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llicular phase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9초

Influence of Reproductive Status, Serum Type and Estradiol-17β Supplementation on the in vitro Maturation of Canine Oocytes

  • Heru, Fibrianto Yuda;Kim, Min-Kyu
    • 농업과학연구
    • /
    • 제35권2호
    • /
    • pp.167-176
    • /
    • 2008
  • Supplementation of serum and estrogen in in vitro maturation(IVM) medium was shown to improve embryo development and quality in several spec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ovarian estrus stage on canine oocyte quality and supplementation of medium with canine serum or estrogen on IVM of canine oocytes. As results, in experimental 1, IVM oocytes collected from follicular stage ovaries to MII stages($10.2{\pm}1.5%$) was higher (p<0.05) with 10% canine estrus stage serum than control($1.3{\pm}1.6%$), anoestrus stage serum($4.0{\pm}1.6%$), luteal stage serum($2.7{\pm}1.7%$) and 10% FBS($1.3{\pm}1.6$). In experimental 2, 10% canine estrus stage serum supplementation has highest maturation rate to MII stages($10.0{\pm}1.8%$)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05) with another treatment in follicular stages group.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ynergic effect of estrous serum and estrogen supplementation, different estrous stage groups of oocytes were cultured with 2 ug/ml estrogen plus various concentrations of different reproductive stage serum and FBS(experimental 3). As results, the rate of maturation to metaphase II(MII) stage was significantly higher(p<0.05) in oocytes from the follicular stage supplemented with estrogen and 10% canine estrus stage serum(11.5%) compared to the other groups(6.0 - 8.8%). The present study was demonstrated that canine serum and the estrus cycle of the bitch affect the meiotic competence of oocytes. Hormonal influences within the follicle may be one of the factors responsible for the greater proportion of maturation of oocyte to MII from bitches at the follicular phase.

  • PDF

Consecutive versus concomitant follicle-stimulating hormone and highly purified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A milder response but better quality

  • Maghraby, Hassan Ali;Agameya, Abdel Fattah Mohamed;Swelam, Manal Shafik;El Dabah, Nermeen Ahmed;Ahmed, Ola Youssef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9권2호
    • /
    • pp.135-141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two stimulation protocols using highly purified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HP-hMG) on the endocrine profile, follicular fluid soluble Fas levels, and outcomes of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cycles. Methods: This prospective clinical trial included 100 normal-responder women undergoing ovarian stimulation for ICSI; 55 patients received concomitant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plus HP-hMG from the start of stimulation, while 45 patients received FSH followed by HP-hMG during mid/late follicular stimulation. The primary outcome was the number of top-quality embryos. The secondary outcomes were the number and percentage of metaphase II (MII) oocytes and the clinical pregnancy rate. Results: The number of MII oocyt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comitant protocol (median, 13.0; interquartile range [IQR], 8.5-18.0 vs. 9.0 [8.0-13.0] in the consecutive protocol; p=0.009); however, the percentage of MII oocytes and the fertilization 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secutive protocol (median, 90.91; IQR, 80.0-100.0 vs. 83.33 [75.0-93.8]; p=0.034 and median, 86.67; IQR, 76.9-100.0 vs. 77.78 [66.7-89.9]; p=0.028, respectively). No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top-quality embryos (p=0.693) or the clinical pregnancy rate (65.9% vs. 61.8% in the consecutive vs. concomitant protocol, respectively). The median follicular fluid soluble Fas antige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comitant protocol (9,731.0 pg/mL; IQR, 6,004.5-10,807.6 vs. 6,350.2 pg/mL; IQR, 4,382.4-9,418.4; p=0.021). Conclusion: Personalized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using HP-hMG during the late follicular phase led to a significantly lower response, but did not affect the quality of ICSI.

체외수정시술을 위한 과배란유도시 GnRH Agonist(Lupron)와 성선자극호르몬 복합 투여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The Efficacy of a Combination Administration of GnRH Agonist(Lupron) and Gonadotropins for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in IVF Program)

  • 문신용;이진용;장윤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7권1호
    • /
    • pp.29-44
    • /
    • 1990
  • In 105 patients with the past history of poor response to the previous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COH) due to poor follicular growth or premature LH surge, the effectiveness of pituitary suppression with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GnRH agonist) in IVF/GIFT program was evaluated in 112 cycles of COH using a combination regimen of Leuprolide acetate (Lupron TAP Pharmaceuticals, USA) and FSH/hMG or pure FSH from May to December, 1989 at SNUH. Starting on day 21 of the menstrual cycle(MCD #21, Day 1), Lupron (1.0mg/day, subcutaneous) was administered once a day till next MCD #3(suppression phase). After the confirmation of pituitary suppression, ovarian follicular growth was stimulated with FSH/hMG or pure FSH from MCD #3(Day + 1), and Lupron was continued with hMG or FSH until hCG administration (D 0) (stimulation phase). After suppression phase, serum E2 level decreased from 183.7${\pm}$95.1(Day 1) to 17.4${\pm}$12.3pg/ml (Day +1), and serum progesterone level from 19.17${\pm}$8.67 to 0.12${\pm}$0.05ng/ml. But there was no decresas in serum LH and FSH levels; LH from 12.74${\pm}$6.21 to 15.49${\pm}$4.93mIU/ml,FSH from 7.60${\pm}$3.84 to 8.58${\pm}$3.15 rnlU/ml. There was no occurrence of premature LH surge during COH. Eleven cycles(9.8%) were cancelled due to poor follicular growth during stimulation phase, and 3 cycles (3.0%) failed in the transvaginal oocytes fretrieval. Serum E2 level was 1366.8${\pm}$642.4 on D 0 and 1492.3${\pm}$906.9pg/ml on D+1. 7.00${\pm}$3.32 follicles(FD${\geq}$12mm) were observed on D 0, and 6.11${\pm}$4.15 oocytes were retrieved, with the oocyte retrieval rate per follicle of 95.0%. 3.59${\pm}$2.57 oocytes were fertilized and cleaved with the oocyte cleavage rate of 55.7%. In 83 IVF patients, 4.08${\pm}$2.39 embryos were transferred, and 16 pregnancies were obtained with the pregnancy rate per ET 2.39 mebryos were transferred, and 16 pregnancies were obtained with the pregnancy rate per ET of 19.3%. In 6 GIFT patients, 7.83${\pm}$3.31 oocytes were retrieved and transferred with maximum number of 6, but no pregnancy was obtained. When compared with the previous 108 cycles of COH using FSH/hMG or pure FSH regimen, the cancellation rate during COH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all the parameters of the outcome of COH including the pregnancy rate were increased. These data suggest that GnRH agonist therapy for pituitary suppression is an effective adjunct to the current gonadotropin regimens for COH in IVF/GIFT and can increase the probability of oocytes retrieval and pregnancy, especially in the previous poor responders.

  • PDF

난소제거된 Shiba 염소에서 다른 농도의 Progesterone 처치에 의한 FSH Surge 및 Pulse 분비에 미치는 영향 (Patterns of Pulsatile and Surge Modes of Follicle-Stimulating Hormone Treated with Different Progesterone Levels in Ovariectomized Goats)

  • 김승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25-23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FSH 분비 조절에 있어서 각각 다른 progesterone (P) 농도가 Pulse 또는 Surge 형태의 분비 패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구한다. 선행된 연구에서 LH surge는 난포기 (follicular phase)에서 보이는 P 농도에서만 발현되었고 황체기(luteal phase) 또는 아황체기(subluteal phase) P 농도에서는 완전히 억제되었다. 또한 LH pulse 분비는 황체기 P농도에서만 시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나 난포기 또는 아황체기 농도에서는 높은 빈도로 유지되었다. 즉 아황체기 P농도 (스트레스, 황체형성부전에서 발생)는 LH surge는 억제시키나 LH pulse 조절에는 아무런 영향을 마치지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FSH surge 및 pulse 분비패턴을 알아보기 위해 난소가 제거된 Shiba 염소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난포기, 아황체기, 기능성황체기의 P 농도 및 estradiol(E) 농도를 유도하였다. 스테로이드 호르몬 농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매일 혈액을 채취하였으며, LH pulse 용 혈액은 10분 간격으로 8시간 동안 Day 0, Day 3, Day 7 (Day 0: P packet 이식 직전)에 연속채혈을 실시하고, LH surge 분비패턴은 Day 8에 16시간 estradiol를 3 ${\mu}g/h$ 농도로 주사하고, 52시간 동안 2시간 간격으로 채혈을 실시했다. 그 결과 유도된 P 농도는 염소의 정상적 발정주기에서 볼 수 있는 난포기(<0.1 ng/ml), 아황체기($1.1{\pm}0.1$ ng/ml), 황체기 ($3.3{\pm0.1}$ ng/ml) 수준의 농도로 유도되었다. FSH pulse 분비는 3그룹에서 모두 높은 빈도로 유지되었고, FSH surge는 LH surge와 같은 시간대에서 난포기 그룹에서만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FSH pulse는 LH pulse에서 보이는 progesterone에 의한 억제 효과와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FSH 분비 조절에 있어서 LH 분비와 다른 기전 및 요소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월경전기변화와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간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Changes and Degree of Stress Perception)

  • 김회경;조숙행;신동균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1호
    • /
    • pp.61-71
    • /
    • 1999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월경전기변화와 스트레스의 상호관계를 알기 위해 전향적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월경전기 변화가 확인된 군(n=32)과 확인되지 않은 군(n=62) 간에서 황체기와 난포기간의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방법 : 30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여성 94명을 대상으로 월경전기 동안의 심리적, 신체적 변화를 평가 하기 위해 DSM-IV에 제시되어 있는 월경전불쾌기분장애(PMDD) 의 진단기준 A의 11개 항목에 기초한 매일 평가서(Daily Rating Form)를 한 번의 월경주기 동안 매일 작성하고, 스트레스 지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5점 likert 척도를 이용해 매일 평가하도록 했다. 결과 : 1)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은 32명이었고 확인되지 않은 군은 62명으로 두 군간에 인구 통계학적 변인(연령, 교육 정도, 결혼, 직업 등) 및 월경전기변화의 위험 요소(초경 연령, 월경전기변화의 규칙성, 월경 기간, 월경량, 월경 주기, 월경통 등)에 차이는 없었다. 2)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의 평균 황체기 스트레스 점수($1.92\pm0.63$) 와 확인되지 않은 군의 평균 황체가 스트레스 접수($1.5\pm0.42$)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두 집단간에 평균 난포기 스트레스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중년 여성에서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을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황체기 심리 증상을 더 많이 보고 하였으나(F=13.362, df=1, p<0.001) 신체 증상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년 여성에서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에서는 황체기 동안 스트레스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는 심리 증상과는 관련이 있으나 신체 증상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월경전기증후군의 치료 전략으로 특히 섬리 증상의 치료를 중심으로 한 스트레스의 관리가 중요할 것이다.

  • PDF

돼지 난포난자에서 난핵포 핵상의 형태학적 변화 (Morphological Changes on Nuclear Phase of Germinal Vesicles in Porcine Follicular Oocytes)

  • 박춘근;사수진;이상영;정희태;양부근;김정익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5-161
    • /
    • 2000
  • 본 연구는 돼지난소로부터 회수한 난포난자에서 난핵포기 핵상의 형태적 변화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난소에서 직경 1~2mm 또는 6~10mm 의 난포로부터 회수한 난자의 대부분이 GV-I 또는 GV-II 단계에서 발달이 정지되었다. 직경 2~6의 난포로부터 회수한 난자에서 난구세포를 부착 또는 제거하여 5 시간 배양했을 때 GV-IV 에서 GV-Ⅵ 단계까지의 비율은 난구세포제거(30%) 보다는 부착 (52%) 된 난자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한편, 난포난자를 catalase, xanthine 및 catalase+xanthine이 첨가된 배양액내에서 1시간 배양했을 때 핵상의 변화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5시간 배양 후 GV-IV에서 GV-Ⅵ단계까지의 비율은 대조구, catalase, xanthine 및 catalase+xanthine 첨가시 46, 69, 69 및 70%였으며, GVBD의 비율은 catalase 와 xanthine이 동시에 첨가된 배양액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난포란의 체외성숙시 catalase와 xanthine의 동시첨가는 GV단계의 핵성숙을 유도하고 돼지난자의 체외성숙에 효과적인 작용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월경주기에 따른 동통역치 및 미각역치의 변화 (Pain Threshold & Taste Threshold Variations across the Menstrual Cycle)

  • 변영희;구선주;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3호
    • /
    • pp.253-260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월경주기에 따른 동통역치와 미각역치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안면부에 동통성 질환이 없고 정상 월경 주기를 가진 건강한 20대 여성 11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2회의 연속적인 월경주기 동안, 월경기(menstrual phase), 여포기(follicular phase), 황체기(luteal phase)의 세 시기에서 압력통각역치, 전기미각역치, NaCl 미각역치를 각각 측정하였다. 각 역치를 월경주기의 시기별로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압력통각역치와 전기미각역치는 월경주기의 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황체기에서 월경기에서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역치를 나타내었다. NaCl 미각역치는 월경주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Shih Tzu 견에서 발생한 Black Hair follicular Dysplasia 일례 (Black Hair Follicular Dysplasia in a Shih Tzu)

  • 김성룡;서정아;정아영;박지원;김영인;이근우;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7-159
    • /
    • 2005
  • 2개월령의 체중 2.1 kg인 Shih Tzu 견이 검은색 피모의 탈모로 내원하였다. 탈모는 5주령부터 시작되었으며 소양감의 병력은 없었다. 탈모증상이외의 다른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신체검사에서 탈모이외의 증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육안피부검사에서 몸통, 다리, 귀, 꼬리부위에서 흑색 피모의 현저한 탈모가 관찰되었다. 반면에 백색피모는 밀도와 감촉은 정상이었다. 박피검사에서 기생충은 발견피지 않았으며 진균배양 검사는 음성이었다 흑색피모의 현미경 검사에서 피모줄기에 침윤된 다량의 멜라닌색소로 인해 피모줄기 형태의 변형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백색피모는 정상이었다. 따라서 발병시기, 흑색피모탈모, 피모의 멜라닌색소침착을 통해 Shih Tzu종에서 발생한 Black Hair Follicular Dysplasia 진단하고 증례보고하는 바이다

체외수정시술을 위한 성선자극호르몬 과배란유도에 Limited Ovarian Reserve를 갖는 환자에서 성장호르몬의 사용 (Cotreatment with Growth Hormone in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for IVF in Women with Limited Ovarian Reserve)

  • 김선행;장기훈;구병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1권3호
    • /
    • pp.241-245
    • /
    • 1994
  • Despite increasing success rate of IVF, poor response to ovarian stimulation remains a problem. So, attempts to improve ovarian responses, for example, by using combined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alogue(GnRH-a) and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hMG) have shown limited success. It is reported that response of granulosa cells in vitro to FSH is stimulated by co-incubation with IGF-l, and IGF-l production can be increased by growth hormone. This suggest that combination regimen of G.H. and hMG may augment follicle recruitment. In fifteen patients who had previous history of poor ovarian response to gonadotropin stimulation after pituitary suppression with mid -luteal GnRH-a, the effectiveness of cotreatment with G.H. in IVF program was evaluated using a combination regimen of G.R. and hMG at Korea University Hospital IVF Clinic. Ovarian responses to gonadotropin stimulation in control and GH-treated cycles assessed by total dose and duration of hMG treatment, follicular development and peak $E_2$ level, number of eggs retrieved, and fertilization rates were also assessed. In each group, serum and follicular fluid IGF-1 concentrations on day of egg collection were measured by RIA after acidification and extraction by reveresed phase chromatography. Patients receiving G.H. required fewer days and ampules of gonadotropins, developed more oocytes, and more embryos transferred.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the duration of hMG treatment. Our data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concentration of IGF-l in the serum, not in the follicular fluid, of patients treated with G.H.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se data suggest that growth hormone treatment does not improve the ovarian response in women with limited ovarian reserve to gonadotropin stimulation for IVF.

  • PDF

황체기단축현상을 가진 한국여성의 호르몬양(II);혈청 Prolactin의 변동 (The Hormonal Levels of the Short Luteal Phase in Korean Women(II);Change of Serum Prolactin)

  • 윤용달;이준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1권2호
    • /
    • pp.5-15
    • /
    • 1984
  • 본 연구는 황체기 단축현상(Short luteal phase, SLP) 을 가진 한국여성의 월경주기내 Prolactin 호르몬의 농도변화를 정상월경주기 (Normal luteal phase, NLP)와 비교하고져 하였다. 한편, Circadian rhythm 내 PRL 농도의 변화를 비교하고 임신기간중 PRL의 농도변화를 방사면역측정법(RIA) 으로 조사하였다. SLP여성의 PRL 농도는 후기의 여포성숙기(Late follicular phase) 및 초기황체형성기(Early IuteaI phase) 정상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정상 월경주기에서는 PRL/Progesterone(mU/1/mg/ml)의 비율이 후기 여포성숙기까지 증가한 후 LH Peak day 이후 감소하는데 반하여 SLP여성의 비율은 조기 여포성숙기부터 계속적인 감소현상을 보였다. 또한 취침전 (04:00시) PRL의 농도는 SLP여성에게는 현저히 낮았다. 임신주기중 PRL의 농도는 4개월째 1,077mU/l 에서부터 9개월째 4,462mU/l까지 점진적인 증가를 하였다. 위의 결과로 보아 황체기단축현상은 PRL의 분비이상이 하나의 주요요인이 될 수 있으며, 특히 PRL/Progesterone의 농도비율이 SLP의 판정에 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