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byproduct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33초

Antioxidant Activity of a Methanolic Extract from Prunus mume Byproduct in Cooked Chicken Breast Meat

  • Jo, Seong-Chun;Nam, Ki-Chang;Min, Byoung-Rok;Ahn, Dong-Uk;Cho, Sung-Hwan;Park, Woo-Po;Lee, Seung-Cheol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4호
    • /
    • pp.311-315
    • /
    • 2005
  •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methanolic extracts (PM) from the fruit of Prunus mume after liquor manufacturing were determined in a chicken breast meat system. When PM was added to chicken breast meat, 2-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 at day 3 was decreased by about $25\%$ compared to control meat without PM. PM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olor of chicken meat compared to the control. The amounts of volatile aldehydes and hydrocarbons were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PM. Hexanal was the predominant volatile compound in the control, accounting for the majority of total volatiles; PM reduced the amount of hexanal to $81\%$of that in the control meat at 3 days.

감귤 부산물을 급여한 제주 재래돼지고기의 섭취가 흰쥐의 지질대사, 단백질 농도 및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at Supplementation of Jeju Native Black Pigs Fed Tangerine Byproduct on Lipid Metabolism, Protein Level and Enzyme Activities in Rats)

  • 고진복;양승주;정인철;현재석;문윤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5-182
    • /
    • 2006
  • 감귤 부산물을 급여하지 않은 제주 재래돼지고기($T_0$)와 육성기와 비육기에 각각 8%와 15% 급여한 돼지고기($T_1$)를 흰쥐의 사료에 단백질로 환산하여 12%되도록 첨가하였다. 이 사료를 생후 17주령의 흰쥐에 4주간 급여하여 영양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흰쥐의 사료 섭취량, 사료효율 및 체중 증가량은 $T_0$$T_1$사이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흰쥐의 간, 신장, 비장 및 부고환 등 장기의 무게와 간의 중성지질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T_0$$T_1$ 사이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혈청의 총지질, 인지질,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단백질, 혈당, 혈색소, 무기질 함량, 그리고 ${\gamma}$-GTP, ALT, AST 및 ALP 활성은 $T_0$$T_1$이 비슷한 경향이었다. 혈청의 HDL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T_1$$T_0$에 비하여 증가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Sericultural Byproduct Industry in China

  • Gui, Zhongzheng;Guo, Xijie;Fuan, Wu;Jianyi, Da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7권1호
    • /
    • pp.1-4
    • /
    • 2003
  • Sericulture is a traditional agro-industry, which involves mulberry cultivation and silkworm rearing, has made great contributes to the human civiliz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and modem technology, mulberry and silkworm are being used to develop products with functionality besides the traditional cocoon production in China. In this paper, we brief the current developing situation of sericultural byproducts with functionality in the following aspects. (1) Functional products from silkworm larvae: silkworm powder, white muscardine silkworm,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anti-bacterial proteins from the larvae and production of medically valuable substances by Bombyx mori nuclear polyhedrosis virus (BmNPV) vector. (2) Utilization of silkworm feces: for pillow and for isolation of chlorophyll etc. (3) Production of valuable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like Cordyceps sinensis with pupae, functional utilization of pupa protein and chitin. (4) Silk as additives to cosmetics, silk food and medical materials. (5) Functional utilization of mulberry: cultivation of edible fungus on mulberry shoots as medium, mulberry fruit drinks, mulberry tea, etc. The prospect of sericultural byproduct industry in China is also discussed.

Integrated Whole-Cell Biocatalysis for Trehalose Production from Maltose Using Permeabilized Pseudomonas monteilii Cells and Bioremoval of Byproduct

  • Trakarnpaiboon, Srisakul;Champreda, Verawat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8호
    • /
    • pp.1054-1063
    • /
    • 2022
  • Trehalose is a non-conventional sugar with potent applications in the food, healthcare and biopharma industries. In this study, trehalose was synthesized from maltose using whole-cell Pseudomonas monteilii TBRC 1196 producing trehalose synthase (TreS) as the biocatalyst. The reaction condition was optimized using 1% Triton X-100 permeabilized cells. According to our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experiment, the optimal process was achieved at 35℃ and pH 8.0 for 24 h, resulting in the maximum trehalose yield of 51.60 g/g after 12 h using an initial cell loading of 94 g/l. Scale-up production in a lab-scale bioreactor led to the final trehalose concentration of 51.91 g/l with a yield of 51.60 g/g and productivity of 4.37 g/l/h together with 8.24 g/l glucose as a byproduct. A one-pot process integrating trehalose production and byproduct bioremoval showed 53.35% trehalose yield from 107.4 g/l after 15 h by permeabilized P. moteilii cells. The residual maltose and glucose were subsequently removed by Saccharomyces cerevisiae TBRC 12153, resulting in trehalose recovery of 99.23% with 24.85 g/l ethanol obtained as a co-product. The present work provides an integrated alternative process for trehalose production from maltose syrup in bio-industry.

매실 리큐르 제조 부산물인 매실 과육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Added with Prunus mume Byproduct Obtained from Liquer Manufacture)

  • 채명희;박나영;정은주;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267-1272
    • /
    • 2006
  • 매실리큐르 제조 후 생성되는 매실 부산물을 10%, 20% 농도로 식빵 제조시 첨가하여 대조구와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반죽과 식빵의 pH는 매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산도는 증가하였다. 반죽의 발효팽창력과 굽기손실율은 매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매실 과육을 첨가한 식빵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게는 증가하였으나 부피는 감소하였다. 매실 과육 10% 첨가한 반죽의 L값은 대조구와 유사하였고, 20% 첨가구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값은 감소하였으며,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빵 표면의 L값은 매실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증가하였으며 적색도(a)는 감소하였다. b값은 매실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빵 내부의 색도는 매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하고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빵의 조직감은 10% 첨가구의 hardness와 strength는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20% 첨가구는 증가하였다. Cohesiveness와 springiness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첨가농도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식빵의 관능검사 결과 맛과 풍미는 매실 과육 10% 첨가구의 기호성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외 색택, 씹힘성, 빵의 부드러운 정도(softness) 그리고 종합적 기호도의 유의적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매실 과육 20% 첨가한 식빵은 대조구에 비해 기호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매실과 리큐르 부산물인 매실박의 항균활성 비교 (Antibacterial Activity of Fresh Prunus mume and Prunus mume Liqueur Byproduct)

  • 박나영;채명희;이신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7-81
    • /
    • 2007
  • 매실 리큐르 제조 부산물인 매실(매실박)에도 항균활성이 잔존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생매실과 매실박을 동결 건조한 분말기 에탄을 추출물이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매실박의 항균활성이 생매실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높은 항균활성을 유지하였다. 공시 병원성 미생물은 배양 12시간째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배양 24시간째 $10^7CFU/mL{\sim}10^9CFU/mL$을 나타내어 비교적 양호한 성장을 나타내었다. L. monocytogenes ATCC 19115, B. cereus KCCM 11341은 생매실과 매실박 추출물 1% 첨가시 배양 12시간째부터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S. sonnei SG 48, E. coli O157:H7은 배양 24시간째에 검출되지 않았다. Sal. Typhimurium ATCC 14028의 경우, 매실박 추출물 1% 첨가구는 24시간째 $10^2CFU/mL$을 나타내어 배양 시간이 증가할수록 균수가 감소하였으나, 생매실 추출물의 경우 배양 12시간째부터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매실 및 매실박 추출물은 L. monocytogenes Scott A의 성장을 뚜렷하게 억제하였으며, 매실박과 생매실 간의 항균활성의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Staph. aureus KCCM 12255와 P. fluorescens ATCC 21541은 배양기간 동안 생매실 또는 매실박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성장이 뚜렷이 억제되었다. 공시 병원미생물에 대해 생매실 추출물은 매실박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매실 리큐르 제조 후 부산물로 나오는 매실박 추출물도 병원성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는 뚜렷하였다.

국수의 품질에 미치는 매실 리큐르 제조 부산물인 매실과육의 첨가효과 (Effect of Prunus mume Byproduct Obtained from Liqueur Manufactur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 박나영;채명희;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461-1466
    • /
    • 2006
  • 매실 리큐르 부산물인 매실을 식품첨가물로 사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과육을 분쇄하여 생국수 제조시 10%, 20%, 30% 첨가하여 국수의 품질과 저장성을 조사하였다. 삶은 국수의 무게와 부피, 국물의 탁도를 측정한 결과 매실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무게는 증가하였고 부피는 감소하였다. 조리중의 고형분 손실 정도를 나타내는 국물의 탁도는 대조구에 비해 매실첨가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첨가구간의$(10%\sim30%)$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매실 첨가 국수는 외관과 색은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조직감과 풍미, 맛과 종합적 기호도는 10% 첨가구와 20%가 대조구에 비해 양호하였다. 국수를 $10^{\circ}C$에서 30일 동안 저장하면서 pH, 산도와 총균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pH는 매실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저장기간 동안 뚜렷한 pH 변화는 나타내지 않았으며 산도도 이와 유사하였다. 총균수는 전 저장기간 동안 20%, 30% 첨가구에서는 뚜렷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Conversion of Citron (Citrus junos) Peel Oil by Enterobacter agglomerans

  • PARK , YEON-JIN;KIM, IN-CHEOL;BAEK, HYUNG-HEE;BANG, OK-KYUN;CHANG, HAE-C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1275-1279
    • /
    • 2004
  • Citron peel oil was extracted from citron (Citrus funas) fruit by steam distillation, and was used as starting material for microbial conversion to synthesize attractive flavor compounds by using Enterobacter agglomerans 6L. E. agglomerans was isolated from citron peel and was able to metabolize the citron peel oil and grew well ($A_{600}:\;3.0$) on the citron peel oil as the sole carbon source. Multiple terpene metabolites were produced by E. agglomerans 6L on M9 salt media with citron oil vapor. The identified bioconversion products from the citron peel oil included trans-2-decenal, octanol, $\delta$­valerolactone, $\gamma$-valerolactone, cryptone, hydroxycitronellol, cuminol, and $\gamma$-dodecalactone.

명일엽 가공산물의 대사 에너지 함량 평가 (The Evaluation of Metabolizable Energy of Angelica Keiskei (Angelica utilis Makino) Products)

  • 김은미;최진호;최금부;여익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1호
    • /
    • pp.5-11
    • /
    • 2010
  • 본 연구는 명일엽과 그 가공산물의 대사에너지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명일엽 전초, 명일엽 녹즙, 녹즙박, 발효녹즙 및 녹즙 + 녹즙박 5가지 식품을 기초식이에 30% 첨가하여 실험식이를 제조하였다. 기초식이는 AIN93M을 사용하였다. 실험용 쥐는 실험군당 6마리를 사용하였고, 3일간 실험식이에 적응시킨후 4일간 식이섭취량을 측정하고 분과 뇨를 모두 수거하였다. 수거한 분과 뇨는 bomb calorimeter로 gross energy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명일엽 가공산물의 대사에너지 함량은 명일엽 1,286.8 kcal/kg, 명일엽 녹즙 1,642.6 kcal/kg, 발효녹즙 2,044.8 kcal/kg, 녹즙박 1,687.5 kacl/kg, 명일엽 녹즙 + 녹즙박 1,763.0 kcal/kg이었다. 수분을 함유한 원물은 각각 193, 82, 102, 270 및 216 kcal/kg이었다. 이를 여러 에너지환산계수를 이용한 에너지가와 비교한 결과 20~60% 차이를 보였다. 특히 원물에서 명일엽은 식품성분표에서는 340 kcal/kg의 열량가를 갖는 것으로 발표되었지만, 동물을 이용한 대사에너지 측정치는 193 kcal/kg으로 76% 낮게 나타났다. 이는 섬유소 함량이 높은 명일엽과 가공 산물들은 실험동물을 이용한 방법이 energy conversion factor로 계산한 수치보다 정확한 대사에너지 함량을 구하기에 더 적합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압착여과와 열풍에 의한 비지의 건조 (Dehydration of Soybean Residue by Hot-air in Conjunction with Filter Pressing)

  • 정성수;장호남;박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7
    • /
    • 1978
  • 식품으로의 이용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알려진 두유(豆乳) 제조시 부산물로 얻어지는 비지를 보존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열풍건조를 실시하였다. 비지의 고형성분은 단백질 26.55%, 지방 12.50%, 회분 4.04%, 탄수화물 48.71%이었다. 건물중량비로 593%의 수분함량을 갖고 있는 비지를 기계적으로 압착하여 378%까지 수분함량을 감소시켰다. 이 때의 적합한 압착조건은 압착하중 $0.5\frac{M}{T}$, 압착시간 5분 이었다. 압착에 의하여 수분함량이 감소된 비지를 지름이 3mm, 길이가 10mm정도 크기의 과립모양으로 만들었다. 이러한 과립상 비지를 얇은층으로 쌓아 10%의 수분함량까지 열풍건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건조조건(열풍속도 160fpm, 건조온도 $120^{\circ}C$)에서 95분간 건조시킨 건조비지의 외관상의 품질변화가 거의 문제가 되지 않음이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