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shing rate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8초

Container System Actively Maintaining High CO2 Concentration for Improved Sensory Quality of Kimchi

  • Lee, Hye Lim;An, Duck Soon;Jung, Yong Bae;Lee, Dong Sun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9-84
    • /
    • 2016
  • A kimchi container actively controlling $CO_2$ concentration by timely flushing of $CO_2$ gas was structured and tested in its capability and effectiveness because high $CO_2$ concentration enhances the sensory flavor of the product. The inlet and outlet valves of $CO_2$ gas were programmed to open and close allowing synchronous vent/$CO_2$ flush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its dissolution in the contained kimchi. During the chilled storage, the headspace of container could be maintained at desired high $CO_2$ concentration providing the preferred kimchi in sensory quality compared to control of the conventional contain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CO_2$ container and control (container simply closed with air) in kimchi quality attributes of pH, titratable acidity, total viable bacterial count, Lactobacillus sp. count and Leuconostoc sp. count. The flow rate and time interval of $CO_2$ flushing need to be adjusted considering the kimchi amount, headspace volume and ripening time. The designed system has potential to be applied in refrigerator appliances in homes and food service industry.

Si 입자를 함유한 반도체 세정폐수의 한외여과 특성[I] -Polysulfone 평판막에 의한 투과분리- (Permeation Behavior of Semiconductor Rinsing Wastewater Containing Si Particles in Ultrafiltration System -I.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Polysulfone Flat Plate Membrane-)

  • 곽순철;이석기;전재홍;남석태;최호상
    • 멤브레인
    • /
    • 제8권2호
    • /
    • pp.102-108
    • /
    • 1998
  • 본 연구는 Si 미립자를 함유한 반도체 세정폐수의 평판막을 이용한 한외여과특성을 검토하였다. 평판막의 투과유속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현상은 막표면에 형성된 케익층의 증가 및 기공막힘에 기인한다. 흐름형태에 따른 투과유속은 cross flow가 dead-end flow의 약 1.4배 높았다. Si 미립자에 의한 막오염을 제거하는데는 역세법이 sweeping법 보다 우수하였다. 막오염으로 인한 투과유속의 감소는 질소가스로 역세척하여 초기투과유속의 약 85% 정도 회복되었다. 평판막을 이용한 cross flow 공정의 용질배제율은 약 90%였으며, 투과수증의 Si 미립자의 크기는 평균 70 nm였다.

  • PDF

저수지에 대한 조류 모형의 적용성 검토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imple Phytoplankton Model for Reservoir)

  • 이홍근;이준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0-56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velopment of a simple phytoplankton model for reservoir and applied DaeCheung reservoir. The effects of light intensity, PO$_{4}$-P, settling rate and flushing loss on phytoplankton growth are analyzed. This paper describes as investigation of the potential of simple phytoplankton models to d/splay chaotic instability, but given the observation of chaotic behavior in other simple simulation systems, such behavoir may actually be real fluctuation in the system response.

  • PDF

하구사주의 생성 및 발달을 해석하기 위한 수치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a Numerical Model to Analyz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River Mouth Bars)

  • 김연중;우정운;윤종성;김명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308-320
    • /
    • 2021
  • 해안침식의 근본적 대책으로서 감소한 공급 토사량 회복을 포함한 종합 토사관리 대책이 유효하지만, 계획에 있어서는 하천에서 바다로 유출된 토사 가운데 어느 정도의 양이 어느 정도의 속도로 해안에 다시 공급되는 토사량의 평가와 이를 위해서는 하천과 바다의 결절점인 하구지역에서 발생하는 토사의 이동 메커니즘 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홍수 시의 하구사주 붕괴(flushing) 과정을 해석하는 수치모델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고 있지만 하구사주의 형성 및 발달 과정을 해석하는 수치모델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재의 연구 진행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종합토사관리를 위해 유출된 토사가 회복되는 토사량의 평가를 위해 파랑변형, 유황계산 및 지형변화 모델을 구축하여 하구사주의 생성과정을 수치해석을 통한 재현을 목적으로 한다. 하구사주의 생성과정을 모의하였으며 에너지 파랑 및 작용 시간의 개념을 도입하여 장기간 표사이동의 예측을 실시하였다. 계산에 필요한 외력조건은 하구사주가 지배적으로 발달하는 동계시 작용하는 파랑조건과 하천의 유량을 고려하였으며 초기지형은 홍수시 마읍천의 하구사주가 붕괴(flushing)된 직후의 지형정보를 초기조건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입사파향에 따라 해빈류에 의해 하구사주의 발달과 생성과정을 재현하였으며 초기지형으로부터 약 66시간 경과 후 맹방하구 사주의 형태로 발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쥐 분리할구의 융합방법이 융합율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gregation Methods of Mouse Blastomeres on Aggregation Rate)

  • 최선호;정영채;김창근;정영호;윤종택;송학웅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1-116
    • /
    • 199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ggregation rate of isolated mouse 2-, 4- and 8-cell stage blastomeres in phytohemagglutinin(PHA) solution. The morphologically normal embryos were collected from the oviduct of superovulated female mouse by flushing with M2 and the zona pellucida of embryos were removed with 0.5% pronase. The blastomeres were isolated by pipetting after plunging into Ca++-Mg++free PBS for 20 min. The result showed that aggregation rate in 0.5% (84.9~93.1%) was higher than that in 1.0% PHA(76.0~82.1%). Optimal aggregation time was 60min (83.9~100.0%) when compared with 30min (78.8~87.5%). Developmental to blastocyst in recombinated blastomeres was higher under conditions of 0.5% PHA solution and 60-min aggregation than that under other conditions.

  • PDF

연직배수재를 이용한 오염지반 복원의 영향인자 분석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for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s Using Prefabricated Vertical Drains)

  • 박정준;신은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39-46
    • /
    • 2008
  • 개발사업과 산업발달로 인하여 발생되는 유해화학물질과 유류사용량이 늘면서 화학물질과 유류를 저장하는 지하저장탱크에서의 오염물질 유출로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 또한, 산업지역, 공장지대가 밀집된 매립 지반에서는 투수계수가 낮아 오염물질 추출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 방안의 하나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직배수재를 이용하여 기존의 복원기술인 토양세정공법의 효율을 증진시킨 연직배수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오염된 지반의 복원을 목적으로 사용한 연직배수시스템의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오염토양 복원시 오염지반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유효성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직배수시스템의 적용성을 위하여 오염토양 복원시 오염지반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공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파일럿 규모의 실내 오염복원 실험을 통한 오염물질의 복원효율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염화나트륨을 복원실험의 추적자로 사용하였고,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SEEP/W와 CTRAN/W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압력수두와 지속시간에 따른 농도변화, 각각의 지반조건에 대한 복원률의 오염물질 흐름 해석을 통한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오염지반의 투수계수는 흐름속도와 연직배수재를 통한 추출률과 관계되며, 흐름속도와 추출률은 분산지수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결국 원위치 오염복원 과정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 PDF

표고톱밥재배시 톱밥 크기 및 첨가제의 혼합 여부에 따른 생산성 비교 (Comparison of Productivity According to Sawdust Size and Effect of Additives for Sawdust Cultivation of Shiitake)

  • 이봉훈;박원철;가강현;유성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6-40
    • /
    • 2008
  • 표고톱밥재배시 톱밥의 크기와 첨가제의 혼합 여부에 따른 생산성 차이를 확인하기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표고균사가 배지 표면에 만연되는데 까지 걸린 시간을 조사한 결과, $CaCO_3$, $KNO_3$을 첨가한 $3{\sim}5\;mm$ 톱밥 처리구와 $CaCO_3$$KNO_3$을 첨가하지 않은 $3{\sim}5\;mm$ 톱밥 처리구가 가장 빨랐다. 그리고 중량감소율 조사에서는 $CaCO_3$$KNO_3$을 첨가하지 않은 1 mm 이하 톱밥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발생 차수별로 버섯이 발생되는 경향도 처리구에 따라 약간씩 달랐다. $CaCO_3$$KNO_3$을 첨가한 1 mm 이하 톱밥 처리구의 경우에는 1, 2차발생에서 수확량의 80% 이상이 생산되었다. 반면에, $CaCO_3$$KNO_3$을 첨가하지 않은 1 mm 이하와 $5{\sim}7\;mm$ 톱밥 혼합 처리구는 1, 2차발생 보다 3, 4차발생에서의 수확량이 더 많았고 1, 2차 발생에서의 수확량이 전체 수확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34%였다. 생산성 조사 결과, 수확량과 버섯개수가 처리구별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총수확량과 버섯개수가 각각 568 g, 67개였던 $CaCO_3$, $KNO_3$을 첨가한 $3{\sim}5\;mm$ 톱밥 처리구가 가장 많았으며, 각각 227 g, 24개가 수확된 $CaCO_3$$KNO_3$을 첨가하지 않은 1 mm 이하와 $2{\sim}3\;mm$ 톱밥 혼합 처리구 및 $CaCO_3$$KNO_3$을 첨가하지 않은 1 mm 이하와 $5{\sim}7\;mm$ 톱밥 혼합 처리구가 가장 적었다. 그리고 10 g 이상 되는 버섯의 수확량 조사에서는 $CaCO_3$, $KNO_3$을 첨가한 $3{\sim}5\;mm$ 톱밥 처리구가 397 g으로 가장 많았다.

水文化學的 資料를 통한 花崗岩質 流域의 化學的 風化特性에 關한 硏究 (Hydrogeochemical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 of Chemical Weathering in a Granitic Gatchment)

  • 박수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5
    • /
    • 1993
  • 본 연구소는 소규모 유역에서 하천수와 지하수의 溶存이온 특성을 통하여 각종 이온들의 溶脫特性과 粘土鑛物의 형성환경, 化學的 風化量 등을 추정해 본 것이다. 필자는 본 연구를 위하여 1990년 10월 부터 1년간에 걸쳐 유량측정 및 수질분석을 실시하였고 야면의 4개 지점에서 점토광물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암석의 풍화에 의한 溶存物質은 전체의 약 39$%$ 미만이었고, 유역내의 풍화층에 집적되는 이온은 $H^+$, $K^+$, Fe, Mn 등이었다. 물질의 계절적인 收支特性과 水文學的 자료로 볼 때, 여름에는 Kaolinite가 열역학적 측면에서 안정된 점토광물이며, 2:1 점토광물도 Kaolinite로 변형될 가능성이 높다. 풍화에 유출되는 2차광물의 형성과 식생의 영향이 비교적 적은 $Na^+$를 사용하여 화학적 풍화량을 추정한 결과, 본 유역의 화강암이 1년에 화학적으로 풍화되는 양은 약 31.31g/$m^2$정도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수중의 비소 종 분리 분석 (Speciation Analysis of Arsenic Species in Surface Water)

  • 정관조;김덕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21-62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물속 As(III)와 As(V)의 종 규명분석에 필요한 HPLC와 DRC-ICP-MS의 최적조건을 설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한강 팔당수계 10개 지류 천으로부터 채취한 시료중의 As(III)와 As(V)를 분석 검토하였다. 종 분리를 위한 HPLC의 이동상으로는 10 mM ammonium nitrate와 10 mM ammonium phosphate monobasic을 사용하였으며, flushing solvent로는 5% v/v 메탄올을 사용하였다. 검출기는 DRC-ICP-MS를, 반응기체는 산소를 사용하였다. 최적 분석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이동상의 pH, 유량 및 시료 주입량과 DRC의 산소 유량을 달리하여 검토한 결과, 이동상의 pH는 9.4, 유량은 1.5 mL/min, 시료 주입량은 100 $\mu$L, 산소의 유량은 0.5 mL/min이었을 때 가장 좋은 분석조건으로 나타났다. 검정곡선은 As(III)와 As(V)에 대해 모두 r$^2$ = 0.998 이상의 선형성을 나타냈으며, As(III)의 검출한계는 0.10 $\mu$g/L, 정확도(RSD)는 4.3%, 회수율은 95.2%, As(V)의 검출한계는 0.08 $\mu$g/L, 정확도(RSD)는 3.6%, 회수율은 96.4%로 나타났다. 분석시간은 4분이었다. 설정된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한강 팔당수계 유입 10개 지류 천에서 채수한 시료를 분석한 결과, As(III)는 0.10$\sim$0.22 $\mu$g/L, As(V)는 0.44$\sim$1.19 $\mu$g/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총 비소의 93.5%가 As(V)의 형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고톱밥재배시 톱밥종균과 액체종균의 접종량 차이에 따른 생산성 비교 (Comparison of Productivity according to Different Quantity of Sawdust and Liquid Spawn for Sawdust Cultivation of Shiitake)

  • 박원철;이봉훈;가강현;유성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1-44
    • /
    • 2008
  • 중온성 품종을 사용했을 때 톱밥종균과 액체종균의 접종량에 따라 생산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했다. 톱밥종균을 접종한 처리구들은 수확이 차수별로 분산되고 자실체도 산발적으로 발생되었다. 반면에, 액체종균을 접종한 처리구들은 톱밥종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확이 1차 발생에 집중되었고 자실체들도 조밀하게 발생되었다. 7차 발생까지의 총수확량과 버섯 개수도 액체종균 처리구가 톱밥종균 처리구보다 더 많았다. 또한 배지무게의 30%가 생산된 액체종균 20 ml 접종 처리구의 생물적효율은 69%로 처리구들 중 가장 높은 반면에, 톱밥종균 10 g 접종 처리구의 생물적효율은 42%로 처리구들 중 가장 낮았다. 그리고 비록 총수확량 중 10 g 이상 되는 버섯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톱밥종균을 접종한 처리구들에서 더 높게 나타났지만, 10 g 이상 되는 버섯의 양은 톱밥종균을 접종한 처리구들이나 액체종균을 접종한 처리구들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