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allergies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2초

성동구내 어린이집 어린이의 알레르기 질환과 허약아의 실태 및 관련성에 대한 보고 (The Relationships between Allergy and Weakness in Children in Seong-Dong District)

  • 박유진;윤지연;명성민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2-125
    • /
    • 201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llergy and weakness in children in Seong-Dong district. Methods 802 day care centers children were participated for survey on allergic disease, risk factors, and weakness. From the result,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forementioned factors. Results 1. 802 children were participated for the survey. We eliminated survey answers with unclear answers, and selected 792 survey sheets as our final subject of study. The age of majority of subjects(720 children) were between one to six years old, and the others were under the age of one and over seven. 2. The prevalence rate of asthma in a lifetime was 6.69%, allergic rhinitis was 14.87%, atopic dermatitis was 28.82%, allergic conjunctivitis was 6.29%, food allergies was 9.58%, and drug allergies was 1.4%. In 2009, the prevalence rate of allergies during treatments is 6.69% for asthma, 13.41% for allergic rhinitis, 13.64% for atopic dermatitis, 4.13% for allergic conjunctivitis, 5.23% for food allergies, 0.96% for drug allergies. 3. The significant risk factors were types of dwelling, pet with fur, dirty environments without vacuum cleaners, the numbers of times bed covers were washed, frequency of air ventilation, changes in body after moving, family history. 4. The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children with weakness within the five visceras were respiratory weakness, digestive weakness, psychoneurologic weakness, neuromotor weakness, and urogenital weakness in the order of most to the least. More specifically, children who only has respiratory weakness were the majority, while children who have respiratory and digestive weaknesses, children who have respiratory, digestive, and psychoneurologic weaknesses, children who have respiratory and psychoneurologic were followed. 5. With the exception of children with urogenital weakness, Most of the children with respiratory weakness, digestive weakness, psychoneurologic weakness, and neuromotor weakness had been treated for allergies in 2009, while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allergic diseases at least once in their lifetime most likely had weak respiratory, digestive or psychoneurologic system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children with weak viscera and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s. However, further research would be necessary.

청소년과 성인의 식품 알레르기 예방을 위한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실태 및 개선안 연구 (Study on Incidence and Improvement of Food Allergies for Prevention of Damage in Adolescents and Adults)

  • 김미정;심기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14-528
    • /
    • 2014
  • 본 연구는 식품 알레르기의 발생 실태를 조사하여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고, 국민의 식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기 위해서 10대 이상의 청소년과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실태와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개선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은 남자가 32.9%, 여자는 67.1%인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40~50세 미만이 3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력을 보면 대학교 재학 졸업이 56.4%로 가장 높았고, 직업은 사무관리직과 주부가 21.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에서는 100~200만 원 미만과 300~400만 원 미만이 18.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월 평균 식비에서는 30~50만 원 미만이 23.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실태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의 41.1%가 식품으로 인한 알레르기를 한번이라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시 증상 부위로는 피부가 80.3%로 가장 높았는데, 연령에 따라서는 피부에서 13세 이상 20세 미만이 88.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호흡기는 40~50세가 15.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소화기(20.0%)와 전신(6.7%)은 50세 이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식품 알레르기 발생 횟수로는 연 2~3회가 4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시 대처 방법으로 병원치료를 한다는 응답이 전체의 53.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약물치료 20.6%, 별다른 대처하지 않음 16.0%, 기타 6.1%, 알레르기 원인 식품 제한 3.8% 순으로 나타났다. 50세 이상을 제외하고 모든 연령에서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시 병원치료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서, 연령에 따라서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시 대처하는 방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식품 알레르기의 유발 식품으로는 총 44종의 식품 중에 인스턴트 식품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패스트푸드, 계란, 생선, 우유, 돼지고기, 새우, 갑각류, 견과류 등에 의한 알레르기 발생 비율이 높고, 과일에 의한 알레르기는 복숭아를 제외하고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항목에 대해서는 알레르기 식품 표시제의 개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소비자의 관심과 노력, 식품 제조업자의 교육과 관리, 알레르기 식품 표시제의 홍보, 정부의 관리 감독 강화, 전문가에 의한 진단과 관리, 소비자 대상 예방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식품 알레르기를 경험한 사람이 비교적 많은 것에 비해서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증상이 발생되었을 때에 적절한 진단과 체계적인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식품 첨가물의 섭취 증가로 인해 인스턴트 식품과 패스트푸드에 의한 알레르기 발생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알레르기 식품 표시제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연합이나 미국 등지에서는 알레르기 식품 표시 대상 품목을 포괄적인 통칭명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들 국가와 FTA로 식품의 수입과 수출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국제적인 교역증대를 위해서 뿐만이 아니라, 국내 수입식품의 관리를 위해서라도 13개 품목으로 한정되어 있는 알레르기 식품 표시를 포괄적인 통칭명으로 규정하도록 하고, 가공식품에 대해서만 표시를 의무화하던 기존 정책을 비포장식품에 대해서도 표시를 의무화하도록 알레르기 식품 표시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서구화된 식생활과 가공식품의 섭취 증가로 식품 알레르기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알레르기 식품의 표시제의 개선과 적극적인 홍보, 그리고 대체식품 안내를 위한 소비자 교육 등도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전문가의 진료와 진단을 통하지 않고 소비자들의 판단으로만 설문 조사를 수행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향후 국가적인 차원에서 식품 알레르기에 대해 정책과 관리가 동행된다면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위해를 미연에 방지하여 국민 보건을 증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최근에는 해외로 수출된 국내 식품들이 해당 국가에서 표시위반으로 리콜되는 사례도 빈번한 만큼, 식품 알레르기 표시제가 국제적인 기준에 적합하도록 개선이 요구된다. 본 연구 결과에서 보듯이 식품 알레르기 표시제의 전반적인 개선을 통해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소비자의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국민의 식생활 안정을 도모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종합적인 식품 안전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해 본다.

식품 알레르기의 유병률과 알레르겐 분석 (An Analysis on Prevalence and Allergen of Food Allergies)

  • 이계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9권1호
    • /
    • pp.14-24
    • /
    • 2014
  •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유병률과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품의 종류를 알아내기 위해, 설문지 조사와 피부단자시험을 실시하였고, 또한 최근 국내외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자료 고찰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 설문지에 의한 성별 식품 알레르기 증상 유병률은 남자에서는 25.6%, 여자는 25.8%로 남녀 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별로는 남자는 40-49세가 31.8%, 여자에서는 30-39세가 32.6%로 가장 높았다. 성별과 식품 항목에 의한 식품 알레르기의 유병률은 남자는 고등어가 6.6%로 가장 높았고, 여자는 복숭아가 7.4%로 가장 높았다. 성별에 의한 식품 알레르기 증상 유병자 중 피부단자시험 양성률을 보면 남자에서 21.4%의 양성률을, 여자에 있어서는 14.7%의 양성률을 나타내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p=0.018)가 있었다. 식품 항목별 양성률을 보면 남자에서는 호프가 58.9%로 가장 높았고, 여자에서는 계란이 36.4%로 가장 높은 양성률을 나타냈으며, 돼지고기, 새우 가재, 호프, 그리고 토마토에서 통계적으로 남녀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피부단자시험을 통하여 우리나라 식품 알레르기 증상 추정 유병률은 남자 5.0%, 여자 3.6%였으며,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흔한 식품으로는 호프, 고등어, 새우, 가재, 게, 돼지고기, 우유, 계란 등이 포함된다고 생각한다. 최근 국내외 식품 알레르기에 관한 자료 분석에서 식품 알레르기 유병률은 1-35% 범위로 나타났으며,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주요 식품은 우유, 계란, 견과류, 생선, 조개, 갑각류 그리고 과일 채소 등으로 확인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그리고 최근 국내외 식품 알레르기에 관한 자료를 분석한 첫 시도로써 향후 우리나라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근거자료의 토대가 될 것이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할 때는 식품 알레르기의 유병률과 알레르겐을 포함한 대처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전국 아동병원 영양사의 식품알레르기 관련 인식도 및 수행도: 임상영양사 자격증 유무에 따른 비교 (Food Allergy-related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Dietitians at Children's Hospitals in Korea: Comparison of Certificate Possession among Clinical Dietitians)

  • 신혜란;김숙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12-524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ood allergy-related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dietitians at children's hospital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have a clinical dietitian certificate.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41 dieticians at children's hospitals registered as a part of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The survey consisted of questionnaires examining general characteristics, nutritional counseling-related characteristics, and food allergy-related characteristics (food allergy-related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We examin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atus of clinical dietitian certification. Results: The proportion of subjects who were holders of clinical dietitian certificates was 48.8%.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holders of clinical dietitian certificates and non-holders as follows. Regarding nutritional awareness and performance, 'needs to provide nutrition counseling in children's hospitals', 'providing nutrition counseling services in working hospitals', and 'whether there is a nutrition counseling room' scored higher among holders of clinical dietitian certificates than non-holders. Holders of clinical dietitian certificates showed higher scores for knowledge of food allergy symptoms and food allergy management than non-holders. For food allergy awareness and performance, 'self-assessment of food allergy knowledge understanding level', 'awareness of open oral food challenge (OFC)', 'recognition of the need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on food allergy for patients / guardians', and 'food allergy related educational experience' scored higher among holders of clinical dietitians certificates than in non-holders. Conclusions: Children's hospital dietitians with a clinical dietitian certificate showed high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related to food allergies. It is thus necessary to employ a clinical dietitian for food allergy management in children's hospitals. In addition, training and conservative education are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of food allergies for children's hospital dietitians.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초등학교 고학년의 식생활·환경적 요인 및 성장과의 관련성 분석 (Risk Factors for Allergic Diseases in School-Aged Children)

  • 민선애;조미진;박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387-1394
    • /
    • 2013
  • 본 연구는 대구 지역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질환 환자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한 후, 알레르기 유병과 관련이 있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고 알레르기 유병여부에 따른 대상자의 성장 수준 및 영양 섭취 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조군과 비교하여 환자군의 어머니 교육수준이 더 높았으며, 부모 및 형제의 알레르기 질환 유병 비율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출생 순위가 더 낮은 경향을 보였고, 출생 당시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와 이유식 섭취 후 부작용을 경험한 비율이 더 높았다. 셋째, 현재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반영하는 최근 병원 진료 경험 빈도와 감기 및 소화질환 경험 빈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환자군에게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넷째, 아동의 알레르기 질환 위험을 높이는 가장 강력한 요인은 부모 및 형제의 알레르기 질환력이었다. 전 세계적으로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위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우유알레르기 환아의 대두알레르기 발생 빈도 (Prevalence of soy allergy by cow milk-allergic infants in Korea)

  • 손대열;이찬;박기환;오상석;이상일;안강모;한영신;남승연;윤광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01-505
    • /
    • 2001
  • 대두 단백 제조유는 우유에 대해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소아들에게 우유 알레르기를 치료하며 아토피의 예방을 위해 대체식품으로 1929년이래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대두 단백 제조유는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시킬 수 있어서 이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아직도 많은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우리나라 식품 알레르기 환아에 대한 상황파악은 유럽이나 미국과 비교해 볼 때 아직도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소아들의 우유 알레르기와 상관하여 대두 알레르기 발생 빈도 조사에 있다. 본 연구에서 임상적 증상을 나타내는 153명의 환아들 중에서 대두 또는 우유 단백질에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환자가 각각 21% 또는 51.6%로 나타났다. 그리고 22명(14%)의 환아들은 우유와 대두 두가지 단백질에 모두 알레르기 증상을 나타내었다. 우유알레르기 환자의 경우는 27.8%의 소수 환아가 대두단백질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여 주었으나, 대두 알레르기 환자는 대부분(68.8%)이 우유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Differential induction of allergy responses by low molecular weight wheat proteins from six wheat cultivars

  • Cho, Miju;Lee, Hyeri;Hwang, Min Hee;Cheong, Young-Keun;Kang, Chon-Sik;Lee, Nam Taek;Chung, Namhy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1호
    • /
    • pp.55-59
    • /
    • 2017
  • Although wheat is a common staple food in the world, some people suffer from a variety of wheat allergies. For example, wheat-dependent exercise-induced anaphylaxis is induce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by wheat proteins. Relatively high molecular weight proteins that are salt-insoluble induce many wheat allergi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induction of an allergy response using crude wheat proteins, which are relatively low molecular weight, salt-soluble proteins. The crude antigen used in this study was extracted using phosphate buffered saline. When the antigen extracts from various wheat cultivars were orally administered, differentiable degrees of allergy responses were observed as measured by serum IgE and histamine secretion compared to the control. Serum IgE levels increased following administration of three of the wheat extracts. This evidence suggests that a combination of salt-soluble wheat proteins could be antigens for the induction of various allergy responses.

Food allergy

  • Han, Young-Shin;Kim, Ji-Hyun;Ahn, Kang-M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5권5호
    • /
    • pp.153-158
    • /
    • 2012
  • Food allergy is an important public health problem affecting 5% of infants and children in Korea. Food allergy is defined as an immune response triggered by food proteins. Food allergy is highly associated with atopic dermatitis and is one of the most common triggers of potentially fatal anaphylaxis in the community. Sensitization to food allergens can occur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class 1 food allergy) or as a consequence of cross reactivity to structurally homologous inhalant allergens (class 2 food allergy). Allergenicity of food is largely determined by structural aspects, including cross-reactivity and reduced or enhanced allergenicity with cooking that convey allergenic characteristics to food. Management of food allergy currently focuses on dietary avoidance of the offending foods, prompt recognition and treatment of allergic reactions, and nutritional support. This review includes definitions and examines the prevalence and management of food allerg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food allergens.

식품알레르기 (Food allergy)

  • 이재천;김철우
    •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
    • 제19권3호
    • /
    • pp.90-94
    • /
    • 2022
  • Food allergy is one of the adverse food reactions, which is developed by immunological reactions. Food allergy is increasing in prevalence among children and adults. In the diagnosis, food challenge is confirmative with history and laboratory tests. Avoidance of culprit food is the only preventive method, especially in patients with severe symptoms. In some food allergies, cross-reactivity among allergens should be considered. Latex-fruit/vegetable syndrome and pollen food allergy syndrome are well-understood phenotypes of food allergy related to cross reaction. Red meat allergy is recently described as one of tick-borne diseases. In a rare phenotype of food-dependent exercise-induced anaphylaxis, factors affecting the absorption of food allergen are important in its pathophysiology.

항알러지와 건강 기능성식품에 의한 식품 알러지 개선방안

  • 임병우;김주영
    • 식품기술
    • /
    • 제15권4호
    • /
    • pp.29-35
    • /
    • 2002
  • To prevent the incidence of type food allergies, removal of food allergens by excluding all foodstuffs containing the allergen(s) or disruption of allergen(s) using proteases has been employed. Though allergen- specific digestion with a protease worked well in the preparation of low allergenic goods, it is often difficult to destroy allergenicity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nutritive value, taste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foods. In the present study, we represented that herbs component contained both allergy- enhancing and inhibiting factors, in addition to llergens. We also reported that herbal component such as epigallocatechingallate (EGCG) and epicatechingallate (ECG) is possible to be allergy- inhibiting factors, but the exact mechanism by which they alleviate allergic response is left to be clarifying. Document of allergy enhancing factors and enrichment of allergy inhibiting factors may provide a new approach to diminish allergenicity of various foodstufffs. Clarification of the allergic reaction modifying mechanism of food components and optimization of the intake of allergy modifying factor are necessary for decrement of allergenicity of conventional food and prevention of incidents of allergic respon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