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am separation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8초

포말 분리법에 의한 양어장의 단백질 제거

  • 서근학;이회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1-45
    • /
    • 1998
  • The feasibility of foam separation to remove protein in aquacultural recirculating water was investigated. From the results of batch foam separation on protein removal, superficial air velocity and initial protein concentration in bulk solution were found to be important operational factors In determining removal rates of protein. The protein removal rate by batch foam separation was proportionally increased with the superficial air velocity.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continous foam separator were highly dependent upon the operating parameters of superficial air velocity, hydraulic retention time(HRT) and foam height. Removal effeciency of protein increases with increasing superficial air velocity and HRT, and independent on foam height. As DO concentration was increased with superficial air velocity, foam separator is also used for oxygen addition. It could be confinned that foam separator might offer better perspective for protein removal in aquacuitural recirculating water.

  • PDF

포말분리공정의 운전인자 변화에 따른 수처리 특성 (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s by Foam Separator According to Operation Parameters)

  • 허현철;김성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504-508
    • /
    • 1998
  • 포말분리 장치를 이용한 해수 중의 단백질 제거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단백질 농도가 높을 수록 그리고 포말층높이가 낮을수록 단백질의 제거속도는 증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의 농도에 따른 제거속도의 변화는 단백질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 제거 속도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논문의 폭기량 0.65 cm/sec로 운전한 실험 결과에서 단백질 농도와 제거속도와의 관계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equation omitted) 또한 포말층높이의 변화에 대해서도 포말층의 높이가 클수록 그 제거속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에 폭기량이 많을수록 단백질의 제거속도 또한 크게 나타났으며, 포말층높이의 증가에 따른 제거속도의 감소 정도 또한 폭기량이 많을수록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적인 수치에 따르면, 폭기량에 상관없이 포말층 높이가 10 cm증가함에 따라 낮은 포말층 높이에서의 제거속도의 대략 30 % 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인 감소율의 비는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포말 분리법을 이용한 양어장 순환수 처리 - I Protein 분리특성 - (Treatment of Aquacultural Recirculating Water by Foam Separation - I. Characteristics of Protein Separation-)

  • 서근학;이민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99-606
    • /
    • 1995
  • 포말 분리관에 단백질 용액을 일정하게 공급하여 분리 실험을 수행하며 초기 단백질 농도, 공탑 공기유속, 온도와 pH 등의 영향에 따른 포말 분리관의 단백질 분리특성을 연구한 결과, 액본체 단백질의 약 65% 이상이 약 10min이내에 제거되는 효과적인 분리특성을 나타내어 포말분리법은 양어장 순환수중의 주된 유기성분인 단백질을 분리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액본체 중의 단백질의 초기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백질 제거속도는 일정 농도 이하의 조건에서는 직선적으로 증가하다가 일정한 값을 유지하여 단백질 제거속도는 Langmuir 흡착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제거속도는 공탑 공기유속에 대해서는 직선 관계를 보였다. 본 실험조건 범위 내에서는 단백질 제거에 있어 온도 및 pH의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결과를 검토한 결과 이론식은 타당하였다

  • PDF

해수 포말분리공정의 해석 및 모델 (Modeling of Foam Separator for Sea Water Treatment)

  • 허현철;서재관;박은주;김성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5-169
    • /
    • 1999
  • 포말분리 장치를 이용한 해수 중의 단백질 제거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단백질 농도가 높을 수록 또한 폭기량이 높을수록 단백질의 제거속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각각의 제거특성을 통계학적으로 비선형 회귀분석하여 각각의 인자의 변화에 따른 단백질 농도의 변화를 다음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f\;(Co,\;u)=1.5712\times10^{-7}\timesCo^{3.061}\timesu^{1.258}$$ 위 식을 이용하여 유한차분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실제 포말분리 운전에서 나타난 결과와 상관성이 아주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DBHQ-OPP foam에 의한 Hg(II)의 흡착과 분리 (On the Separation and Adsorption of Hg(II) by DBHQ-OPP Foam)

  • 성창근;문영자;김찬조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345-353
    • /
    • 1983
  • 수용액에 존재하는 중금속이온중의 Hg(II)을 정량적으로 분리 회수하기 위하여 DBHQ(5. 7-dibromo-8-hydroxyquinoline)을 Open-pore polyurethane foam (OPP foam)에 침윤시켜 수지의 응용성을 연구하였다. Hg(II)의 흡착은 DBHQ와 1:2 몰비의 착물형성이 이루어지며 Hg(II)의 흡착과 분리는 Batch법으로 실험하여 최적조건을 결정하였다. 가장 양호한 흡착은 DBHQ의 등전점인 pH5.0 부근에서 그리고 분리하는데는 4M-HCl, 50% 아세톤 용매를 사용하였을 경우가 비교적 정량적인 흡착과 분리가 이루어지는 조건이었으며 이와같은 결과를 기초로 DBHQ-OPP foam에 대한 Hg(II)의 흡착 및 분리에 대한 반응메카니즘을 제안했다.

  • PDF

활어수조에서 넙치 사육시 포말분리장치를 이용한 오염물 제거 (Removal of Waste Generated by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Aquarium using a Foam Separator)

  • 신정식;이창근;정호수;이민수;이진경;서근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98-504
    • /
    • 2004
  • Removal of waste generated by Paralichthys olivaceus in the seawater aquarium using a foam separator was investigated. Protein concentration without a foam separator continuously increased until 3 days after stocking and reached at 25 mg/L after 5 days stocking, but protein concentration became lower than the initial protein concentration (2.5 mg/L) with a foam separator. The trends of other fish wastes such as ammonia, total suspended solids (TSS) and chemical oxygen demand (COD) were similar to protein. Dissolved oxygen (DO) in the aquarium decreased below 6.0 mg/L without a foam separator, but with a foam separator the average DO in the aquarium was 7.3 mg/L. Foam separation with the increase of superficial air velocity (SAV)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with the fixed SAV. This study showed that wastewater. treatment of seawater aquarium using a foam separator is effective method for a fish waste removal and oxygen supply.

순환여과식 양어장의 포말분리 (Foam Separation i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 서근학;이민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39-243
    • /
    • 1997
  • 포말분리관에서 양어장 순환수를 일정하게 공급하여 분리 실험을 수행하며 체류 시간, 공탑 공기 유속, 포말층 높이 등의 영향에 따른 포말 분리관의 각 성분의 분리 특성을 연구한 결과 체류 시간 및 공탑 공기 유속이 증가할수록 TSS, TA및 $NO_2^-$ 성분의 제거율도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포말층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TA의 제거율은 월등히 증가한 반면에 $NO_2^-$, TSS의 제거율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포말분리기의 공탑 공기 유속 및 포말층 높이가 증가할수록 순환수내의 용존산소도 증가하여 포말분리기는 양어장 순환수의 산소 공급 장치로도 활용되었다. 포말분리법은 어류 성장에 유해한 TSS, TA, $NO_2^-$를 단기간에 제거할 수 있고 어류 성장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 PDF

포말 분리법을 이용한 양어장 순환수 처리 - II. 고형물 제거특징 - (Treatment of Aquacultural Recirculating Water by Foam Separation - II. Characteristics of Solid Removal -)

  • 서근학;이민규;이민수;김병진;김은정;조문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34-339
    • /
    • 1997
  • 포말 분리법에 의한 양어장 순환수 중의 고형물 제거 특성을 조사하였다. 장치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들은 공탑 공기유속, 체류시간, 그리고 포말층의 높이였다. 측정된 양어장수 시료 내에는 총 단백질량의 약 $50\%$정도가 계면 활성 성분이었다. 공탑 공기유속, 체류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단백질, T-N. TA 및 고형물 성분들의 제거율은 증가하였으며, TVS의 제저율은 공탑 공기유속 및 체류시간 (HRT)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포말층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서는 감소하였다. 포말분리장치는 양어장 순환수 중에서 발생되는 어류 성장에 유해한 성분, 특히 TA 및 TVS의 제거에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거품제염을 위한 실리카 나노입자와 CTAB (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의 거품안정성 및 분리특성 평가 (Effect of 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 on Foam Stability and SiO2Separation for Decontamination Foam Application)

  • 최만수;김승은;윤인호;정종헌;최왕규;문제권;김선병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3-182
    • /
    • 2018
  • 원자력 시설 내 방사능을 포함하는 물질의 제염을 위한 방법 중 거품제염은 2차폐기기물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거품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실리카 나노입자를 여러가지 조건을 달리하여 합성하였다.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CTAB)는 거품제염제의 거품안정성에 많은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거품안정성이 향상된 이유는 제염제 내에 공기와 용액간의 계면에서 실리카 나노입자와 계면활성제의 반응으로 생각된다. 또한, CTAB는 실리카나노입자의 분리특성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었다. 실리카 나노입자 분리시, CTAB의 탄화수소기에 의한 소수성과 전하중성화에 의해서 실리카 나노입자의 응집현상을 향상시켰다.

Effect of core shape on debonding failure of composite sandwich panels with foam-filled corrugated core

  • Malekinejadbahabadi, Hossein;Farrokhabadi, Amin;Rahimi, Gholam H;Nazerigivi, Amin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45권3호
    • /
    • pp.467-482
    • /
    • 2022
  • One of the major failure modes in composite sandwich structures is the separation between skins and co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employing foam filled composite corrugated core on the skin/core debonding (resistance to separation between skin and core) is investigated both experimentally and numerically. To this aim, triangular corrugated core specimens are manufactured and compared with reference specimens only made of PVC foam core in terms of skin/core debonding under bending loading. The corrugated composite laminates are fabricated using the hand layup method. Also, the Vacuumed Infusion Process (VIP) is employed to join the skins to the core with greater quality. Utilizing an End Notched Shear (ENS) fixture, three point bending tests are performed on the manufactured sandwich composite panel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resistance to separation capacity and flexural stiffness of sandwich composite has been increased about 170% and 76%, respectively by using a triangular corrugated core. The Cohesive Zone Model (CZM) with appropriate cohesive law in ABAQUS finite element software is used to model the progressive face/core interfaces debonding the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ults in predicting the maximum born load before the skin/core separation is about 6 % in simple core specimens and 3% in triangular corrugated core specim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