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llicles

검색결과 835건 처리시간 0.028초

성선자극호르몬과 스테로이드호르몬의 첨가가 한우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수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onadotropins and Steroid Hormones on Follicular Oocyte Maturation in Vitro and Fertilizing Ability In Vivo of Korean Native Cattle)

  • 박재원;김창근;정영채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3-84
    • /
    • 1987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rmone addition(FSH, HCG, estrogen and progesterone) and composition (BSA and FCS) of mKRB on the in vitro maturation and fertilizability of follicular oocytes of the Korean native cattle. The ovaries were removed at a slaughterhouse, returned to laboratory in a thermostat (30-35$^{\circ}C$) within 4 hr, and collected by aspirating normal follicles which had diameters of 1 to 6 mm. The oocytes with cumulus cells were cultured for 8, 16, 24 and 30 hr in a modified KRB solution containing BSA or FCS and hormones. The in vitro matured oocytes in mKRB containing FCS, FSH and steroids were transferred in the rabbit uterus for examination of their in vivo fertilizability with bovine sperm preincubated 4 to 6 hr in the rabbit uterus. 1. The mean number of oocytes collected per cattle was 6.5 from 1-3mm follicles, 1.3 from 4-6mm follicles, and total was 7.7. 2. The meiotic division at 16hr-cuture in the oocytes from 1-3mm follicles was slightly stimulated by the addition of FSH in mKRB + BSA solu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At 30hr-culture, their maturation rates(%Met II) were also increased by FSH of 1 $\mu\textrm{g}$/ml(38.4%) and 5$\mu\textrm{g}$/ml(35.7%)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21.4%). The maturation rate at 30hr-culture in the oocytes from 4-6mm follicles was 53.8% and 57.1% by the FSH addition of 1$\mu\textrm{g}$/ml and 5$\mu\textrm{g}$/ml, respectively. These rates were similar with the control(57.1%), but higher than those of oocytes from 1-3mm follicles. 3. The meiotic division at 16hr-culture in the oocytes from 1-3mm follicles was stimulated by the HCG addition of 1IU/ml and 5IU/ml. However, the maturation rate at 30hr-culture was greatly decreased by the HCG addtion (26.6% and 13.3%) compared with the control(53.3%) and these rates (30.8%) in the oocytes from 4-6mm follicles were also lower than that fo the control(58.3%). 4. Low maturation rate (37.5%) of the oocytes cultured in mKRB containing BSA and 5IU/ml HCG was increased (55.0%) when 15% FCS with HCG was added to mKRB instead of BSA. 5. When 16hr-cultured oocytes in mKRB containing BSA and gonadotropins (5$\mu\textrm{g}$/ml FSH and 5IU/ml HCG) were transferred in the medium without gonadotropins and recultured for 16hr, the maturation rate of HCG-treated oocytes was greatly improved. 6. The maturation rates of oocytes were greatly affected by steroids. The combined addition of FCS+FSH+estrogen or +progesterone to mKRB increased the maturation rate compared with the combination of BSA+FSH or FCS+FSH in mKRB. 7. The fertilization rate, presence of pronuclei, was increased by the combination of FCS+FSH+p in mKRB as compared with that (5.6%) of BSA+FSH and the rates of FCS+FSH+steroids ranged from 12.5 to 17.6%.

  • PDF

생쥐 난소내 Fas 및 Fas Ligand의 발현과 세포자연사 (Apoptosis and Expression of Fas nnd Fas Lignnd Genes in Mouse Ovary)

  • 윤정미;윤현숙;양현원;김세광;조동제;윤용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7권1호
    • /
    • pp.15-22
    • /
    • 2003
  • Fas는 세포자연사를 유도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 단백질로서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Fas mRNA는 림프조직뿐만 아니 라 비 림프조직에서도 발현한다. 한편 대다수의 난포들은 세포자연사와 연관된 기 작을 통해 난포폐쇄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난포폐쇄에 관한 기작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생쥐의 난소의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Fas와 Fas ligand의 발현 여부를 알아보고, Fas와 Fas ligand발현과 난포폐쇄와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RT-PCR을 수행한 결과, 난소내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Fas와 Fas ligand mRNA가 모두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 또한, 원시 난포를 제외한 모든 발달 중인 난포의 과립세포와 난자들에서 Fas와 Fas ligand가 검출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폐쇄를 보이는 난포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다. 한편, 난소에서 세포자연사를 확인하기 위해 TUNEL 염색을 수행한 결과, TUNEL 양성을 보이는 과립세포와 난자의 수는 건강한 정상 난포에 비해 폐쇄난포에서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난소내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Fas와 Fas ligand 발현과 난포폐쇄와 상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Fas와 Fas ligand가 생쥐 난소내 난포폐쇄 유발에 관여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rogesterone이 rat 자궁과 난소의 증식세포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distribution of proliferating cells in uterus and ovary of progesterone-treated rats)

  • 박성식;곽수동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7-228
    • /
    • 1995
  •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gesterone on the reproductive system. This investigation was performed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s using anti-bromodeoxyuridine-antibody following bromodeoxyuridine(Brdur) injection for labeling proliferating cells in the uterus and ovary of rats. Sixteen female rats(Wistar), weighing initially 300g, were randomly allotted into ovariectomized and unovariectomized large groups. These two large groups were subdivided into three subgroups of control, 3-day and 6-day groups, respectively. 3-days and 6-days group were injected with 1mg of progesterone/rat/day for 3 or 6 days, respectively. In gross findings, the uterus of ovariectomized groups markedly atrophied, and were not hypertrophied by progesterone injection for 3 days or 6 days and the uterus of unovariectomized groups also were not hypertrophied. Labeling index(LI, %) was measured by counting the number of Brdur-positive cells from 300 to 3,000 cells per layer in the uterus tissue. The average LI of the uterus in unovariectomized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ovariectomized groups. The subgroups with higher LI in unovariectomized groups were ordered as 6-day group, 3-day group. So progesterone considerably effected to the proliferating of the cells in the uterus of unovariectomized groups. The layers with higher LI in the uterus wall were ordered as the functional zone of endometrium, epithelial layer of endometrium, basal zone of endometrium, myometrium and perimetrium. The cell types with higher LI in the uterus of unovariectomized groups were ordered as the surface epithelial cells, stromal cells, glandular epithelial cells and muscle cells. Growing follicles with proliferating cells from secondary and tertiary follicles in the ovary of unovariectomized groups appeared to be 37.66% in control group, 39.23% in 3-day groups, 39.47% in 6-day groups. Mature follicles in the ovary were more number in control group than those in 3-day groups but not appeared in 6-day groups. So progesterone not nearly effects to the number of the growing follicles but appeared to be related to suppression of the development and protrusion of the mid-tertiary and mature follicles on the ovary surface. The cell types with higher LI in the ovary of unovariectomized groups were respectively ordered as granulosa cells, theca interns cells in secondary follicles; theca interna cells, granulosa cells, theca externa cells in tertiary follicles; fibroblasts, theca in terns cells in atretic follicles; fibroblasts, luteal cells in corpus luteum.

  • PDF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른 생쥐 난소의 TUNEL 염색반응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the TUNEL Reaction of Mouse Ovary by X-ray Irradiation)

  • 윤철호;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2호
    • /
    • pp.135-142
    • /
    • 2007
  • 본 연구는 6 MeV LINAC에서 발생한 X-선을 생쥐 생체에 조사한 후 난소에서 난포의 형태적 변화 양상과 난포의 세포자연사가 일어나는 과정을 TUNEL 염색방법을 이용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정상난포와 퇴화난포 및 방사선이 조사된 난포에서 세포예정사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TUNEL 염색을 실시한 결과, 정상난소의 퇴화난포에서 양성반응을 보이는 과립층세포들은 갈색을 띠고 있었고, 핵은 응축되어 나타났다. 그러나, 정상난포에서는 양성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X-선을 조사한 난소의 난포는 TUNEL 염색에 강한 양성반응이 나타났고, 600 cGy의 X-선 조사에서 난모세포는 이미 세포예정사가 진행되어 파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난포막을 형성하고 있는 난막세포의 핵들도 양성반응으로 나타나, 갈색으로 염색이 되었으며, 수질의 결합조직세포들의 핵도 갈색으로 염색되어 관찰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세포들은 세포예정사가 진행되어 있으며, apoptotic body들이 난포 내에 산재되어 있었다. 이 시기의 난소조직의 전반적인 염색도는 저선량의 X-선 조사에서보다 더 현저히 강한 염색성이 나타났다.

한우 난포낭종에서 증가되는 섬유소원 유전자 발현 (Fibrinogen mRNA Expression Up-Regulated in Follicular Cyst of Korean Cattle)

  • 탁현민;한재희;강다원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9-34
    • /
    • 2010
  • 난포낭종은 소 번식 장애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이며, 다양한 유전자의 변화는 여러 세포와 조직 기능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유전자 변화는 낭종성 난소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이온 및 수송체와 관련된 유전자 변화가 한우의 난포낭종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 하에 난포낭종성 난포에서 발현 변화를 보이는 유전자를 찾기 위하여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결과, 난포낭종성 난포에서 FGG와 LRP8이 증가하고, SLC44A4, SLC27A5, ANXA8 및 aquaporin 4는 감소하였다. 반정량적 역전사중합효소 연쇄 반응으로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결과를 재확인하였다. 6개의 DEG 중 3개의 DEG(FGG, SLC44A4 및 aquaporin 4)는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결과와 동일하게 증가와 감소를 보였다. 마이크로어레이와 역전사중합효소 반응에서 동일한 결과를 보이는 3개의 유전자 중 가장 크게 변화를 보인 섬유소원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마이크로어레이와 역전사중합효소 연쇄 반응은 난포낭종성 난포에서 섬유소원 유전자 발현을 각각 8.4배와 1.7배 증가시켰다. 그러나 난포 및 과립층세포에서 섬유소원의 단백질 양은 웨스턴 블랏 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정상에 비하여 낭종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섬유소원은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에 있어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지만 섬유소원 유전자는 정상 조직으로부터 난포낭종을 구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생물표지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흰쥐 난자의 성숙에 미치는 여포환경 및 hCG의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s of Follicular Environment and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on the Maturation of Rat Oocytes)

  • Lee, Kyung-Ah;Rhee, Kun-Soo;Cho, Wan-Kyo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45-256
    • /
    • 1985
  • 흰쥐의 여포내 혹은 구멍만 낸 여포내의 난자, 또는 다른 여포에 옮겨 넣은 난자의 경우, 그 여포를 17시간 배양하여도 배양액에 hCG가 첨가되지 않는 한, 여포내 난자는 GV를 유지하였다. 즉, 기본 배양액에서 배양할 경우 88.8%-95.2%의 여포내 난자가 GV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hCG를 배양액에 첨가하였을 때 대부분이 핵막붕괴(GVBD)를 일으키고 단지 11.1%-19.4%의 여포내 난자만이 GV를 유지하였다. 난자를 dbcAMP나 IBMX가 들어있는 배양액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다른 여포에 옮겨 넣어 계속 17시간동안 배양할 경우에도 그 결과가 앞의 것과 같았다. 즉 dbcAMP가 들어있는 배양액에서 배양한 후 다른 여포로 옮겨 넣었을 때 그 여포를 기본 배양액으로 배양하면 86.1%의 난자가 GV를 유지하였으며 만일 배양액에 hCG를 첨가하면 단지 13.1%의 난자가 GV를 유지하였다. 또한 IBMX가 들어있는 배양액에서 먼저 배양한 경우에는 결국 여포는 난자의 성숙을 억제하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같은 억제효과는 배양액에 첨가된 hCG에 의하여 소실된다.

  • PDF

난포성숙호르몬이 감마선 조사된 미성숙 생쥐 난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on ${\gamma}$-Ray Irradiated Immature Mouse Ovarian Follicles)

  • 김진규;이창주;이영근;송강원;윤용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89-96
    • /
    • 1998
  • 뇌하수체 분비호르몬인 FSH의 방사선방어 효능을 조사하고자 생후 3주된 미성숙 생쥐에 $\gamma$ 선을 전신조사하거나(R), 전신조사 후 FSH 5 IU를 복강주사(RF)하였다. 대조군은 동량의 식염수를 복강주사하거나(C) 혹은 FSH를 복강주사(F)하였다. 0시간, 6시간, 12시간 1일, 2일, 4일, 그리고 8일 후에 각 군별로 5마리씩 경추파열로 도살한 후 난소를 채취하였다. 난소는 neutral buffered formalin에 고정한 후 통상적인 표본조직을 만들었다. HE 염색을 기본으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비교하였으며 전체 DNA를 추출하여 agarose gel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DNA fragmentation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방사선 조사군인 R군과 RF군에 있어서 6시간에서 12시간에 apoptosis를 반영하는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8일 경과시 분열세포의 존재비를 반영하는 염색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DNA fragmentation의 정도를 보면, 모든 실험군에서 185bp의 DNA ladder가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70bp의 DNA는 R군의 경우 6시간에 나타났으며 1일 이후 감소하였다. RF군의 경우 12시간에 나타나 1일 이후 감소하였다. F군에서는 370bp가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 강소형성 난포가 피폭되는 경우 4일 이후 8일에 이르러 난소내에서 완전히 소멸되고, 8일에 새로운 원시난포가 성장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FSH는 방사선에 피폭된 난포의 퇴화를 지연 혹은 억제시키는 방사선방어 효과가 있었으며, 방사선에 의한 난포의 퇴화는 과립세포의 apoptosis를 매개로 하여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전신조사된 생쥐 난소내 원시난포의 급성 퇴화 (Acute Degeneration of Primordial Follicles in Mouse Ovary after Whole-Body Irradiation)

  • 이창주;박호현;윤용달;김연구;김진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87-92
    • /
    • 1999
  • 본 연구는 감마선 조사 후 원시반포의 퇴화과정에서 나타나는 형태학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ICR 계통의 생후 3 주된 미성숙 생쥐에 $LD_{80(30)}$의 선량인 8.3 Gy를 2 시간 동안 전신조사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0 시간, 3 시간, 6 시간, 그리고 12 시간에 난소를 적출하여 조직절편을 제작한 후 가장 큰 절편을 관찰하였다. 정상 대 퇴화 난포의 비율은 조사 후 6 시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6 시간에 퇴화된 원시난포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germinal vesicle이 관찰되지 않거나 지질방울이 증가하였으며, 난막이 사라진 것을 알 수 있었다. 과립세포의 모양은 둥글게 변하였으며, 세포자연사하는 세포가 관찰되었다. 대조군의 경우 정상 대 퇴화 원시난포의 비율이 62.50% 이었으나, 이 비율은 0 시간, 3 시간, 6 시간, 12 시간에 각각 51.61 %, 48.97 %, 11.11 %, 7.14 %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방사선에 의해서 윈시난포에 퇴화가 유발되는데 그 양상은 세 가지 유형을 나타내었다. 과립세포의 모양은 정상적이나 난자의 세포자연사, 난자의 형태는 정상적이나 한 개 혹은 그 이상의 과립세포가 세포자연사하는 경우, 혹은 난자와 과립세포 모두가 세포자연사 과정을 겪는 경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원시난포 퇴화를 형태학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단서가 제시되었다.

  • PDF

Effects of Organotin Compounds on Follicular Steroidogenesis in Frogs

  • Kwon, Hyuk-Bang;Kim, Seung-Chang;Kim, An-Na;Lee, Sung-Ho;Ahn, Ryun-Sup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3호
    • /
    • pp.163-172
    • /
    • 2009
  • Some organotin compounds such as butyltins and phenyltins are known to induce impo-sex in various marine animals and are considered to be endocrine disruptor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organotins on follicular steroidogenesis in amphibians was examined using ovarian follicles of Rana dybowskii and Rana catesbeiana. Isolated follicles were cultured for 6 or 18 h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frog pituitary homogenate (FPH) or various steroid precursors, and the levels of product steroids in the culture media oassay. Among the butyltin compounds, tributyltin (TBT) strongly and dose-dependently inhibited the FPH-induced synthesis of pregnenolone ($P_5$) and progesterone ($P_4$) by the follicles. TBT also strongly suppressed the conversion of cholesterol to $P_5$ and partially suppressed the conversion of $P_5$ to $P_4$. A high concentration of dibutyltin (DBT) also inhibited steroidogenesis by the follicles while monobutyltin and tetrabutyltin had negligible effects. The toxic effect of TBT or DBT was irreversible and a short time of exposure (30 min) was enough to suppress steroidogenesis. All the phenyltin compounds significantly inhibited FPH-induced $P_5$ synthesis by the follicles. The effective dose of 50% inhibition by diphenyltin was $0.04\;{\mu}M$ and those of monophenyltin and triphenyltin were $0.24\;{\mu}M$ and $0.3\;{\mu}M$, respectively. However, none of the phenyltin compounds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conversion of $P_4$ to $17{\alpha}$-hydroxyprogesterone ($17{\alpha}$-OHP) (by $17{\alpha}$-hydroxylase), $17{\alpha}$-OHP to androstenedione (AD) (by $C_{17-20}$ lyase), or AD to testosterone by the follicles. Taken together, the data show that among the steroidogenic enzymes, P450scc in the follicles is the most sensitive to organotin compounds and that an amphibian follicle culture system can be a useful screening model for endocrine disruptors.

  • PDF

In vitro Culture Conditions for the Mouse Preantral Follicles Isolated by Enzyme Treatment

  • Kim, Dong-Hoon;Seong, Hwan-Hoo;Lee, Ho-Jo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4호
    • /
    • pp.532-537
    • /
    • 2008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culture of mouse preantral follicles in vitro, we examined the effect of culture media, protein supplements, and culture period on their growth. The oocyte diameter (initial size: $55.6{\pm}2.5{\mu}m$) was progressively increased during culture, and the maximum size ($72.0{\pm}2.4{\mu}m$) was reached on day 10 of the in vitro culture. The chromatin configuration in the germinal vesicle (GV) oocyte progressively shifted from a non-surrounded nucleolus (NSN) to a surrounded nucleolus (SN). On day 10 of the culture, most of the oocytes progressed to the SN pattern. The survival and metaphase II rates of the oocytes in alpha-minimal essential medium (alpha-MEM)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in Waymouth and tissue culture medium (TCM)-199. As a protein source, fetal bovine serum (FBS) was more suitable for the culture of mouse preantral follicles as compared to human follicular fluid (hFF) and bovine serum albumin (BSA);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FBS was 5%.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a culture of mouse preantral follicles, alpha-MEM and 5% FBS are an optimal medium and a protein source, respectively; further, the 10 days of culture is required for the complete growth of oocytes in this cultur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