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azinam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41초

살균제 Fluazinam의 토양환경 중 흡.탈착, 용탈 및 분해양상 (Adsorption-Desorption, Leaching, and Degradation Pattern of Fungicide Fluazinam in the Soil Environment)

  • 허원;이석준;김장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2호
    • /
    • pp.128-133
    • /
    • 1997
  • 유기물 함량이 다른 두 종류의 토양을 선정하여 풍건한 조건, 유기물을 제거한 조건 및 유기물을 제거한 토양에 humic acid 또는 fulvic acid를 첨가한 세 가지 형태로 구분하여 살균제 fluazinam (3-chloro-N-(3-chloro-5-trifluoromethyl-2-pyridyl)-${\alpha},{\alpha},{\alpha}$-trifluoro-2,6-dinitro-${\rho}-toludine$)의 흡착, 탈착, 용탈 및 잔류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Fluazinam의 흡착양상은 Freundlich equation에 잘 부합되었다. 유기물을 제거한 토양에서 fluazinam의 흡착량 및 흡착강도는 유기물을 제거하지 않은 토양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유기물을 제거한 토양에 humic acid 또는 fulvic acid를 각각 2.0%또는 0.5%되게 첨가한 경우, 흡착량은 fulvic acid를 첨가한 토양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기물을 제거한 토양에 흡착된 fluazinam의 탈착율은 증가하였다. Soil column시험에서 토양표면에 처리된 fluazinam은 유출수에 의하여 용탈되지 않았으며, 대부분이 표토층 (5 cm)에 존재하였고 표층 15 cm 이하로는 이동되지 않았다. 토양중 fluazinam의 잔류량변화는 유기물 함량이 적은 토양 보다는 많은 토양에서, 살균조건의 토양보다는 비살균조건의 토양에서, 비담수토양 보다는 담수토양에서 빠르게 감소하였다.

  • PDF

수출입 원예작물의 검역을 위한 살균제 Fluazinam의 공정 잔류분석법 개발 (Development of an Official Method for Measurement of Fluazinam Residues for Quarantine of Imported and Exported Horticultural Products)

  • 김경하;안경근;김기쁨;황영선;장문익;강인규;이영득;정명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1호
    • /
    • pp.183-194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및 수출입 원예작물의 일상적 잔류농약 검사에 활용 가능한 dinitroaniline계 광범위 살균제 fluazinam의 GC-ECD/MS 잔류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원예작물 중 채소류에서는 청양고추와 결구배추를, 과일류에서는 감귤과 사과를 대표 시료로 선정하였고, 아세톤으로 추출된 fluazinam은 식염수로 희석하고, 수용액층을 n-hexane 액-액 분배법으로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추출액으로부터 fluazinam의 최종적 정제를 위하여 florisil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추가 정제하여 GC-ECD/MS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Fluazinam의 정량적 분석을 위하여 DB-17 capillary column을 적용한 GC-ECD 분석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각 작물별 4수준의 농도로 fluazinam을 인위 첨가하여 회수율을 분석하였다. 각 대표 원예작물에 대해 정량한계, 정량한계의 10, 50, 및 100배 수준에서 회수율을 검토한 결과 모든 처리농도에서 82.5-99.9%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정량한계(LOQ)는 $0.004mg{\cdot}kg^{-1}$이었다. 반복 간 변이계수(CV)는 최대 6.6%를 나타내어 국제적 잔류분석 기준인 회수율 70-120% 및 분석오차 10% 이내를 충족시키는 만족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GC/MS SIM을 이용하여 실제 각 작물 시료에 적용하여 재확인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신규 fluazinam의 GC-ECD/MS 분석법은 검출한계, 회수율 및 분석오차 면에서 국제적 분석기준을 만족하는 신뢰성이 확보된 정량 분석법으로서 국내 및 수출입 검역을 위한 원예작물의 공정 잔류분석법으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Efficacy of Fluazinam and Iprodione+Propineb in the Suppression of Diaporthe phaseolorum, Colletotrichum truncatum and Cercospora kikuchii, the Causal Agents of Seed Decay in Soybean

  • Oh, Jeung-Haing;Kang, Nag-W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16-220
    • /
    • 2002
  • Seed decay of soybean caused by Diaporthe phaseolorum, Colletotrichum truncatum and Cercospora kikuchii is a serious disease when soybean is harvested under warm and wet weather conditions. Benomyl has been used for controlling the disease, however, benomyl application may be limited due to common occurrence of resistance. The efficacy of 21 fungicides against the pathogens was evaluated in vitro. Among the fungicides tested, benomyl, carbendazim, fluazinam, iprodione+propineb, thiophanate-methyl, and triflumizole were found effective and were evaluated for their ability to control the seed pathogens. Fluazinam completely inhibited mycelial growth at a concentration of 100 $\mu\textrm{g}$/$\textrm{m}{\ell}$ for D. phaseolorum; and at a concentration of 500 $\mu\textrm{g}$/$\textrm{m}{\ell}$ for C. truncatum and C. kikuchii. $EC_90$ values of fluazinam were similar to that of benomyl. Because fluazinam, iprodione+propineb, and triflumizole were found effective against the seed pathogens, these were subjected for field-testing. Suppression of pod and seed infection by fluazinam and iprodione+propineb was as high as that of benomyl without any reduction in agronomic characters of soybean. This study shows that fluazinam and iprodione+propineb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benomyl to control seed pathogens, manage resistance, and ensure production of high quality soybean seeds.

고추재배 포장 라이시메타를 이용한 fluazinam의 유출 평가 (Runoff of Fluazinam Applied in Pepper Field-lysimeter)

  • 김찬섭;임양빈;권혜영;임건재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56-263
    • /
    • 2013
  • 작물재배 관행과 지형에 의한 농약의 유실양상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고추재배 경사지 포장에서 농약유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Fluazinam 50% 수화제를 2003년부터 2005년까지 7월 중에 살포한 후 작물체를 씻어 내리는 빗물(wash-off), 유출수, 유실토 및 토양 중 fluazinam의 잔류소실 양상을 추적하였다. 농약살포 후 작물체 표면에 부착되었던 fluazinam이 빗물에 씻겨 내리는 정도는 살포량의 1.4~8.2%이었다. Fluazinam의 유출률은 등고선방향 비닐피복구의 경우 1년차 0.14~0.90%, 2년차 0.01~0.04%, 3년차 0.16~0.37%이었고 상하경 비닐피복구 0.47~1.59% 및 등고선방향 무피복구 0.07~1.05%로 경사도에 따라 유출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 유출에 의한 fluazinam의 유출농도는 대부분 10 ${\mu}gL^{-1}$ 이하였다. 상하경 비닐피복구를 제외한 토양유실에 의한 fluazinam의 포장외부로의 경사도별 유출률은 10% 경사구와 20% 경사구는 0.00~0.21%이었고 30% 경사구는 0.15~1.05%이었으며, 상하경 비닐피복구의 유실률은 경사도 10%구와 20%구에서 각각 0.47~1.59%와 0.75~1.05%이었다. 농약살포 10일 경과 후 비닐피복부분을 제외한 고추밭 토양 중 fluazinam의 잔류농도는 0.007~0.059 mg $kg^{-1}$이었고 토양반감기 20일의 속도로 소실되어 살포 60일 경과 후에는 0.01 mg $kg^{-1}$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Rhizoctonia solani에 의한 여름 시금치 잘록병의 방제를 위한 살균제 선발 (Fungicide Screening for Control of Summer Spinach Damping-off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 김병섭;윤여순;윤철수;장현철;용영록;홍세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5-40
    • /
    • 2005
  • Rhizoctonia solani AG-4에 의하여 발생하는 여름 시금치 잘록병은 매우 중요한 병이다. 이 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13종(pencycuron, trifloxystrobin, pyraclostrobin, azoxystrobin, kresoxim-methyl, validamycin, fluazinam, Benlate-T, flutolanil, cyazofamid, hexaconazole, tebuconazole, prochloraz)의 살균제의 약효를 in vitro와 in vivo 검정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In vitro 균사생장 억제 시험 결과 pencycuron, pyraclostrobin, validamycin, fluazinam, Benlate-T, hexaconazole, tebuconazole, flutolanil이 병원균의 생장을 크게 억제하였다. 그러나 trifloxystrobin, azoxystrobin, kresoxim-methyl, cyazofamid, prochloraz은 억제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살균제들을 관구처리한 유묘검정(2,000 mg/L)에서 pencycuron, pyraclostrobin, validamycin, fluazinam, Benlate-T, flutolanil은 97.8%, 84.4%, 93.3%, 95.6%, 91.1%, 86.7%의 생존율을 나타냈고, 2,000 mg/L의 농도로 종자처리하였을 때 pencycuron과 pyraclostrobin은 85.1%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In vitro에서 단감나무 둥근갈색무늬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 선발 (In vitro selection of fungicides for control of leaf blight of sweet persimmon tree caused by Pestalotiopsis theae)

  • 장태현;임태헌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50-56
    • /
    • 2001
  • 국내에 등록된 살균제를 대상으로 Pestalotiopsis theae (SP-3)에 의해 발생되는 단감나무 둥근갈색무늬병 방제약제 선발을 위하여 in vitro에서 병원균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상 약제 중 prochloraz, tebuconazole, fluazinam, fludioxonil, iminoctadine-triacetate 등은 $10{\mu}g/m{\ell}$에서 85% 이상, dichlofluanid과 chlorothalonil은 각각 10%, 33%의 균사생장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나, benomyl은 전혀 억제시키지 못하였다. 이들의 균사생장 최소억제농도 (MIC)는 iminictadine-triacetate가 P. theae SP-3 균수에 대해서는 $10{\mu}g/m{\ell}$인 반면, 대조균인 P. theae $\underline{MAFF}$ 752002와 P. longiseta $\underline{MAFF}$ 752001에 대해서는 $1{\mu}g/m{\ell}$ 미만으로 나타났다. fludioxonil, fluazinam, tebuconazole의 MIC는 $10{\mu}g/m{\ell}$이었고, Benomyl, chlorothalonil 및 dichlorofluanid의 MIC는 $1,000{\mu}g/m{\ell}$ 로 나타났다. 분생포자의 발아는 $1{\mu}g/m{\ell}$의 prochloraz, tebuconazole, fluarinam, fludoxonil, iminoctadine-triacetate가 함유된 배지에서 80% 이상 억제되었고, benomyl, chlorothalonil, dichlofluanid이 함유된 배지에서는 각각 40%, 60%, 30% 억제되었다. 단감나무 잎 절편과 공시균의 포자현탁액을 이용한 약효 검정에서 $10{\mu}g/m{\ell}$ iminoctadine-triacetate는 93% 이상 발병 억제력을 보였으나 동일 농도의 benomyl과 dichlofluanid는 발병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예방 및 치료 효과는 Fludoxonil, tebuconazole, fluazinam 및 iminoctadine-triacetate이 94% 이상을 보인 반면, benomyl과 dichlofluanid은 예방과 치료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Effect of Drenching Soil with Benomyl, Propiconazole and Fluazinam on Incidence of Disappearing Root Rot of Ginseng

  • A.Monique Ziezold;Robert Hall;Richard D.Reeleder;John T.A.Proctor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237-243
    • /
    • 1998
  • Three fungicides, Orbit (propiconazole), Benlate (benomyl) and ASC-66835 (fluazinam), were tested as soil drenches to control disappearing root rot (DRR) of ginseng (Panax quinquefolius) in gardens artificially infested with Cylindrocarpon dsstrutans. The incidence of DRR was low (0∼3.5%) in uninfected plots and significantly higher in infested plots (2.6∼19.9%). Significant reductions in the incidence of DRR were observed in 1-year-old and 2-year-old gardens that were treated and assessed for disease in the same year Significant control was not obtained in 3-year-old gardens treated and as secede in the same year, or in 1-year-old or 2-year-old gardens assessed in the year following information. Disease incidenc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49-77% by low and high rates of benomyl (45 and 1,250 mg a.1./L) and propiconazole (10 and 40 mg a.i./L) and by fluazinam at 150 mg a.i./L. These fungicides seem to be worthy of further investigation as soil drenches to control DRR of ginseng.

  • PDF

Pseudomonas sp.를 이용한 콩 탄저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Soybean Anthracnose by Pseudomonas sp.)

  • 오정행;김규홍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74-178
    • /
    • 2003
  • 콩 탄저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하여 병원균 Colletotrichum truncatum과 C. gloeosporioieds에 대한 길항세균 Pseudomonas sp.를 분리 동정하였다. Pseudomonas sp.의 균사생장 억제효과는 탄저병 살균제 benomyl, fluazinam과 비슷하였으며, 콩에 대한 병원성은 거의 없었다. Pseudomonas sp. 의 종자처리는 C. truncatum 을 접종한 콩 종자의 출현율을 현저히 증가시켰고, 경엽처리한 경우 잔효성은 낮았지만 처리 2주 후의 방제효과는 benomyl, fluazinam과 비슷하게 높았다.

Strobilurin계 살균제에 대한 고추탄저병균의 교차저항성과 Pyraclostrobin 저항성균에 대한 다른 기작 살균제의 억제 효과 (Cross-resistance of Colletotrichum acutatum s. lat. to Strobilurin Fungicides and Inhibitory Effect of Fungicides with Other Mechanisms on C. acutatum s. lat. Resistant to Pyraclostrobin)

  • 박수빈;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28권3호
    • /
    • pp.122-131
    • /
    • 2022
  • Pyraclostrobin에 대해서 감수성균인 Colletotrichum acutatum s. lat. 20JDS8과 저항성인 20CDJ6을 사용하여, strobilurin계에 속하는 살균제와의 교차 저항성 여부와, 작용기작이 다른 살균제의 저항성균에 대한 작용 특성을 조사하였다. Pyraclostrobin 저항성 20CDJ6은 strobilurin계인 azoxystrobin, trifloxystrobin, kresoxim-methyl에 대해서도 저항성을 보여, 교차 저항성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작용기작이 다른 모든 살균제는 감수성과 저항성균 모두의 균사 생장을 억제하였지만, 열매에서 병 방제 효과는 서로 달랐다. Isopyrazam의 20JDS8과 20CDJ6에 대한 병 방제효과는 매우 낮았으며, fluazinam은 열매에 상처를 내지 않고 예방적으로 처리하였을 때만 20JDS8과 20CDJ6에 대해서 91.9%와 88.1%의 방제 효과를 보였다. Tebuconazole과 prochloraz는 PDA 배지 상에서 20JDS8과 20CDJ6의 균사생장뿐만 아니라 고추 열매에서 병 발생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pyraclostrobin에 대해서 저항성인 고추탄저병균은 strobilurin계의 다른 살균제와 교차 저항성을 보였다. 또한 pyraclostrobin 저항성균의 방제를 위한 대체 살균제로 작용기작이 다른 fluazinam, tebuconazole, prochloraz 등을 추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다만, fluazinam은 병 발생 이전에 예방적으로 처리하여야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팔라시스이리응애에 대한 농약의 독성 (Comparative Toxicity of some Pesticides to the Predatory Mites, Neoseiuius fallacis Carman (Acari: Phytoseiidae))

  • 김동환;김상수;김광식;현재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79-188
    • /
    • 2006
  • 감귤 병해충 방제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37종의 약제에 대한 팔라시스이리응애의 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difenoconazole, imibenconazole, azoxystrobin, dithianon, fluazinam, procymidon, streptomycin, tribasic copper sulfate 등의 살균제 8종과 dichlovos, imidacloprid, thiamethoxam 등의 살충제 3종, 그리고 milbemectin, tetradifon, dicofol, spirodiclofen 등의 살비제 4종은 팔라시스이리응애 알의 부화율에 대한 영향이 적었으며, propineb, difenoconazole, imibenconazole, azoxystrobin, dithianon procymidon 등의 살균제 6종과 bifenazate, tetradifon, spirodiclofen 등의 살비제 3종은 성충에 대한 독성이 낮았다. 농약이 살포된 점박이응애 알을 먹이로 공급하여 성충에 대한 이차독성을 검정한 결과, 살균제 2종(fluazinam, streptomycin)과 살비제 3종(machine oil, cyhexatin, halfenprox)이 독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