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olk tales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우리나라 옛이야기 그림책에 나타난 장애 등장인물의 상호작용과 이미지 (Interaction and Image of Characters with Disabilities Displayed in Korean Folk Tales Picture Books)

  • 유수옥
    • 아동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35-250
    • /
    • 2007
  • Using content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Korean people's traditional view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hoping to contribute to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picture books for an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Story book characters with disabilities mainly interacted with their families and village people, had lower positions, did not accomplish their work on their own, and suffered from others' anger and beating. Differences in types of disabilities were that physical disabilities were viewed positively, while mental disabilities were viewed negatively. The former had wider scope of activities and maintained mor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 characters than the latter; furthermore, the former had higher position than the latter and had cooperative interactions with people without disabilities.

  • PDF

한국전래동화의 독서치료적 가치 연구 - 다문화가정을 위한 상황설정 및 상황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ibliotherapeutic Values of Korean Folk-tales: Focused on Establishing and Analyzing their Situ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 김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71-295
    • /
    • 2012
  • 이 연구는 한국전래동화에 의한 독서치료적 상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미국과 한국에 현존하는 이중언어(한국-영어)로 된 27편의 한국전래동화 내용을 분석하여 5가지 상황적 요소로 나누었다. 생물학적(성별/연령), 공간적(가정, 또래, 사회), 관계적(수평, 수직, 단독, 기타)요소들과, 사건해결방식(자력, 조력, 자연, 미해결)과 8개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얻은 결과는 (1) 한국전래동화 내용에는 생물학적 요소에서 남자 주인공이 많으며, 연령별로는 어른이 가장 많이 등장하였고, (2) 공간적 요소로는 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이 많았으며, (3) 수직적 관계 요소에서 갈등을 많이 보였고, (4) 문제해결 요소에서는 외부의 조력에 의해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5) 주제 요소에서는 신념과 가족구성을 다룬 것이 많았는데, 신념 중에는 욕심과 지혜 등의 주제를 많이 다루고 있었고, 가족구성 중에는 효성과 계모에 대해 많이 다루고 있었다. 이런 것들은 한국문화의 원형적인 가치들이며 다문화 가족과 한국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독서치료적 가치가 될 것이다.

이야기하기의 행동경제학 (The Behavior Economics in Storytelling)

  • 김경섭;김정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329-337
    • /
    • 2019
  • 이야기 구연 현장에서 전달되는 이야기들은 세련되고 정제된 것들 보다는, 왜곡되고 변질된 채 전승되는 이야기들이 더 많다. 거기다가 구연자의 엉뚱한 해석까지를 텍스트 범주에 포함한다면 문제는 더 복잡해진다. 구연 설화의 경우에는 이야기를 연행하는 구연자의 세계관과 이야기 내용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게 되는데, 이 글은 그 동안 우리가 설화를 읽으면서 지나치고 말았던 부분들을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 점검함으로써 설화 읽기 내지는 해석에 새로운 관점을 제기한다. 모든 인간의 합리성이란 제한된 합리성일 수밖에 없다.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해 인간은 최선의 선택을 하지 못하고 자신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만족할 만한 수준에서 사고를 멈추고 단순한 모형이나 대략적인 추측에 의존하여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이 단 순화되는 의사결정 과정에 작용하는 것이 바로 휴리스틱(Heuristic)이다. 휴리스틱은 기존 경험이나 특정 정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의사결정이나 행동에 편향(Bias)이 생기게 된다. 구비문학은 언어 대중의 어림짐작과 사고의 편향성에 기반을 두고 전승되어 온 특징이 있기에, 행동경제학의 휴리스틱과 구비문학을 관련시킬 여지는 충분하다. 이 글은 대중의 사고유형과 행동양식에 대한 행동경제학의 관점을 원용하여, 개인과 대중의 기억을 바탕으로 구연되는 이야기에 대해 휴리스틱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휴리스틱은 화자의 실수, 이야기의 착종, 청중의 반응 등 이야기 구연에서 자주 포착되었지만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어려웠던 유의미한 사항들을 어떤 방식으로 다룰 수 있는지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을 통한 맥진, 소위 현사진맥(懸絲診脈)에 관하여 (On the Pulse Diagnosis via a Thread, Namely "Xuanxizhenmai")

  • 최성민;김기왕
    • 대한한의진단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
    • /
    • 2012
  • Objectives Although the faith that pulse diagnosis via a thread, namely "Xuanxizhenmai", had been applied to some women in royal families, is widely spread in East Asian countries, but it is still controversial that whether this faith is based on historical facts or just originated from some folk tales. So we provided some reasonable clues to interpret that faith. Methods The digitalized Annals of Joseon Dynasty and Twenty Five Books of Chinese History were used for historical example search. Conventional internet search engines are widely used for investigation of other examples and related interpretations. Additionally, a pilot observation with nylon threads and optical vibration detection devices was performed to confirm it's feasibility. Results Although there are a few evidences supporting Xuanxizhenmai's existence in Qing dynasty, no evidence was found to show it's existence in authoritative annals of Korea and China. The pilot observation showed that in optimal environment, some intense arterial pulse could be propagated dozens of centimeter, but it was not applicable to clinical needs. Conclusions Pulse propagation via a thread was proved to be reproducible within limited extents, but pulse diagnosis via a thread, namely Xuanxizhenmai, seem to have never been used for proper clinical purpose.

공예적 융합(Craft Consilience)의 가구디자인 연구 -자수기법 및 민화를 이용한 가구디자인- (A Study on furniture Design of craft consilience- Furniture design using embroidery techniques and folk tales)

  • 송윤섭;최기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3-303
    • /
    • 2010
  • With changing systems of wealth creation around the 21st century, crafts(traditional and industrial crafts) are affected by the trend of changes or lead the trend, that is to say, a turning point of paradigm has come. Values of crafts give the value of users, and the tradition and modern coexists in the trend of times changing from the tradition to the modern so crafts artists’ works are diversified and used in design industries. Based on a place of expression showing various beauty of crafts, identity of design is established through ‘Craft Consilience’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master craftsman, crafts artists, crafts industries, and crafts departments. As master craftsman and furniture designers meet together to mix master craftsman’s idea with designers’ idea, the new Korean crafts furniture is suggested.

  • PDF

Mongolian National Costumes Reflected in the Oral Literature and Popular Rituals

  • Shin, Kang;Chultemsuren, 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3권
    • /
    • pp.37-49
    • /
    • 2003
  • In the oral literature of the Mongolians such as folk-tales, legend, epics, poetry, songs, riddles etc., there are endless examples describing various stories about the origin of the costumes, ornaments and accessories, or the way how they were designed and changed with the times and how they correspond with relevant customs, public rituals and etiquette in general. In this paper we argue that every piece of the Mongolian national costumes and wear in general has specific meaning and symbolism, which is still the miraculous universe waiting to be unveiled properly. As for the Mongolians, the costumes and accessories mean the treasury of intellectual culture of their own as well as their daily necessities of life. There are still many undiscovered features of ancient national culture, apart from characteristics of various tribes and clans of the Mongolians.

Translated Picture Books in Korea from 1969 to 2012

  • Ko, Seonju
    •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 /
    • 제4권1호
    • /
    • pp.65-76
    • /
    • 2014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ranslated picture books in South Korea and their cultural meanings over a five-decade period. This time can broadly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being the Settlement Period (pre-1990), the Flourishing Years (1991-2000) and Globalization (post-2001). During the Settlement Period, picture books in South Korea were derived mainly from Japan and America and tended to be informational in nature or based on folk tales. These were translated into Korean to meet the public's curiosity for foreign cultures or for scientific information. The Flourishing Years were characterised by the availability of picture books on a wide variety on themes and forms from all over the world. In this period, the translation of books into Korean focused on a literal rendition of the meanings and sounds of names from the original text. There was also a proliferation of audiotapes, videos and TV programs based on famous picture books. In the current period of Globalization, Korean publishers, who have built confidence through studying foreign picture books over time, have increased efforts to produce their own picture books and export them abroad.

Understanding Symbols through Mandala Art Work,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Application of Autoethnography

  • Park, Bora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77-84
    • /
    • 2022
  • This study focused on the spirit to becoming the true "I" as a human, and it attempted to pay attention to the "images" sent by the unconscious to prompt the reality of that spir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ymbols in myths and folk tales that appeared in the individual's dreams and to shed light on how the universal experiences of humankind are re-experienced and integrated into an individual's life. This study used a total of 105 mandala paintings collected through the researcher's own dreams from February 2019 to September 2020. Among them, repeated symbols were classified into basic shapes, squares, crosses, triangles, circles, and spirals, as suggested by Riedel. The study truthfully described the discovery of a practical layer of psychology as a human's individualization and changing, resulting in autoethnography, which is a type of qualitative study.

반려동물이 인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성 의견(義犬) 설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Companion Animals on Humans: Based on the Tale of a Righteous Dog in Hongseong)

  • 김석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659-670
    • /
    • 2020
  • 본 연구는 반려동물이 인간에 미치는 영향을 홍성의견 설화를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논문과 홍성의견 설화를 대상으로 질적연구 방법 가운데 문화기술지 분석과 초점면접집단을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반려동물이 인간에 미치는 영향은 정서적, 경제적, 문화 환경적 영향으로 분석되었다. 정서적 영향의 경우,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사회정서면에서 더 건강하다는 반려동물효과는 아동청소년을 비롯한 노년층, 사회 취약계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에서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펫코노미 시장이 대변하듯 급격한 반려동물산업의 확장과 연관을 지어 SWOT 분석을 시도하였고, 문화 환경적 영향으로는 다양하게 등장하는 문화 캠페인이나 설화 등을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반려동물의 문화 기술분석을 처음 시도하였다는 점과 반려동물과 인간과의 공생관계를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지역사회 발전의 기여를 촉발한 점, 나아가 개인주의가 극대화될 4차산업혁명 시대에 인간의 삶에 반려동물이 정서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에 깊이를 더한 연구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북한 초기 고전 각색 가극과 선별의 음악 정치 - 혁명가극 이전 민족 가극을 중심으로 (North Korean folk Operas and Musical Politics of Selection - Focused on National Operas Prior to Revolutionary Operas)

  • 정명문
    • 공연문화연구
    • /
    • 제39호
    • /
    • pp.69-96
    • /
    • 2019
  • 북한은 혁명가극 이전의 가극을 선택적으로 보존했다. 이중 초기 고전 각색 가극은 1950년대 이후 남북한의 가극 장르 변화를 추적하는데 중요 단서를 제공한다. <금강산 팔선녀>, <춘향전>, <콩쥐팥쥐>, <온달>은 비현실적인 상황을 조정하고, 계급 문제를 제기하는 방향으로 각색되었다. 초기 고전 각색 가극에서 부각시킨 인민은 신분 격차와 상관없이 부지런히 일하고 애국심을 갖춘 이였다. 또한 부당한 착취에 대해 조직적인 투쟁을 함께하는 공동 구성원이기도 했다. 이는 노동과 개인 생활의 통일, 낡은 것의 파멸, 그 파멸을 촉진하는 투쟁을 지지하는 창작 독려의 성과였다. 선별 보존된 작품들은 극장에서 집중시킨 감각을 일상에서 유지시키는 일종의 모범 사례이기도 했다. 고전 각색 가극은 신분제도 반대, 국토 찬양, 긍정적인 근로 방향과 같은 국가 강령을 자연스레 관객에게 각인시킬 수 있었다. 하나의 작품이 무대화되면 소재, 주제, 음악, 운영방안 측면에서 평가를 거쳐 생존 여부가 판단되었다. 그 표징은 '김일성'의 관람 여부 및 방향성 제시였다. 김일성 일가의 수정 지시 사항을 받아들여 집단이 재창조하고, 해외 공연을 통해 선전하는 과정은 혁명가극의 극작 및 홍보 방식과 맞닿는다. 이렇게 선별된 가극은 인민, 여성, 문학 차원에서 스토리텔링화 되면서 모델이 되었다. 이렇게 북한 초기 고전 각색 가극은 공적인 교감과 음악정치 구축의 상관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