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er trees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19초

가시오갈피의 수집종과 배양조직에 따른 체세포배발생 및 재분화 식물체의 순화 (Effect of Genotype and Explant on Somatic Embryogenesis and Acclimatization of Acanthopanax senticosus)

  • 이성호;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17-221
    • /
    • 2002
  • 가시오갈피의 꽃봉오리 엽병, 줄기, 줄기마디, 뿌리, 꽃대, 잎 등 조직으로 부터 캘러스가 유기 되었으며 캘러스 유기재료로는 꽃봉오리, 엽병, 줄기, 줄기 마디, 뿌리 등이 적합하였다. 캘러스 유기율은 한국산 가시오갈피가 일본산과 러시아산보나 높게 나타났다. 캘러스유기에는 2.4-D와 TDZ조합처리가 효과적이었으며 한국가시오갈피의 엽병, 줄기, 액아, 뿌리절편으로부터 형성된 캘러스에서 배발생 캘러스가 형성되었으며 줄기에서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한국, 일본, 러시아산 가시오갈피 모두에서 배발생캘러스가 형성되었다. 엽병에서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배발생캘러스의 유기율이 가장 높았으며 2.4-D 1mg/l 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액체배지에서의 체세포배의 생장에는 생장조절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MS기본배지가 적합하였다. 기내에서 잎과 뿌리 분화가 이루어지고 건실하게 자란 식물체를 온실에 옮겨 순화하였을 경우 99.1%의 생존율을 보였다.

The effect of water status on productive and flowering variables in young 'Arbequina' olive trees under limited irrigation water availability in a semiarid region of Chile

  • Beya-Marshall, Victor;Herrera, Julio;Fichet, Thomas;Trentacoste, Eduardo R.;Kremer, Cristian
    •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 HEB
    • /
    • 제59권6호
    • /
    • pp.815-826
    • /
    • 2018
  • The intense drought affecting olive production in Northern Chile underscores the need to research non-traditional irrigation strategies to obtain the best crop performance.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obtain preliminary data to guide future research on this topic. Different water replenishment levels on crop evapotranspiration ($ET_c$ ; 13.5, 27.0, 40.5, and 54%) were established in a young orchard, cv. Arbequina, from the end of fruit drop (EFD) to full bloom in the next season. We evaluated the influence of plant water status (${\Psi}_{stem}$ ) and crop load, considered as function of fruit number divided by trunk cross-sectional area, on reproductive and productive variables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s. Our results show that crop load and ${\Psi}_{stem}$ measured from EFD to harvest affected yield components. Nevertheless, ${\Psi}_{stem}$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fruit size, pulp development, oil accumulation, and yield. Oil content and yield were reduced by 54% and 50% for each MPa, respectively, from ${\Psi}_{stem\;EFD-H}$ -1.8 MPa, an effect that intensified as crop load increased. During the period of flower development (September-November), the number of flowers per inflorescence and percentage of perfect flowers were reduced when ${\Psi}_{stem}$ was less than -2.0 MPa. These preliminary results showed that bud differentiation, inflorescence and flower formation are highly sensitive to water deficit.

Analysis of Designation and Symbolic Meanings of Floral Emblems in South Korea as Elements of Garden Tourism and Design

  • Kim, Inhea;Park, Jin-Sil;Choi, Kyoung-Ok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7-99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and symbolic meanings of floral emblem designation in local governments of South Korea. The scope of local governments subject to analysis was limited to special city, metropolitan city, province, self-governing province, city, self-governing city, county and district based on their administrative divisions. The floral emblems of local governments and their symbolic meanings as of 2019 were examined. A total of 44 plant species were designated as floral emblems. Many plant species with high designation frequency were included in Rhododendron spp., Rosa spp., Camellia spp., Magnolia spp., and Prunus spp.. Plant species with higher designation frequency tended to have more symbolic meanings. A total of 155 terms were used for the symbolic meanings assigned to all the designated floral emblems. The major symbolic meanings were relevant to material affluence or economic growth, community spirit, and personality generally required from local residents. Most of the plant species linked to the top 10 most frequently assigned terms in symbolic meaning were those of the top 10 most frequently designated floral emblems. In the case of floral emblems with high designation frequency, it was shown that they were linked with various symbolic meanings in order to grant identity with regional distinctiveness and differentiation, regardless of the symbolic meaning that the designated flowers generally have. However, the floral emblems with low designation frequency seem to have relatively strong physical or emotional relevance with local governments and thus are expected to have high utilization in regional branding and tourism marketing.

충주지역에서 '후지' 사과나무의 휴면단계 변화 및 눈 발달 (Changes in Dormant Phase and Bud Development of 'Fuji' Apple Trees in the Chungju Area of Korea)

  • 이별하나;박요섭;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4호
    • /
    • pp.501-510
    • /
    • 2015
  • 본 연구는 수삽을 이용한 'Fuji' 사과나무의 발아 특성 관찰을 통해 자연상태에서의 내재휴면 개시 및 타파 시점을 찾고, 이에 필요한 저온요구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동시에 휴면과 발아와의 관계를 좀 더 명확히 하고자 내부적인 눈의 발달 양상을 관찰하여 휴면과 저온 및 눈 발달간의 상호연관성을 파악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들을 예상하고 대처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Fuji' 사과나무의 내재휴면 기간은 발아 소요 일수 및 발아율 조사를 통해 만개 후 165일부터 255일 사이 즉, 10월말부터 이듬해 1월 초까지 약 70일 정도 지속됨을 알 수 있었으며, 최초 발아까지 20일 이내, 최종 발아율 60% 이상을 기준으로 외재휴면에서 내재휴면으로, 다시 내재휴면에서 환경휴면으로 전환되는 시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렇게 도출된 내재휴면기 동안 요구되는 저온을 산출한 결과, 내재 휴면타파기인 만개 후 255일까지 축적된 저온은 CH 모델의 경우 666h, Utah 모델은 517CU으로 조사되었다. 휴면기 및 휴면타파기 동안 눈의 내부적인 변화를 관찰한 결과, 7월 중순경부터 꽃눈분화가 시작되었으며, 9월에는 중심화의 화원기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이후 꽃눈의 발달은 휴면 기간 동안에도 느리지만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이듬해 2월에는 각 기관들의 발육 단계가 좀 더 진전되어 있음이 관찰되었다. 또한 'Fuji' 사과의 눈은 휴면 기간 동안 대부분 건전하게 생존해 있었지만 일부에서 화원기의 괴사현상이 발견되었고, 이는 저온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이기보다는 얼음결정 형성으로 인해 일부 조직의 세포가 피해를 입고, 이로부터 괴사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꽃눈은 과대지의 액아와 단과지의 정아에서 모두 형성되었으나, 전체 꽃눈 중 약 65%의 비율로 단과지의 정아에서 더 많은 꽃눈이 분화되고 있었으며, 이는 눈의 크기 및 눈이 위치한 가지의 직경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었다.

한국과 중국 및 일본의 궁중 전통 꽃꽂이 특징비교 (The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Flower Arts Used in Royal Court Ceremonies)

  • 홍훈기;이종석
    • 화훼연구
    • /
    • 제18권2호
    • /
    • pp.125-135
    • /
    • 2010
  •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 꽃꽂이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문헌과 궁중 행사 장식용으로 이용되었던 전통 궁중회화를 이용하여 조형의 요소와 원리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시대선정은 한국의 조선, 중국의 명, 일본의 에도 시대로 한정하였다. 유사점은 한 중 일 모두 꽃꽂이의 기원을 원시신앙에 두었으며 조형적인 형태가 발생한 시점은 불전공화에 두었다. 이용된 소재는 아취가 있는 화목류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자연의 모습을 존중하고 심상적인 표현을 하였다(Fig. 1a-c). 기술적인 부분은 수제(水際)부분이 있었으며 선을 이용하여 한 가지에서 나온 것처럼 줄기를 모아 꽂았다(Fig. 2a-c). 차이점은 한국이 두 나라에 비해 소재의 수를 적게 사용하였고, 양감적이었으며, 도식화된 타원형으로 의궤에 계승되어 내려왔다(Hong, 2001). 또한 중국보다 조형적이었으나 일본보다는 자연미가 있었고 좌우균제의 미가 발달해 있었다(Fig. 3a-c). 한국의 꽃꽂이는 여백 처리와 선의 각도 변화가 크지 않아 부드럽고 온화하였으며 규모는 일본보다 더 큰 형태를 선호하였다(Table 1). 또한 화목류의 단일 소재 사용으로 화려함 보다는 조용함과 소박함이 있었다(Fig. 4a-c). 반면 한국에 비해 중국과 일본은 비균제의 미가 발달하였으며 많은 종류의 소재를 사용하여 화려하였고 화기의 외부 형태도 섬세한 디자인으로 되어있었다(Fig. 1a-c). 중국의 특징은 다양한 소재로 화려함과 풍부함, 소재에 인공을 가하지 않은 자연의 미였다(Fig. 1b). 그러나 형식을 경계하여 조형적으로 일본처럼 접근하여 발전시키지 못했다. 일본은 한국보다 다양한 소재와 각도의 변화로 화려하며, 섬세한 여백의 분할로 인공적인 기교가 극치를 이루었고, 격식에 맞춰 곡선과 직선의 대비로 선이 날카롭고 강하였다. 또한 제한된 주지의 각도 변화로 여백이 많아 가벼웠으며, 불균제의 미가 발달해 있었다(Fig. 1c).

Gibberellin 처리(處理)에 의(依)한 편백나무의 개화촉진(開花促進) (Stimulation of Flowering in Chamaecyparis obtusa Grafts by Gibberellin Treatments)

  • 김원우;김진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4호
    • /
    • pp.549-556
    • /
    • 1998
  • 편백의 개화촉진 방법을 강구하기 위하여 제주도 남제주군 임목육종연구소 남부육종장 채종원 및 클론보존원에서 지베레린을 처리한 후 개화량을 조사하고 종자생산량을 추정하였다. $GA_3$ 300ppm 및 $GA_{4/7}$ 300ppm의 수관산포와, $GA_{4/7}$ 1.5cc와 수간매입을 시기별(3시기)로 시행하였으며, 클론보존원에서는 $GA_3$ 300ppm을 수관산포하고, $GA_{4/7}$ 1.5cc와 $GA_3$ 20mg을 수간매입 하였다. 각 처리에 대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든 지베레린 처리구에서의 자화개화량이 무처리구에 비해 증가하였는데, $GA_{4/7}$ 1.5cc 수간매입 처리구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GA_3$ 300ppm 수관산포 처리구에서 효과가 좋았다. 한편 웅화의 경우에도 지베레린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개화촉진 효과가 우수하였다. 2. 처리시기별 비교에서는 웅화(雄花)의 경우, 8월 15일 처리한 시험구에서의 8월 31일 및 9월 11일 처리한 시험구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웅화(雄花)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3. 개화촉진 효과가 가장 좋았던 $GA_{4/7}$ 1.5cc 8월 15일 처리구에서 ha 당 22.12kg의 종자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4. 클론별 지베레린 처리결과 클론간 자화 및 웅화 개화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개화특성의 경우, 특히 자화개화량은 유전적 요인에 의해 어느 정도 지배되어짐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Fuji'/M.9-T337 묘목의 삭아접 시기, 대목절단 시기, 적엽 및 Promalin 처리가 나무의 생장과 측지발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imes of Chip Budding and Rootstock Removal, Leaf Removal Plus Promalin Application on the Tree Growth and Lateral Development for 'Fuji'/M.9-T337 Nursery Trees)

  • 박정관;홍재성;최인명;김정배;윤천종;전성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3호
    • /
    • pp.329-332
    • /
    • 1999
  • 대목재식 후 2년차에 측지가 10개 이상 발생 된 우량묘를 생산하기 위하여 삭아접시기 및 대목 절단시기에 따른 수체생육 특성과 측지발생에 미치는 적엽 및 promalin 처리 효과를 시험한 결과, 대목재식 후 약 90일 정도 경과한 6월중순경에 삭아접을 실시하는 것이 4월 중순에 삭아접을 하는 것보다 재식 1년차의 수체생육은 떨어지지만 접아고사주율이 평균 8% 정도 낮았다. 또한 M.9 대목 절단시기에 있어서는 삭아접전절단(ECCB)을 실시하는 것보다 삭아 접후절단을 할 경우, 접아고사율이 14% 정도 낮아 수체 생장의 균일도가 높으면서 접목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식 2년차인 1998 년도에 접목시기 및 M.9 대목 절단시기에 따른 적엽(3회) 및 promalin(3회) 처리효과를 조사한 결과, 6월 중순 삭아접후절단(LCCB) 처리 구에서 측지발생 효과 및 화아형성 정도가 다른 처리에 비하여 가장 좋았다. 묘목 특성으로는 수고 209cm, 측지수 13.8개, 화아형성수 9.0개로 우량한 측지묘 조건에 부합한 묘목이 생산되었다.

  • PDF

광양 매실을 활용한 관광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ays to Activate Tourism through Gwangyang Maesil)

  • 여호근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45권2호
    • /
    • pp.10-18
    • /
    • 2012
  • 광양에서 매실이 자라기 시작한 것은 1931년도에 율산 김오천 옹이 일본으로부터 매실나무 5천 그루를 가지고 와서 심었기 때문이다. 오늘날 광양 매실은 전국 매실 총생산량의 약25%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광양지역에서는 매실을 이용한 다양한 식품과 가공품, 그리고 음료 등을 생산하고 있다. 그리고 제15회 광양국제매화문화축제에는 수많은 관광객이 방문하여 축제를 즐기면서 매화꽃을 감상하였다. 2010년 한 해 동안에 광양의 청매실농원에는 약190만명이 방문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많은 인원이 방문한 관계로 혼잡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광양 매실을 이용한 관광가치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활성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광양 매실(매화)에 상징적인 스토리텔링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관람을 하면서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간식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관광객들의 체류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다양한 재미 요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매실을 이용한 관광활성화 아이디어 공모전 등을 개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인근 도시 및 군과 긴밀하게 협력하여 공동 관광상품 개발 및 공동 관광마케팅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 다음은 광양에서 국제 열매& 씨앗 엑스포 혹은 전시회 개최를 건의하며, 그리고 스마트 시대에 적합한 적극적인 홍보와 마케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개화결실촉진처리가 달피나무의 소지생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결과 (Effects of Flowering and Fruiting Stimulatory Treatments on Twig Growth of Tilia amurensis R$_{UBP}$.)

  • 이덕수;홍성각
    • 임산에너지
    • /
    • 제19권1호
    • /
    • pp.13-19
    • /
    • 2000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veral stimulatory trements of flower and seed growth on the reproductive and vegetative growth of Tilia amurensis RUBP. The effects of mounded planting, girdling, root-pruning, bending and foliar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fifteen to forty yead-old tress growing in the experimental plantation at the Konkuk University and the National forest at the Daegwanryung were measu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number and the longitydinal growth of internode were reduced by the treatments. The xylem growth of the longitudited more greatly than the bark growth by all the treatments. (2)The increasong rate of the brand angle a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was 2.11% in the girdling treatment, 31.61% in the mounded planting treatment, and 22.14% in root-pruning treatment. (3) The foliar application of fertilizer(N, P, K, and B) before flowering increased leaf and stem growth, that one after pollen fertilization increased the fruit growth. (4)The foliar application of fertilizer before flowering increased the xylem growth while that after pollen fertilization increased the bark growth. (5)The stimulatory effects of root pruning and branch bending on the flowering and seed growth were shown relatively less than that of mounded planting. The effect of the moinded planting on the yield of the seeds has remained continuously every year since planting the trees.

  • PDF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Flowers & Plants Expo Tokyo in 2017

  • Choi, So Young;Park, Hye Min;Lee, Ja Hee;Lee, Ae Ky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1-98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on current trends in floriculture through a survey. The exhibitors' purposes and items displayed at the Tokyo International Flowers & Plants Expo in 2017 were surveyed.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38 exhibitors during the exhibition period from October 11 to 13, 2017. As a result, participants came from 14 countries including Belgium, China, Colombia, Japan, Korea and France. The purposes of the majority of the surveyed exhibitors were to display cultivars (86 exhibitors, 36.3%), followed by to display merchandise, subsidiary materials and cultivation techniques. Among cultivars, pot plant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the entire cultivars (54 exhibitors, 55.1%), followed by cut flowers (35 exhibitors, 35.7%), sapling, and seeds. The most of the displayed pot plants were ornamental plants (27 exhibitors, 43.5%), followed by garden trees, ground cover plants, bedding plants and succulent plants. The most of the displayed cut flowers were rose (8 exhibitors, 21.1%), followed by lisianthus, chrysanthemum and dahila. In terms of cultivation techniques, those using moss were displayed by 7 exhibitors (50%) and green-wall techniques were displayed by 6 exhibitors (42.9%). In terms of merchandise, processed products were displayed by 21 exhibitors (41.2%), followed by floral products. Therefore, the IFEX can be used as a place to understand current trends in the floriculture market.