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am

검색결과 2,435건 처리시간 0.033초

고탄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기포개방 I. 폴리에테르형 기포개방제의 농도 영향 (Cell Opening of High Resilience Polyurethane Foam I. Concentration Effect of Polyether Type Cell Opener)

  • 송기천;이상목;이동호
    • 폴리머
    • /
    • 제25권5호
    • /
    • pp.679-690
    • /
    • 2001
  • 폴리에테르형 기포개방제를 사용한 고탄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서 기포개방제의 농도변화가 계의 반응속도, 유변학적 성질, 발포체의 구조적인 안정성, 형태학적 성질 및 개방기포의 함량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기포개방에서 기포개방제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또한 기포개방제의 농도에 따른 발포체의 기계적 물성을 관찰하였다. 기포개방제의 높은 친수성으로 인해 우레아 생성반응이 지연됨을 관찰하였다. 유변학적 성질의 관찰을 통하여 기고개방제의 농도 증가에 따라 계의 점도저하와 tan $\delta$의 증가를 확인하였고 이로 인해 얻어진 발포체는 낮은 구조적인 안정성과 높은 개방기포 함량을 나타내었다. 기포개방제의 농도 증가에 따라 matrix의 파괴와 matrix내 수소결합된 우레아의 고른 분산을 발포체의 형태학적 성질의 관찰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고탄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시 기포개방제의 높은 친수성에 기인하여 matrix의 탄성특성 저하가 일어나고 이로 인해 높은 개랑기포 함량을 가진 발포체가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발포체의 경도,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 등은 기포개방제의 농도 증가에 따라 저하하였다.

  • PDF

기포를 이용한 차별화된 화장품 제형 개발 (Development of Novel Cosmetic Formulations using Foams)

  • 조완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3
    • /
    • 2012
  • 본 총설에서는 기포의 화장품 이용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기포의 생성은 기포형성제와 기포 생성 장치 등을 이용하며 생성된 기포는 다양한 특성을 나타낸다. 기포는 기체의 용매에 대한 분산 형태로 발생된다. 기포의 안정성과 유변학적인 성질 등을 평가하는 것은 기포를 제형으로 이용하기 위한 출발점이다. 기포의 의약품과 화장품에 대한 이용은 점차 증가 추세에 있다. 의약품의 경우 기포 제형은 직장(rectal), 질(vaginal) 및 피부(dermal)용으로 대별될 수 있으며 화장품 영역의 경우 기포 제형은 모발 및 메이크업 영역에서는 헤어 무스, 파운데이션 등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기초화장품에서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에 이용되고 있다. 최근 유효성분의 안정화 및 유효성분의 피부 전달 측면에서 많은 연구와 특허가 출원되고 있어 향후 기능성화장품의 새로운 제형으로 활용이 기대된다.

두께에 따른 알루미늄 폼의 파괴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racture Characteristic of Aluminum Foam by Thickness)

  • 고등;조재웅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10호
    • /
    • pp.971-977
    • /
    • 2015
  • 발포금속은 우수한 물리적 특성과 역학적 성능 때문에 많은 첨단기술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폐쇄형 알루미늄 폼은 발포금속 중에 하나이며, 우수한 충격에너지 흡수하는 성능 때문에 자동차와 항공기에 많이 쓰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쇄형 알루미늄 폼의 충격 실험을 통해 두께에 따른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검증으로 시뮬레이션 해석을 하였다. 시뮬레이션 해석 방법으로서는 ANSYS 를 이용하여 실험과 똑 같은 경계조건으로 유한요소해석을 진행하였다. 실험과 해석의 결과들을 비교해보면 10mm, 20mm, 30mm 인 경우에 20mm 인 경우는 제일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20mm 의 경우가 시험편의 두께에 비하여 세가지 모델들의 경우에 있어 충격 에너지의 흡수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이용하면, 알루미늄 폼으로 된 기계 구조물의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단삼산(丹蔘散)의 거품세포 형성 및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억제를 통한 항동맥경화 효과 (Dansam-san (丹蔘散) Inhibits Atherosclerosis through Regulation of Foam Cell Formation and Vascular Smooth Muscle Proliferation)

  • 유도균;최동준;한창호;정승현;이원철;강윤호;신길조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8권2호통권70호
    • /
    • pp.185-199
    • /
    • 2007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hibitive effect of a combined-herb prescription of Dansam-san (DSS) on formation of foam cells and cytokine. Methods : Experimental formation of foam cells was induced on macrophage RAW 264.7 with ox-LDL. The effect of DSS extract was observed by measuring the changes of CD36, $PPAR-{\Gamma}$, MMP-9, iNOS expression and changes of formation level of foam cells after treating experimentally induced foam cells with DSS extract. Then the antioxidative effect of DSS extract was compared with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Result and Conclusions :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DSS extract showed significant antioxidative effect at 8 mg/ml or more. 2. DSS extract inhibited the formation of foam cells. 3. DSS extract inhibited the creation and revelation of conversion-related material about foam cells. 4. DSS extract prohibited the increase of smooth muscle of vessels.

  • PDF

BIOFILTRATION OF GASEOUS TOLUENE USING ADSORBENT CONTAINING POLYURETHANE FOAM MEDIA

  • Amarsanaa, Altangerel;Shin, Won-Sik;Choi, Jeong-Hak;Choi, Sang-June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1-13
    • /
    • 2006
  • In this study, conventional biofilters packed with flexible synthetic polyurethane (PU) foam carriers were operated to remove toluene from a contaminated air stream. PU foams containing various adsorbents (e.g., zeolite, sepiolite, dolomite and barite) were synthesized for the biofilter media and their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oluene were determined. Adsorption capacity of PU-adsorbent foam was in the order of PU-dolomite ${\approx}$ PU-zeolite > PU-sepiolite > PU-barite. During the biofiltration experiment, influent toluene concentration was in the range of 0-160 ppm and EBRT (i.e., empty bed residence time) was 45 seconds. Pressure drop of the biofilter bed was 4-5 mm $H_2O/m$ column height. The maximum removal capacity was in the order of PU-dolomite > PU-zeolite > PU-sepiolite > PU-barite, while the complete removal capacity was in the order of PU-dolomite > PU-sepiolite > PU-zeolite > PU-barite. The better biofiltration performance in PU-dolomite foam was because PU-dolomite foam had lower density and higher porosity than the others providing favorable conditions for microbial growth. The results of biodegradation kinetic analysis showed that PU-dolomite foam had higher maximum removal rate ($V_m\;=\;11.04\;g$ toluene/kg dry material/day) and saturation constant ($K_s\;=\;26.57\;ppm$) than the other PU foams. This supports that PU-dolomite foam was better than the others for biofilteration of toluene.

분리 땅콩 단백질의 기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oaming Properties of Peanut Protein Isolate)

  • 박현경;손경희;김현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3호통권12호
    • /
    • pp.9-15
    • /
    • 1990
  • Peanut prptein isolate was tes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e effect of pH, Sodium Chloride concentration and heat treatment on the solubility, surface hydrophobicity, foam expansion and foam stability. The solubility of peanut protein isolate was affected by pH and showed the lowest value at pH 4.5. When the peanut protein isolate was heated, the solubility decreased at pH 3 and pH 7 but at pH 9 solubility increased. At all pH range, solubility decreased as NaCl was added. The surface hydrophobicity of peanut protein isolate showed the highest value at pH 1.5. Generally, at acidic pH range the surface hydrophobicity was high, but at alkaline region, the surface hydrophobicity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And when NaCl was added, the surface hydrophobicity was also increased. Foam expansion of peanut protein isolat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values about pH. When the peanut protein was heated and NaCl was added, foam expansion was increased at pH 7. Foam stability was significantly low at pH 4.5 and foam stability was increased at acidic pH region below pH 4.5. At pH 7 and pH 9, heat treatment above $60^{\circ}C$ increased foam stability. When NaCl was added, foam sta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pH 3 and pH 7.

  • PDF

해수 포말분리공정의 해석 및 모델 (Modeling of Foam Separator for Sea Water Treatment)

  • 허현철;서재관;박은주;김성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5-169
    • /
    • 1999
  • 포말분리 장치를 이용한 해수 중의 단백질 제거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단백질 농도가 높을 수록 또한 폭기량이 높을수록 단백질의 제거속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각각의 제거특성을 통계학적으로 비선형 회귀분석하여 각각의 인자의 변화에 따른 단백질 농도의 변화를 다음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f\;(Co,\;u)=1.5712\times10^{-7}\timesCo^{3.061}\timesu^{1.258}$$ 위 식을 이용하여 유한차분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실제 포말분리 운전에서 나타난 결과와 상관성이 아주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포말 분리법을 이용한 양어장 순환수 처리 - II. 고형물 제거특징 - (Treatment of Aquacultural Recirculating Water by Foam Separation - II. Characteristics of Solid Removal -)

  • 서근학;이민규;이민수;김병진;김은정;조문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34-339
    • /
    • 1997
  • 포말 분리법에 의한 양어장 순환수 중의 고형물 제거 특성을 조사하였다. 장치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들은 공탑 공기유속, 체류시간, 그리고 포말층의 높이였다. 측정된 양어장수 시료 내에는 총 단백질량의 약 $50\%$정도가 계면 활성 성분이었다. 공탑 공기유속, 체류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단백질, T-N. TA 및 고형물 성분들의 제거율은 증가하였으며, TVS의 제저율은 공탑 공기유속 및 체류시간 (HRT)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포말층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서는 감소하였다. 포말분리장치는 양어장 순환수 중에서 발생되는 어류 성장에 유해한 성분, 특히 TA 및 TVS의 제거에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Fabrication, Microstructure and Compression Properties of AZ31 Mg Foams

  • Zhao, Rui;Li, Yuxuan;Jeong, Seung-Reuag;Yue, Xuezheng;Hur, Bo-Young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14-319
    • /
    • 2011
  • Melt foaming method is one of cost-effective methods to make metal foam and it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fabricate Mg foams. In this research, AZ31 Mg alloy ingot was used as a metal matrix, using AlCa granular as thickening agent and $CaCO_3$ powder as foaming agent, AZ31 Mg alloy foams were fabricated by melt-foaming method at different foaming temperatures. The porosity was above 41.2%~73.3%, pore size was between 0.38~1.52 mm, and homogenous pore structures were obtained.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Z31 Mg alloy foams were investigated by optical microscopy, SEM and UTM. The results showed that pore structure and pore distribution were much better than those fabricated at lower temperatures. The compression behavior of the AZ31 Mg alloy foam behaved as typical porous materials. As the foaming temperature increased from $660^{\circ}C$ to $750^{\circ}C$, the compressed strength also increased. The AZ31 Mg alloy foam with a foaming temperature of $720^{\circ}C$ had the best energy absorption. The energy absorption value of Mg foam was 15.52 $MJ/m^3$ at a densification strain of 52%. Furthermore, the high energy absorption efficiencies of the AZ31 Mg alloy foam kept at about 0.85 in the plastic plateau region, which indicates that composite foam possess a high energy absorption characteristic, and the Vickers hardness of AZ31 Mg alloy foam decreased as the foaming temperature increased.

거품제염을 위한 실리카 나노입자와 CTAB (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의 거품안정성 및 분리특성 평가 (Effect of 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 on Foam Stability and SiO2Separation for Decontamination Foam Application)

  • 최만수;김승은;윤인호;정종헌;최왕규;문제권;김선병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3-182
    • /
    • 2018
  • 원자력 시설 내 방사능을 포함하는 물질의 제염을 위한 방법 중 거품제염은 2차폐기기물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거품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실리카 나노입자를 여러가지 조건을 달리하여 합성하였다.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CTAB)는 거품제염제의 거품안정성에 많은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거품안정성이 향상된 이유는 제염제 내에 공기와 용액간의 계면에서 실리카 나노입자와 계면활성제의 반응으로 생각된다. 또한, CTAB는 실리카나노입자의 분리특성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었다. 실리카 나노입자 분리시, CTAB의 탄화수소기에 의한 소수성과 전하중성화에 의해서 실리카 나노입자의 응집현상을 향상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