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llicle

검색결과 891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 of Mammalian Spermatozoa on In Vitro Maturation of Porcine Germinal Vesicle Oocyte in Chemically Defined Medium

  • Kang, Sung-Ryoung;Kim, Byung-Ki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72-72
    • /
    • 2002
  • Oocytes maturation, characterized by germinal vesicle (GV) breakdown, formation of the first meiotic spindle, expulsion of the first polar body and arrest in metaphase of second meiotic division (MII), occurs in preovulatory follicles in response to the surge of gonadotropin and leads to an ovulated oocyte in vivo. However, meiotic resumption in vitro occurs spontaneously following removal of cumulus-oocytes complexes (COCs) from the follicle. (omitted)

  • PDF

포유류의 정자형성과정 중 생식세포의 변화 (Germ Cell Degeneration during Mammalian Spermatogenesis)

  • 김종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발생공학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 /
    • pp.11-13
    • /
    • 2001
  •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의 정자형성과정은 시상하부에서 분비된 생식소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의 영향 하에 뇌하수체에서 합성 분비되는 난포자극호르몬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과 황체화호르몬 (luteinizing hormone; LH)에 의해서 조절된다. LH의 라이디히 세포 (Leydig cells) 자극으로 인한 testosterone 의 합성분비가 성체(adult)의 정자형성과정과 그 유지(maintenance)에 매우 결정적이다. 반면, FSH는 미성숙 개체의 정소에서 일어나는 예비적 정자형성과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성체에서도 질적인 면에서의 정자형성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려된다. 그러므로, 시상하부-뇌하수체-정소의 축(axis)을 이루는 어느 한 성분에서라도 이상이 생기면 정자의 형성과정은 치명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중략)

  • PDF

여자만 새꼬막 Scapharca subcrenata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 (Gonadal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Ark shell Scapharca subcrenata (Bivalvia: Arcidae) from Yeoja Bay)

  • 김성연;신윤경;임한규;이원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2-258
    • /
    • 2008
  •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 여자만에서 2007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채집된 새꼬막 Scapharca subcrenata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를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새꼬막은 자웅이체로 난소는 많은 난소 소낭(oogenic follicl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소도 많은 정소 소낭(acinus)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식소지수(GI)는 6월에 연중 최고 값을 나타내었고, 그 후 감소하여 7월에 최저 값를 나타내었다. 비만도지수(CI)는 4월에 연중 최고 값을 보였고, 그 후 감소하여 7월에 최저 값을 보였다. 새꼬막의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1{\sim}4$월), 후기 활성기($3{\sim}6$월), 완숙기($5{\sim}8$월), 방출기($7{\sim}9$월) 그리고 회복 및 휴지기($9{\sim}3$월)의 연속적인 발달 단계로 구분되었으며, 주 산란기는 $7{\sim}8$월로 조사되었다. 암, 수 성비는 1:1로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

인간난자의 체외수정 및 배아의 자궁내이식 후 황체기 혈청 난포호르몬 및 황체호르몬의 변동에 관한 연구 (Luteal Phase Serum Estradiol and Progesterone in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 이진용;김학순;김정구;문신용;장윤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4권2호
    • /
    • pp.127-137
    • /
    • 1987
  • Steroid hormone profiles during luteal phases after in vitro fertilization(IVF) and embryo transfer(ET) have been evaluated in 83 cycles stimulated by pure follicle-stimulating hormone/human menopausal gonadotropin/human chorionic gonadotropin, in which 13 patients became pregnant. Serum estradiol($E_2$) and progesterone($P_4$) levels were determined on days 2, 5, 7 and 9 after laparoscopic follicle aspiration. The follicular $E_2$ peak was slightly higher in pregnancies than in failures.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follicular $E_2$ peaks and the $P_4$ levels on days 5 and 7 of the luteal phase in pregnancies, but no correlation was found in failures. The $E_2$ and $P_4$ levels on days 5 and 7 of the luteal phas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regnancies than in failures, but not different on days 2 and 9. Values of the $P_4/E_2$ ratio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The luteal phase durations were 12 to 19 days and no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lengths of luteal phase and the luteal $E_2$ or $P_4$ concentrations. These data suggest that high $P_4$ levels in the mid-luteal phase, which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follicular $E_2$ peaks, might have a favorable influence on the pregnancy success in human IVF.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