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al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6초

망아지의 개방요막관과 관련된 다발성 농양 증례 (A Case of Multiple Abscesses Associated with Patent Urachus in a Thoroughbred Foal)

  • 김재훈;정지열;강상철;양재혁;배종희;김재훈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2-105
    • /
    • 2008
  • The most common abnormality of the umbilicus in the foal is the patent urachus. Patent urachus may be a congenital or acquired condition in foals in which the urachus fails to close spontaneously at or shortly after parturition. A 17-day-old male Thoroughbred foal was requested to the Veterinary Pathology Laboratory of Cheju National University. The foal showed clinical signs such as umbilical urination, anorexia, depression, lethargy, and abdominal pain for 10 days. Because of the umbilical urination, the surgery for patent urachus was performed, but he died next day. Grossly, many pale yellowish foci 10-20 mm in diameter were scattered on the throughout surface of lungs. Severe subcapsular hemorrhage was observed in left kidney. Large milky yellow mass 10X6-7 cm in size was found in the adjacent area of right kidney. Histopathologically, many abscesses with bacterial cocci were scattered in the blood vessels or adjacent pulmonary parenchyma of lungs. Severe numerous abscesses with intralesional bacterial cocci were mostly occupied in the abdominal mass from right kidney. Gram staining for tissue sections demonstrated numerous Gram positive cocci in pulmonary and abdominal abscesses. In bacterial culture, catalase-positive beta-hemolytic colonies were isolated and confirmed as Staphylococcus (S.) aureus by Vitek system. Based on the results, acquired patent urachus and then multiple abscesses may be originated from the umbilical cord infected with S. aureus in this foal.

Thoroughbred 망아지에서 단일나사못 장착 및 골막박리를 이용한 지세교정술 (A Case of New Surgical Correction of Angular Limb Deformities Using One Screw Implant & Periosteal Transection in a Thoroughbred Foal)

  • 양재혁;임윤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7-180
    • /
    • 2012
  • 다리기형(ALD)은 다리가 정중선에서 벗어나 측면으로 회전변형 된 것을 의미하고 망아지에 흔한 선천적 결손이다. 30일령의 Thoroughbred 망아지가 한국마사회 제주목장 동물병원으로 내원하였다. 방사선 검사에서 양 앞다리가 각각 외측으로 변형되었고 오른앞다리가 왼앞다리보다 심하게 회전된 것을 확인하여 단일나사고정술과 골막박리술을 이용하여 교정수술을 하였다. 40일 후 나사를 제거하였고 술부의 섬유화 및 과잉교정 등 합병증이 없이 바르게 교정되었다. 이 결과로 국내 신생망아지에 isoflurane을 이용한 흡입마취에서 단일나사고정술과 골막박리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임을 확인하였다.

국내 Thoroughbred경주마 생산목장에서 Equine Herpesvirus에 의한 유산폭풍의 발생기간 (The Period of Abortion Storm Caused by Equine Herpesviruses in Thoroughbred Breeding Farms in South Korea)

  • 양재혁;박용수;노환국;손원근;이두식;황규계;임윤규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6권1호
    • /
    • pp.105-113
    • /
    • 2014
  • Equine herpesvirus type 1 (EHV-1)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pathogen of horses and exerts its major impact by inducing abortion storms and sporadic abortions in pregnant mares, early neonatal death in foals, and respiratory disease in young horses. Although equine herpesvirus type 4 (EHV-4) rarely causes clinical manifestations of disease in organs other than the respiratory track, isolated cases of myeloencephalopathy and sporadic abortions have been reported in EHV-4 infections. Here, we report an abortion storm in Thoroughbred breeding farms in Jeju island, South Korea. It occurred for 16 days from first abortion to last one. There were no clinical signs prior to abortion and stillbirth in broodmares. Two PCR-primers were made on glycoprotein B gene of EHV-1 and EHV-4 to amplify specific common regions of the viruses. We could detect the virus specific genes in aborted samples by PCR, and concluded that the cause of abortion storm was EHV infection. This report describes the first abortion storm case caused by EHV in Thoroughbred breeding farms in South Korea.

선천성 사경을 동반한 더러브렛 신생망아지의 혈액화학 평가 (Evaluation on Blood Chemistry in a Thoroughbred Neonate (1-day old) with Congenital Torticollis)

  • 양재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2호
    • /
    • pp.71-76
    • /
    • 2019
  • 말의학에서 선천성 사경에 관한 임상병리학적 보고는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사경을 동반한 신생망아지의 혈액화학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Thoroughbred 망아지(암)가 341일의 정상 임신기간을 거쳐서 태어났다.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혈액화학검사에서 CK (creatine kinase), LDH (lactate dehydrogenase) 그리고 Na은 상당히 증가하였으나 Cl는 심각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목근육의 세포는 망아지의 임상병리학적 수치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선천성 사경의 원인이 경추와 같은 뼈의 문제뿐만 아니라 근육장애일 수 있다. 저자들이 알기로는 본 논문은 신생망아지의 사경증에 관한 최초의 임상병리 보고서이다. 이 자료는 선천성 결손을 가진 망아지의 임상병리 해석에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에너지 수준별 사료 급여가 임신마의 혈액과 미생물 성상 및 자마의 생시체중에 미치는 영향 (Change on Blood Parameter, Fecal Microorganism and Physiological of Neonatal Foal by Different Digestible Energy Level on Pregnant Mares)

  • 황원욱;박남건;최재영;유지현;조인철;우제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2-7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임신후기 암말의 영양소 급여 수준이 임신마의 생리적 변화 및 미생물 성상과 자마의 생시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분석하였다. 처리별 일일 사료 섭취량과 사료 효율은 100%, 120% 처리구에서 각각 9.3±0.9와 8.7±1.0 그리고 1.97±0.21과 1.68±023 유의적으로 나타나 가소화 에너지가 80%와 120% 수준에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혈중 콜레스테롤과 관련된 항목인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은 120% 처리구에서 높은 농도로 나타났지만 건강상의 큰 문제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가소화에너지 수준에 따른 자마의 생시 특성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장내 미생물의 문 수준에서는 Fibrobacteres가 에너지 수준에 따른 비율 차이를 보였는데, 80%가 8.53%로 100%와 120%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 (p<0.05). 속 수준에서는 Bacteroides와 Kineothrix은 가소화 에너지수준이 올라 갈수록 분변 내 비율이 증가하였다 (p<0.05). Fibrobacter는 가소화 에너지가 80% 수준일 때 100%와 120%에 비해 높은 조성을 보였다 (p<0.05). 결론적으로 가소화 에너지 급여수준에 따라 임신마에게 가소화 에너지 수준별 TMR을 급여한 결과, 120% 급여구에서 사료 효율 및 지방수치가 높았으나 큰 문제는 나타나지 않았고 CBC 및 화학 수치를 조사한 결과, 모든 수치가 정상 범위 안에 있었다. 임신마의 사료 급여가 임신마뿐만 아니라 생시 자마의 생산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임신마의 가소화 에너지 급여 수준에 따른 자마의 성장 특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lassification of behavioral signs of the mares for prediction of the pre-foaling period

  • Jung, Youngwook;Jung, Heejun;Jang, Yongseok;Yoon, Duhak;Yoon, Minjung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9-105
    • /
    • 2021
  • In horse management, the alarm system with sensors in the foaling period enables the breeder can appropriately prepare the time of the parturition. It is important to prevent losses by unpredictable parturition because there are several high risks such as dystocia and the death of foals and mares during foaling. However, unlike analysis in the alarm system that detects specific motions has been widely performed, analysis of classification following specific behavior patterns or number needs to be more organized.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signs of the specific behaviors of the mares for the prediction of pre-foaling behaviors. Five Thoroughbred mares (9-20 yrs) were randomly selected for observation of the pre-foaling behaviors. The behaviors were monitored for 90 min that wa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periods as 1) from -90 to -60 min, 2) from -60 to -30 min, 3) from -30 min to the time for the discharge of the amniotic fluid, respectively. The behaviors we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categories as state and frequent behaviors and each specific behavioral pattern for classification was individually described. In the state behaviors, the number of mares in the standing of the foaling group (3.17 ± 0.18b) at period 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1.67 ± 0.46a). In contrast, the number of the mares in the eating of the foaling group (1.17 ± 0.34b) at period 3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3.33 ± 0.46a). In the frequent behaviors, the weaving of the foal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looking at the belly of the foaling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In period 2, defecation, weaving, and lowering the head of the foaling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In period 3, sitting down and standing up, pawing, weaving, and lowering the head in the foaling group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behavior is significantly different in foaling periods, and the prediction of foaling may be feasible by the detection of the pre-foaling behaviors in the mares.

오염토양의 효과적 현장조사에 대한 주요 방법론의 검토 (Key Methodologies to Effective Site-specific Accessment in Contaminated Soils : A Review)

  • 정덕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83-397
    • /
    • 1999
  • 오염토양을 효과적으로 진단하고 경제적인 복원을 위해서는 오염토양의 오염원인, 오염정도, 주변 환경이나 인축에 대한 피해발생 유무, 오염물의 이동경로 등을 올바르게 평가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오염토양과 토양내 가스, 주변 지하수 및 지표수, 침전물 등의 효율적 시료채취와 정확한 분석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오염지역 토양의 오염도평가를 표준화하고 처리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처리요원이 토양의 오염도와 위험성을 정확하게 판단 할 수 있도록 단순하면서도 경제적인 연속시험법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오염토양의 조사와 복원시간 및 전치적일 기술의 진보를 가져오는데 상당한 시간절약을 꾀할 수 있다. 특히 효과적인 현장평가를 위해서는 오염특성을 포함한 많은 관련 요인들에 대한 표준화된 기준하에서 오염의 형태와 정도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장평가를 위한 일반적인 절차는 작업계획과 토양조사수준에 따라 Phase I, II, III의 단계적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Phase I은 토양의 과거용도 및 오염물의 유입경로를 기초로 하여 현장의 환경여건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Phase I에서 잠재적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것이 확인되면 Phase II에서는 오염물의 존재여부와 존재정도를 파악하는 단계로 시료의 채취 및 분석과정이 여기에 포함된다. Phase III는 Phase I과 II의 결과를 바탕으로 오염토양을 복원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평가기준이 지역 특이적인 것인지 적당한 것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은 (1) 시료채취의 공간분포도와 지역의 크기, (2) 취해진 시료의 수, (3) 시료채취 방법, 그리고 (4) 자료를 분석요령 등이다. 선택된 분석방법이 추천할만한 것일지라도 정량방법의 선택여부는 현장조사방법에 대한 훈련이나 조사경험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