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토양의 효과적 현장조사에 대한 주요 방법론의 검토

Key Methodologies to Effective Site-specific Accessment in Contaminated Soils : A Review

  • Chung, Doug-Young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Laboratory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9.12.30

초록

오염토양을 효과적으로 진단하고 경제적인 복원을 위해서는 오염토양의 오염원인, 오염정도, 주변 환경이나 인축에 대한 피해발생 유무, 오염물의 이동경로 등을 올바르게 평가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오염토양과 토양내 가스, 주변 지하수 및 지표수, 침전물 등의 효율적 시료채취와 정확한 분석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오염지역 토양의 오염도평가를 표준화하고 처리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처리요원이 토양의 오염도와 위험성을 정확하게 판단 할 수 있도록 단순하면서도 경제적인 연속시험법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오염토양의 조사와 복원시간 및 전치적일 기술의 진보를 가져오는데 상당한 시간절약을 꾀할 수 있다. 특히 효과적인 현장평가를 위해서는 오염특성을 포함한 많은 관련 요인들에 대한 표준화된 기준하에서 오염의 형태와 정도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장평가를 위한 일반적인 절차는 작업계획과 토양조사수준에 따라 Phase I, II, III의 단계적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Phase I은 토양의 과거용도 및 오염물의 유입경로를 기초로 하여 현장의 환경여건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Phase I에서 잠재적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것이 확인되면 Phase II에서는 오염물의 존재여부와 존재정도를 파악하는 단계로 시료의 채취 및 분석과정이 여기에 포함된다. Phase III는 Phase I과 II의 결과를 바탕으로 오염토양을 복원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평가기준이 지역 특이적인 것인지 적당한 것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은 (1) 시료채취의 공간분포도와 지역의 크기, (2) 취해진 시료의 수, (3) 시료채취 방법, 그리고 (4) 자료를 분석요령 등이다. 선택된 분석방법이 추천할만한 것일지라도 정량방법의 선택여부는 현장조사방법에 대한 훈련이나 조사경험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For sites to b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such an investigation can be used in determining foals for cleanup, quantifying risks, determining acceptable and unacceptable risk, and developing cleanup plans t hat do not cause unnecessary delays in the redevelopment and reuse of the property. To do this, it is essential that an appropriately detailed study of the site be performed to identify the cause, nature, and extent of contamination and the possible threats to the environment or to any people living or working nearby through the analysis of samples of soil and soil gas, groundwater, surface water, and sediment. The migration pathways of contaminants also are examined during this phase. Key aspects of cost-effective site assessment to help standardize and accelerate the evaluation of contaminated soils at sites are to provide a simple step-by-step methodology for environmental science/engineering professionals to calculate risk-based, site-specific soil levels for contaminants in soil. Its use may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it takes to complete soil investigations and cleanup actions at some sites, as well as improve the consistency of these actions across the nation. To achieve the effective site assessment, it requires the criteria for choosing the type of standard and setting the magnitude of the standard come from different sources, depending on many factors including the nature of the contamination. A general scheme for site-specific assessment consists of sequential Phase I, II, and III, which is defined by workplan and soil screening levels. Phase I are conducted to identify and confirm a site's recognized environmental conditions resulting from past actions. If a Phase 1 identifies potential hazardous substances, a Phase II is usually conducted to confirm the absence, or presence and extent, of contamination. Phase II involve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samples. And Phase III is to remediate the contaminated soils determined by Phase I and Phase II. However,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whether a assessment standard is site-specific and suitable are (1) the spatial extent of the sampling and the size of the sample area; (2) the number of samples taken: (3) the strategy of taking samples: and (4) the way the data are analyzed. Although selected methods are recommended, application of quantitative methods is directed by users having prior training or experience for the dynamic site investigation proces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