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functionalities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4초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세이지분말 첨가 된장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Supplemented with Sage Powder as Assess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미림;정지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43-249
    • /
    • 2010
  • 본 연구는 세이지의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과 우리 전통된장을 접목하여 허브를 첨가한 된장을 개발하고자 된장의 염도와 세이지분말 첨가량을 달리한 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최적조건을 얻고자 관능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색은 1.20~2.70, 냄새는 1.60~3.20, 맛은 1.40~3.50, 조직감은 1.60~3.50, 전반적인 기호도는 1.60~3.05의 값을 나타내어 실험구의 조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차회귀식에 의하여 형성된 반응표면 분석 결과 색, 냄새, 맛,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의 $R^{2}$가 0.11~0.41로 낮은 편이었으며, 5%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관능검사에서 가장 높게 평가된 것은 색은 염도 21.50%, 세이지분말 첨가량 3.10%일 때 2.91, 냄새는 염도 22.52%, 세이지분말 첨가량 3.68%일 때 3.21로, 맛은 염도 8.62%, 세이지분말 첨가량 4.46%일 때 2.87으로, 조직감은 염도 8.00%, 세이지분말 첨가량 6.06%일 때 2.88로, 전반적인 선호도는 염도 20.40%, 세이지분말 첨가량 2.66%를 첨가하였을 때 2.74로 나타났다. 한국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허브이지만, 세이지를 첨가한 된장이 일반된장 보다는 높은 점수로 평가되어 기능성 된장으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아기간에 따른 유채종자의 일반성분 조성, 항산화능 및 멜라토닌 함량의 변화 (Changes in approximate composition,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tonin content of rapeseed during germination)

  • 김석중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39-84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유용한 기능성을 지닌 최적의 유채싹 선발을 위해 종자를 10일 동안 발아시키면서 일반성분, 항산화능 및 멜라토닌함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종자의 수분함량(3.23%)은 발아동안 점차 증가하여 10일에 17.50%에 도달하였으나 조회분함량은 4.03~4.91%로 큰 변화가 없었다. 조지방함량은 종자의 38.18%로부터 감소하여 10일에 22.65%가 되었으며 조단백질함량은 21.43%에서 10일에 26.72%에 이르렀다. 탄수화물함량은 8일까지 35.84%로 증가한 후 10일에 28.55%로 감소하였다. 환원당함량은 6일에 최고값(10.47%)에 도달하였고 조섬유함량도 15.12%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함량(gallic acid equivalent)은 발아에 따라 증가하다가 8일에 최고값인 16.8 g/kg에 도달하였다. 항산화능(trolox equivalent, mmol/kg)은 발아에 따라 증가하여 4~10일에 좀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분석법에 따라 최고값을 보이는 시기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즉, DPPH 라디칼 소거능은 6일(55.9), ABTS 라디칼 소거능(46.3)과 Fe(III)이온 환원능(125.3)은 10일, 퍼록시 라디칼 소거능은 4일(116.7)에서 최고값을 보였다. 종자에서 $0.85{\mu}g/kg$이던 멜라토닌함량도 발아에 따라 증가하여 6일에 최고값($14.93{\mu}g/kg$)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항산화소재로서는 4~10일까지의 발아싹들을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멜라토닌 함량, 환원당, 조섬유와 같은 추가적인 기능성분을 함께 고려하면 6일 발아싹이 기능성 싹으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누에, 뽕나무, 산약 및 차가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음료 개발 (Development of a Beverage Using the Extracts from Bombyx mori L., Morus alba L., Dioscoreae rhizome and Inonotus obliquus)

  • 김은주;김순희;김수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44-852
    • /
    • 2011
  • 본 연구는 누에, 상심자, 상엽, 상지, 산약 및 차가버섯을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혼합 추출물의 성분과 기능성을 분석한 후 음료를 제조하여 음료의 성분 분석, 기능성 평가 및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혼합 추출물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조단백질 0.31%, 조지방 0.38%, 탄수화물 0.42% 및 조회분 0.19%이었다. 유리당은 fructose 0.067 g/100 mL, glucose 0.047 g/100 mL이었고 DNJ는 161.02 mg/gdw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항산화성을 검토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도 우수하였다. 혼합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음료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조단백질 0.42%, 조지방 0.31 및 탄수화물 9.9%로 나타났다. 음료의 유리당 함량 분석 결과 fructose와 glucose가 증가하였다. 음료의 기능성을 평가한 결과 total polyphenol 함량은 71.93%이었고 전자공여능은 농도 5%에서 가장 높았으며 TBARS를 실험한 결과 특히 $KO_2$에 대한 억제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한 후 5주간 음료를 공급하여 혈당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실험 기간 중 정상군(A)은 혈당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당뇨 대조군(B)은 2주째부터 5주차까지 비슷하게 경향의 높은 혈당치를 나타내었다. 음료 경구 투여군(C)에서는 2주차부터 당뇨 대조군(B)에 비해 낮은 혈당치를 나타내었다. 음료 자유급여군(D)은 2주차부터 혈당치가 완만하게 떨어져 5주차에서는 당뇨 유발시험물질 투여군 중 가장 낮은 혈당치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황기 첨가량에 따른 전통식 간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Kanjang containing Astragalus memvranaceus)

  • 장연정;김은주;최윤희;최혜선;송진;최지호;박신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85-89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호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부가가치 간장을 개발하고자 황기 첨가량에 따른 숙성기간별 간장의 이화학실험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황기첨가 간장(AK)의 식염변화에서 실험군 모두 기간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H 변화는 실험군 모두 숙성기간에 따른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으며,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pH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당도는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였다. 갈색도 변화는 AK 5%는 숙성기간 4~5개월까지 갈변현상이 일어난 반면 AK 10%의 경우 2개월 이후 갈변현상이 진행되지 않고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모든 실험구가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그중 AK 5%가 2개월 이후 10.12%로 크게 증가하였다. 아미노태 질소변화 역시 모든 실험구에서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 중 AK 5%가 3개월 때 크게 증가한 뒤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결과 AK 5%가 총 폴리페놀 함량이 6개월 때 25.01 mg/mL,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개월 때 200.15 mg/mL로 다른 실험구에 비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 AK 5%가 향, 짠맛, 구수한맛, 단맛, 쓴맛 및 전체기호도 모두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보아 AK 5% 즉, 황기 5% 첨가 간장이 일반 전통 간장에 비해 항산화 활성 및 기호도가 좋음을 알 수 있었으며, 기능성 간장으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초.중.고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농업.농촌 다원적 기능 교육 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on Rural Multi-Functionality published in Science Textbooks of Elementary.Middle.High School)

  • 김은자;안삼영;김영;이상영;이정원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6권4호
    • /
    • pp.869-912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alternative plans on the prejudiced and distorted contents in school textbooks in the aspect of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This was done through analysis of contents in 47 kinds of textbooks in science (8 of elementary school, 27 of middle school and 12 of high school). This will lead to promote understanding about the multi-functionality and form the proper value system related to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for children and juveniles using textbooks. A content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o what extent the contents on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were reflected in the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content analysis was done in three categories, including presentation form, application method and function view. The followings are results of contents analysis in textbooks. The most frequently used presentation forms related to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was figures and tables. In analysis of application methods,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were used to explain scientific facts and phenomena. In the function view, maintenance of local societies was most frequent among the various multi-functionaliti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food security in high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in textbook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ave been drawn, and several examples for contents development to be included in the textbooks were listed.

  • PDF

Nutrition composition differences among steamed and freeze-dried mature silkworm larval powders made from 3 Bombyx mori varieties weaving different colored cocoons

  • Ji, Sang-Deok;Kim, Nam-Suk;Kweon, HaeYong;Choi, Bo Hye;Kim, Kee-Young;Koh, Young 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3권1호
    • /
    • pp.6-14
    • /
    • 2016
  • The mulberry silkworm, Bombyx mori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domestic animals which have provided with silk fibers for weaving fabrics and a food for a protein and lipid source. In addition, various health improvement effects of diverse silkworm larval powders were reported. Recently we found that steamed and freeze-dried mature silkworm larval powder (SMSP) generated using white-jade (also known as Backokjam) silkworm variety extended healthspan and increased resistance to Parkinson's disease in animal models. Because the colors of cocoons in silkworm varieties were caused by altered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transporting phytochemicals from intestinal lumens to silk glands, we performed the proximate, amino acid, mineral, carbohydrates, fatty acid, and cholesterol composition analyses of SMSPs of 3 silkworm varieties which were weaving light yellow, golden, and red cocoons. Although most of nutrient compositions among 3 SMSPs were simila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ertain amino acids, mineral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Red silk silkworm (RS)-SMSP had higher contents of crude proteins and total amino acids than other SMSPs. In addition, the ratio of n-3/n-6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higher than the other SMSPs. In contrast Golden silk silkworm (GS)-SMSP had higher ratio of potassium/sodium than the other SMSPs. These nutrient analysis results suggested that 3 SMSPs might have common and unique health improvement effects. Thus, further studies in the functionalities of the 3 SMSPs will reveal unknown their health improvements effects.

반하 용매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Solvent Extracts of Pinellia ternata)

  • 김준호;오혜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3-83
    • /
    • 2009
  • 암을 제외한 대부분의 성인병은 혈액순환과 관련된 혈관계 질환들로 이들에 의한 사망 비율의 합은 암의 비율과 비슷하게 나타나 혈관계 질환의 심각성을 나타내고 있다. 혈전에 의한 혈관계 질환은 혈전용해제와 트롬빈저해제를 이용하여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으며, a-glucosidase 저해제는 당뇨병 예방과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예로부터 민간요법에서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던 반하를 성인병 치료와 예방에 관련된 기능성식품의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반하 열수추출물을 유기 용매로 분획화하고 분획물의 혈전용해활성, 트롬빈저해활성, 혈당강하효과를 측정하였다. 혈전을 직접 용해하는 활성을 측정하기위해 100 mg/ml의 농도로 준비한 시료액을 fibrin plate 방법을 이용하여 혈전용해활성을 측정 결과 hexane 층, chloroform 층, ethyl acetate 층, butanol 층에서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물 층에서 만 0.8 plasmin unit의 높은 혈전용해활성을 나타냈다. 혈전의 형성을 억제하기위해 혈전형성의 필수 효소인 트롬빈의 활성을 저해하는 트롬빈저해활성을 측정하기위해 10 배 희석한 (10 mg/ml) 시료 용액을 이용하여 트롬빈저해활성을 측정결과 hexane 층에서 75.3%의 높은 트롬빈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ethyl acetate 층과 chloroform에서도 각각 43.3%와 39.7%의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탄수화물의 소화를 지연시킴으로서 소장에서 포도당의 흡수를 억제하여 혈관내 당의 농도를 조절하는 혈당강하제의 개발을 위해 준비된 조효소액(10 mg/ml)을 이용하여 a-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층과 hexane 층에서 각각 24.9%와 23.4%의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반하의 hexane 층과 ethyl acetate 층과 물층은 혈전관련 혈관계 질환과 당뇨병 관련 기능성 식품의 개발 소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최근 질병 치료에 효과는 크지만 부작용이 동반되는 화학약품들 대신 활성은 조금 뒤지지만 부작용이 없는 생약을 이용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오랫동안 민간용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반하는 안정성이 확인된 장점을 갖고 있어, 식품재료나 기능성 음료에 이용할 경우 장기간 섭취가 가능해 혈관계 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큰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야생버섯 메탄올추출물의 혈전용해 활성과 α-Glucosidase 저해 활성 (Fibrinolytic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Wild Mushroom Methanol Extracts)

  • 김준호;이은진;석순자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8-132
    • /
    • 2007
  • 오대산에 자생하는 야생버섯 60종의 메탄올추출물을 이용하여 혈관계 질환과 당뇨병의 치료에 효과 있는 버섯을 확인하기위해, 혈전용해 활성과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 11종의 버섯이 혈전용해 활성을 나타냈고, 6종의 버섯이 50% 이상의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뽕나무버섯류가 4.2 plasmin units의 가장 큰 혈전용해 활성을 나타냈으며, 독우산광대버섯, 미치광이 버섯류, 민자주방망이버섯이 2.3 plasmin units, 애괄대버섯은 2.1 plasmin units, 흰보라끈적버섯은 2.0 plasmin units 의 높은 혈전용해 활성을 나타냈다.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 측정결과 노란다발버섯이 98.5%의 가장 큰 저해 활성을 나타냈고 비단그물버섯과 점마개버섯도 60% 이상의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뽕나무벗섯류와 노란다발버섯은 혈관계질환 치료용 의약이나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ssessment of the willingness to pay in relation to public value in forests

  • Park, Jaehong;Kim, Sounghun;Hong, Seungjee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3호
    • /
    • pp.545-555
    • /
    • 2021
  • This study aimed quantitatively to estimate the recent level of recognition of the public value of forests in Korea,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value, and to present implications. The average annual payment regarding the public value of forests estimated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was 234,170 won, broken down into 12 functionalities. The Tobit model was used to analyze demographic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willingness to pay,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area of residence,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 household income, and visits to forest facilities all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the degree of willingness to pay. Among these variables, living area (living in Seoul), marriage status (married), occupation (professional and office workers), and household income (more than the median incom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willingness to pay, while age and the number of visits to forest facilitie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implement policies to enhance positive perceptions of the various functions of forests and the legitimacy of protecting forest resources, considering that the public's valuation of various public functions provided by forests is directly related to changes in perception. Second, public evaluations of the public value of forests remain at a low level, meaning that education and promotions regarding the public value of forests need to be implemented and strengthened in the future. Finally, in order to form a consensus among people on the public functions of forests, customized promotions and educational events need to be implemented for non-Seoul residents, non-professionals, the unmarried, and for those who regularly visit forests.

A comparativ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Korean mulberries for efficient seedling cultivation

  • Chan Young Jeong;Heon Woong Kim;Seong Ryul Kim;Hyun-Bok Kim;Kee-Young Kim;Seong-Wan Kim;Jong Woo Park;Ik Seob Cha;Sang Kug Kang;Ji Hae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7권2호
    • /
    • pp.147-154
    • /
    • 2023
  • Mulberry exhibi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ies across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the roots, branches, leaves, and fruits. However, despite numerous studies on mulberry, research on this plant at the seedling stage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suitability for seedling cultivation and antioxidant effects of four Korean mulberry cultivars, namely, Daesim, Suhong, Simgang, and Cheongsu. In terms of seed weight, germination rate, and growth rate, Daesim was the most suitable cultivar for seedling production.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all cultivars, except for Cheongsu, showed the highest phenolic content at the 2-week seedling stage. Similarly, antioxidant assays using 2,2'-azino-di-3-ethylbenzthiazoline sulfonic acid (ABTS) and 2, 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s revealed that the antioxidant effect of all cultivars, except for Cheongsu, increased with cultivation at 2- 4- and 6-week. However, mulberry seedlings had a slower reaction rate against DPPH radical removal than mulberry leaves. In addition,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a different correlation with polyphenol content. This phenomenon may be due to the different polyphenol compositions between mulberry leaves and seedl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ulberry seedlings exhibit different bioactivities from mulberry leaves, and component analysis is required in further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