급식기구 재질별 소독실태 및 영향 요인 (Disinfection State and Effective Factors of Utensils & Equipments Used to Foodservice of Elementry Schools in Busan)

  • 김이선;전영수;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69-977
    • /
    • 200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양사 160명을 대상으로 HACCP시 시스템 적용을 위해 급식기구 재질별 소독실태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 평가하였다. 급식기구 소독방법으로 스템제품중 식판은 전기가스식 소독 작업대 및 기타 스텐제품은 화학소독(차아염소산나트륨)과 열탕소독을 주된 소독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나 야채절단기, 분쇄기 탈피기의 51.0%이상은 사용후 소독을 실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나무제품은 역시 화학소독 (차아염소나트륨)과 열탕소독을 사용하여 소독을 잘 실시하고 있었으나 플라스틱 제품에 있어 위생도마를 제외한 빨간 플라스틱 통바가지, 밥주걱의 30% 가량은 사용후 소독을 실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독시기에 있어 칼의 경우 수시로 소독을 실시하는 경우가 37.2%, 나무주걱의 경우는 30.9%로 이들 기구를 수시로 소독해야 한다는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플라스틱 제품의 경우 밥주걱을 제외한 대부분의 제품이 수시로 소독을 실시해야 하나 빨간플라스틱통의 53.5%, 바기지 45.9%, 위생도마의 45.8%만이 수시로 소독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식기구 소독횟수에 있어 대부분의 급식기구가 매일 소독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반찬통, 야채절단기, 탈피기, 분쇄기, 나무주것은 다른 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나 이들 기구류에 대한 위생적 취급이 요구되어졌다. 초등학교 급식소에서 사용되고 있는 소곧방법은 영양사, 나이, 경력, 및 급식학생수, 급식실시기간, 배식형태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특히 소독을 실시하지 않은 비율에 잇어서 영양사 나이 30대와 근무경력 6~10년 미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급식실시기간 6년이상과 교실과 식당을 병행하는 배식형태에서도 소독이 잘 실시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급식기구 소독시기도 영양사 나이와 학력, 배식형태에의해 영향을 받고 잇었으며 소독횟수는 조리종사원수, 급식학생수, 급식실시기간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추후 스텐재질의 야채절단기, 탈피기, 분쇄기 및 나무주걱과 플라스틱 제품의 소독방법에 대한 미생물적 연구가 행해져야 할것이며, 아울러 급식소 소독실태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영양사들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위생교육이 수반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조리시 조리용기로 부터의 알루미늄 용출량 비교 (Comparison of Aluminum Leaching from Cooking Utensils During Cooking)

  • 김중만;한성희;백승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13-617
    • /
    • 1997
  • 조리용기의 재질 종류와 조리식품의 종류 및 조리 시간에 따른 알루미늄의 용출 특성을 알아보고자 탈이온증류수, 된장, 고추장을 이용하여 옹기, 알루미늄, 법랑, 스테인레스-스틸제 용기 및 돌그릇에서 조리시간(0, 10, 20,30분)을 달리하여 각각 끓였을 때 용출된 알루미늄 함량을 조사하였다. 증류수는 각 용기에서 $0.53{\sim}2.76,\;1.17{\sim}4.20,\;0.77{\sim}3.23,\;0.53{\sim}2.03,\;0.83{\sim}2.70$ ppm의 범위였다. 된장을 각 용기에 담아 끓이지 않고 30분간 상온에서 정치한 경우 각각 4.66, 6.45, 5.53, 3.50, 5.00 ppm이며 끓였을 때는 $5.70{\sim}7.73,\;9.68{\sim}11.50,\;5.53{\sim}9.27,\;3.50{\sim}6.70,\;5.00{\sim}9.13$ ppm이 용출되었다. 고추장을 넣고 끓이지 않았을 때는 각 용기에서 5.18, 6.30, 4.73, 3.23, 4.50 ppm이며, 끓였을 경우에는 $6.37{\sim}9.70,\;8.57{\sim}11.23,\;5.63{\sim}8.63,\;4.43{\sim}6.50,\;4.50{\sim}9.25$ ppm 용출되었다. 따라서 끓이는 시간이 경과될수록 알루미늄의 용출량은 증가하였고, 특히 알루미늄 재질의 조리 용기에서는 다른 용기에 비해 용출량이 가장 많았다.

  • PDF

서울 시내 산업체 급식소의 plastic용기 및 기구류 위생에 관한 연구 (The Microbiological Assessment of Plastic Container and Kitchen Utensils Used in Employee Feeding Foodservice Operation in Seoul)

  • 전희정;백재은;이윤경;김은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1-24
    • /
    • 1998
  • 서울 시내 산업체 단체 급식소 3곳에서 이용되는 플라스틱 용기, 행주, 도마, 식칼의 미생물 검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플라스틱 용기의 표준 평판균수는 3곳 모두 1$\times$$10^{*}$ 5 (CFU/100 $cm^2$)으로 높게 나타났고, 대장균군 수는 두 급식소는 양호하나 한 급식소에서 2$\times$$10^1$(CFU/100$cm^2$)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구균, 간균 형태의 박테리아가 많이 관찰되었다 행주의 경우는 표준 평판균수는 1$\times$$10^3$-1 $\times$$10^{*}$ 5 (CFU/100 $cm^2$)으로 3곳 모두 높게 나타났고, 대장균군 수는 한곳을 제외한 두곳에서 4$\times$$10^1$-6$\times$$10^1$(CFU/100 $cm^2$)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칼의 표준 평판균수는 1$\times$$10^3$-l$\times$$10^{*}$ 5 (CFU/300$cm^2$)으로 3곳 모두 높게 나타났고, 대장균군 수는 한곳을 제외한 두곳에서 2$\times$$10^1$-3$\times$$10^1$(CFU/100 $cm^2$)으로 높게 나타났다. 도마는 표준 평판균수가 1$\times$$10^{*}$ 5 (CFU/100 $cm^2$)으로 3곳 모두 높게 나타났고 대장균군 수는 한곳을 제외한 두곳에서 4$\times$$10^1$-9)$\times$$10^1$(CFU/100 $m^2$)으로 높게 나타나 기구류의 보다 철저한 위생관리가 요구되어졌다.

  • PDF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서울·경기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a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 Focusing on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Participants in Seoul and Gyeonggi -)

  • 박숙현;정희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84-292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lements that are required and that need improvement in the contents of dietary life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importance-satisfaction of a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for dietary life education trainees. The results of the rank test for the satisfactory elements of dietary life education were in the order of competence of instructors, educational contents, time of educ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ffordability of tuition. The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construction of the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showed that "suitable contents for the theme of the class", "contents and construction of practice class", "diversity of practice menu" and "diversity of educational contents" had hig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scores and therefore, could be maintained at their current levels. Meanwhile, "adequacy of class time" and "contents and construction of theory class" showed low importance and satisfaction scores, requiring a little effort. Whereas, "time and construction of group practice", "structure of textbook for class" and "duration of course and number of classes" showed relatively low satisfaction compared to importance, requiring major efforts for improvement. Similarly, analysis of the lecture element from dietary life education showed that "professional lecture by instructors", "lectures suitable for themes" and "lecture applicable in real life" had relatively low satisfaction compared to importance, requiring major efforts for improvement. In addition, analysi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rom dietary life education showed that "adequacy of lecture room space", "cooking equipment", "diversity of cooking utensils" and "sanitary condition of cooking utensils" also require major efforts for improvement. Therefore, dietary life education should not be executed with a simple delivery of knowledge but with both theory and practice classes to increase its application in real life, and active and specific efforts are required to nurture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establish educational strategies.

문헌에 기록된 식해(食?)의 분석적 고찰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Shikke)

  • 이미영;이효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9-51
    • /
    • 1989
  • Korean Chochgal is a kind of salted, fermentive food mainly made of fish in our country. It has been a suitable side'dish for the diet of rice. It has made use of an accompaniment of wine, seasoning, food of ceremony and a folk remedy. There were various kinds of Chochgal and various way of for preparation. For a long time it has developed in how to cook and how to eat. Nowaday, it has lessened to use Chochgal. In this thesis, the kinds of Chochgal and the reference frequency to them, the material, the measuring unit of material, the making terms, and the cooking kitchen utensils are studied out of the 86 books published in Korea from 1200 to 1984. 1. It was classifed Choch, Sikhae, and Oyukchang as how to cook. 2. There were 147 kinds of Chochgal, 100 kinds of Choch, 40 kinds of Sikhae and 7 kinds of Oyukchang in our traditional documents. 3. Materials were classified into main material, sub-material, and seasonings. As main materials there were fish, internals of fish, spawn, flesh, salt and soy sauce. As sub-materials there were seasoning, flavor, vegetables and cereals. 4. There were 41 kinds of measuring units. Of them, 17 kinds are for volume, 9 kinds are for quantity, 3 kinds are for length, and 12 kinds are for the rest. 5. There were 52 kinds of cooking kitchen utensils. They used mainly a sieve and pebbles. To store Chochkal a kind of jar, a woodenware and a clay ware were used. To shelter it from the wind, they sealed it with leaves and oiled paper. But few of them are used nowaday. 6. There were 209 kinds of cooking terms. Of them, 35 kinds are for the washing process, 51 kinds are for the preparing process, 38 kinds are for the making process, 25 kinds are for the fermenting process, 24 kinds are for the keeping process, and 36 kinds are for the eating(using) process.

  • PDF

외국의 학교급식의 관리 현황 -미국의 학교급식위생을 중심으로- (Food Safety Policies on School Lunch Program in Foreign Countries -Food Safety Policies Practiced Especially in U.S.A-)

  • 노병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61-366
    • /
    • 1997
  • Foodborne diseases are serious problems throughout the world, because new pathogens have emerged. Nowadays many students eat school lunch provided by school lunch program. They are threatened by pathogens transmitted by foods. Many school children became victims of foodborne diseases. Most foodborne outbreaks were caused by mishandling foods at food serivece establishments. Temperature control is the most critical point of keeping the foods safe. In order to prevent foodborne diseases in schools, the managers in charge of school lunch program and officials in charge of food safety of local health department try to make sure that foods are out of danger zone of temperature. Prevention of cross sontamination, and sanitization of raw foods and utensils are also emphasized by school lunch program managers and health offici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